• 제목/요약/키워드: Functional Ankle Instability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18초

Understanding and Exercise of Gluteus Medius Weakness: A Systematic Review

  • Baik, Seung-min;Cynn, Heon-seock;Kim, Seok-hyun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27-35
    • /
    • 2021
  • A weak or dysfunctional gluteus medius (Gmed) is related to several pathologies, and individuals with hip abductor weakness have Gmed weakness. This study aimed to systematically review the literature associated with the anatomy and function of the Gmed, and the prevalence, pathology, and exercise of Gmed weakness. Papers published between 2010 and 2020 were retrieved from MEDLINE, Google Academic Search, and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The database search used the following terms: (glut* OR medius OR hip abduct*) AND weak*. The Gmed plays an important role in several functional activities as a primary hip abductor by providing pelvic stabilization and controlling hip adduction and internal rotation. Weakness of the Gmed is associated with many disorders including balance deficit, gait and running disorders, femoroacetabular impingement, snapping hip, gluteal tendinopathy, patellofemoral pain syndrome, osteoarthritis, iliotibial band syndrome, anterior cruciate ligament injury, ankle joint injuries, low back pain, stroke, and nocturia. Overuse of the tensor fasciae latae (TFL) as a hip abductor due to Gmed weakness can also cause several pathologies such as pain in the lower back and hip and degenerative hip joint pathology, which are associated with dominant TFL. Similarly, lateral instability and impaired movements such as lumbar spine lateral flexion or lateral tilt of the pelvis can occur due to compensatory activation of the quadratus lumborum for a weakened Gmed while exercising. Therefore, the related activation of synergistic muscles or compensatory movement should be considered when prescribing Gmed strengthening exercises.

프로 축구팀의 시즌 전 체력검사 (Pre-seasonal Physical Examination of Professional Soccer Team)

  • 이경태;최병옥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29-134
    • /
    • 2006
  • 목적: 국내 프로 축구팀에서 시즌 전 체력검사를 시행하여 포지션에 따른 자료를 분석하고 표준화하고자 했다. 대상 및 방법: 34명으로 구성된 한 개의 축구팀을 대상으로 시행하였으며 평균 나이 24.9세였다. 설문지를 통한과거 병력 조사, 이학적 검사를 통한 근 골격계 검사, 등속성 근력기기를 이용한 근력 검사, 생리적 검사, 기능적 검사를 시행하고 포지션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과거력 상 슬관절 손상이 23예 중 11 예(47%)로 가장 빈번했고, 이학적 검사 결과 총 40예 중 족관절 손상이 14예 (46%)로 슬관절 손상 11예 (24%)보다 많은 손상이 있었다. 위치 별로 공격수는 장무지 굴곡 건염, 미드필드는 만성 족관절 불안정성 수비수는 아킬레스 건염이 많았고 근력 검사상 우세 $60^{\circ}$ 신전/굴곡 체중당 최대 염력비 평균이 55.1%였다. 생리학적 검사상 미드필드 체 지방율이 17.8% (표준편차 2.9)로 높게 측정되었고 기능적 검사 결과 배근력 125.5N (표준편차 28.3), 서전트 점프 59.6cm, 반응시간 208 5초, 유연성 19.2 m/s, 사이드 스텝 39.9 cm였다. 결론: 시즌 전 체력검사를 통하여 선수들의 체력을 평가하고 이를 기초로 하여 재 손상에 대한 예방적 수단을 강구 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