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umaric acid

검색결과 178건 처리시간 0.031초

푸마르산 발효액을 이용한 숙산산 생산

  • 문세권;위영중;윤종선;류화원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3년도 생물공학의 동향(XII)
    • /
    • pp.201-203
    • /
    • 2003
  • In this study, succinic acid production using fumaric acid fermentation broth was investigated. We tried to produce fumaric aicd from glucose by Rhizopus oryzae and then convert fumaric acid fermentation broth into succinic acid by Enterococcus faecalis RKY1. Conversion ratio of succinic acid was more than 0.90 g/g-fumaric acid. Furthermore, we optimized conditions of conversion from fermentation broth. As a result, when fumaric acid fermentation broth for succinic acid production was employed, we could decrease the amount used of glycerol and yeast extract.

  • PDF

Fumaric acid와 mild heat의 병합 처리에 따른 시금치의 저장 중 미생물 제어 효과 (Combined Treatment of Fumaric Acid with Mild Heat to Inactivate Microorganisms on Fresh Spinach during Storage)

  • 손현정;강지훈;오덕환;민세철;송경빈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9권1호
    • /
    • pp.69-74
    • /
    • 2016
  • 시금치에 fumaric acid와 mild heat의 병합처리를 통해 병원성 미생물 제어효과를 규명하고자 시금치에 E. coli O157:H7, L. monocytogenes 를 접종한 후 각 단일처리 후 미생물 수 변화를 측정하였다. Fumaric acid (0.1, 0.3, 0.5%)와 mild heat (40, 50, $60^{\circ}C$)의 각 단일처리 실험 결과를 토대로, 병합처리를 위한 fumaric acid의 최적농도는 0.5%, mild heat 처리조건으로 $50^{\circ}C$에서 5 min으로 선정하였고, 병합처리 시 L. monocytogenes, E. coli O157:H7의 수는 대조구에 비해 각각 2.53, 2.62 log CFU/g 감소하였다. 그리고 신선한 시금치에 병합처리 후 $4^{\circ}C$에서 12일간 저장하면서 미생물 수 감소 및 품질 변화를 조사하였다. 시금치의 초기 미생물 수에 있어서 대조구와 비교하여, 병합 처리구에서 총 호기성 균을 2.77 log CFU/g 감소시켰다. 특히, 저장 12일 후 병합 처리구의 총 호기성 균 수는 4.84 log CFU/g으로 대조구와 비교하여 1.82 log CFU/g의 감균 효과를 가졌다. 또한 시금치의 저장 중 Hunter 색도 값 및 비타민 C 함량에 있어서 처리구 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fumaric acid와 mild heat의 병합처리가 시금치의 미생물학적 안전성 유지에 효과적인 처리라고 판단된다.

Rhizopus oryzae를 이용한 푸마르산 생산에 있어서 탄소원과 질소원의 영향

  • 김진남;위영중;류화원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402-405
    • /
    • 2001
  • The production of fumaric acid in shaken flask cultures by Rhizopus oryzae KCTC 6946 was studied. The effects of various carbon and nitrogen sources on fumaric acid production were investigated. The strain fermented starch (or glucose) and corn steep liquor (or polypepton) better than other carbon and nitrogen sources to fumaric acid. When C/N ratio of carbon and nitrogen source was 41.7, the concentration of fumaric acid produced with 2N NaGH as a neutralizing agent was more than 10 g/L after 3 days.

  • PDF

초음파 및 유기산 처리에 따른 재배유형별 마늘의 저장 중 품질변화 (Alterations in qualities of different cultivation types of garlic during storage: Changes assessed by ultrasonic and organic acid treatment)

  • 유광연;황영;김경미;조용식;장현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80-87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초음파 및 유기산 처리에 따른 재배유형별 마늘의 저장 중 품질 특성 조사를 위해 초음파(60℃, 5 min)와 유기산(citric acid 1.0%, fumaric acid 0.5%, 각각 5 min) 처리 후 냉장(4℃) 온도에서 28일간 저장하면서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총균수는 한지형과 난지형 모두 대조구와 citric acid 처리 시 저장 기간이 증가할수록 총균수도 증가하였다. 대장균은 한지형과 난지형 모두 대조구에서 저장 7일부터 검출되기 시작하였으며, 그 수준은 식품공전의 신선 편의 식품 법적인 기준 2.0 log CFU/g을 초과하였다. 곰팡이도 대장균과 마찬가지로 저장 7일부터 검출되기 시작하였으나 초음파 처리 시에는 저장 기간 중 모든 재배유형별 마늘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Fumaric acid 0.5%를 고려했을 때 총균수는 0.06±0.13으로 한지형과 난지형이 동일하였고, 곰팡이는 한지형 0.68±0.25와 난지형은 증식하지 않는 등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었으며, 대장균은 검출되지 않아 미생물 억제에 효과적이었다. 무기질 변화 분석 결과 모든 재배유형별 마늘에서 Fe와 Zn은 검출되지 않았으며 성분이 많은 함유량은 K, P, Mg, Ca, Na 순으로 이었다. 경도는 전반적으로 저장 기간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fumaric acid 처리구에서는 모든 재배유형에서 경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어 조직변화 측면에서 fumaric acid 0.5%, 5분 처리가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색도는 L값은 감소, a값과 b값은 증가하여 육안으로 보았을 때 녹변현상과 일치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활용한 전처리 조건에서는 일부 기간 미생물 감소, 무기질 및 경도, 색 변화와 같은 품질을 유지하는 방안으로 fumaric acid 0.5%, 5분 처리가 마늘의 미생물 저감과 품질 유지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채소류의 미생물, 색, 경도 등 품질을 향상하고 유지할 수 있는 다양한 물리적, 화학적인 방법들이 추가로 연구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숙신산 생합성을 위한 Enterococcus sp. RKY1의 분리와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Enterococcus sp. RKY1 for Biosynthesis of Succinic Acid.)

  • 류화원;윤종선;강귀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545-550
    • /
    • 1998
  • 재생가능한 대체원료로서 가치있는 탄소 4개의 디카르복실산인 숙신산은 현재 석유화학공정에 의해 상업적으로 생산되고 있으나, 최근 생물화학공정에 의한 숙신산 대량생산 공정개발을 위한 연구가 집중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자공여체로 포도당과 전자수용체로서 푸마르산을 이용하여 숙신산으로의 생물전환을 연구하였다. 먼저 고수율로 푸마르산을 숙신산으로 생물전환하는 통성박테리아 Enterococus sp. RKY1 KCTC 8890P를 분리하여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초기 푸마르산 농도 40, 70, 100g/L으로 회분식 배양한 결과 푸마르산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숙신산 생성량이 증가하였다. 초기 푸마르산 농도 70 g/L에서 평균비생산속도, 평균부피생산속도및 몰수율은각각 0.64 g/g.h, 4.87 g/L.h, 96.5%이었고 최대 숙신산 농도는 초기 푸마르산 농도 100 g/L에서 발효 20시간에 89%의 몰 수율로 88.9 g/L가 얻어졌다.

  • PDF

알칼리성 세균에 의한 글루탐산 생산에 관한 연구 (Studios on the Glutamic Acid Production by an Alkalophilic Bacterium)

  • 조계란;이강만;배무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563-567
    • /
    • 1989
  • 알칼리성 세균으로부터 ammonium fumarate를 이용하여 글루탐산을 생성할 수 있는 균주를 분리, 동정하였으며, 글루탐산 생성에 미치는 여러가지 요인들과 생성기전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선택된 균주는 형태, 성질 등에서 Bacillus brevis와 유사하였다. 여러가지 배양조건 중에서 2% fumaric acid에 0.8% nutrient broth 를 첨가하고 암모니아수로 pH를 9로 조절한 배지에서 글루탐산 생성이 가장 좋았으며, 1% fumaric acid로부터 글루탐산으로의 전환율은 약 22%였다. 생성기전을 알아보기 위한 실험에서 whole cell을 이용하였을 때 ammonium fumarate로부터 글루탐산 생성을 볼 수 있었으며, $\alpha$-ketoglutaric acid와 aspartic acid 가 포함된 반응액에서 glutamic acid 생성과 aspartic acid 소실을 동시에 볼 수 있었다. 따라서 생성기전은 fumaric acid가 aspartic acid로 전환되고, aspartic acid와 $\alpha$-KGA가 반응하여 glutamic acid가 생성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 PDF

전분질원료(澱粉質原料)를 달리한 고추장의 유기산정량(有機酸定量) (Determination of Organic acids of Kochuzang prepared from various Starch Sources)

  • 이택수;박성오;이명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4권2호
    • /
    • pp.120-125
    • /
    • 1981
  • 전분질원(澱粉質原料)의 종류를 달리하여 양조(釀造)한 3개월 숙성의 찹쌀, 보리쌀, 밀가루, 고구마의 각고추장을 시료로하여 gas chramatography에 의하여 유기산을 분석한 결과 고추장중의 유기산으로 lactic acid, glycolic acid, pyruvic acid, succinic and fumaric acid, malic acid, pyroglutamic acid, citric acid가 모든 시험고추장에서 분리되었고 oxalic acid는 고구마 고추장에서만 검출 되었다. 시험고추장 모두 pyroglutamic acid, pyruvic acid, citric acid가 양적으로 가장 많았으나 밀가루 고추장에서는 이들 함량이 타 고추장에 비하여 다소 적게 나타났다. succinic과 fumaric acid의 함량은 고구마 고추장에서 가장 많았고 보리쌀 고추장이 가장 적었다.

  • PDF

이산화염소수 또는 푸마르산 처리된 고추, 생강, 당근의 미생물학적 변화 (Microbial Changes in Hot Peppers, Ginger, and Carrots Treated with Aqueous Chlorine Dioxide or Fumaric Acid)

  • 김민희;김윤정;김관수;송영복;서원준;송경빈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1013-1017
    • /
    • 2009
  • 이산화염소수 또는 푸마르산이 전처리된 고추, 생강, 당근의 초기 미생물수 감소 효과에 관한 연구를 하기 위하여 이산화염소수 5, 10, 50 ppm과 푸마르산 0.1, 0.3, 0.5%를 고추, 생강, 당근에 5분간 각각 처리하였다. 이산화염소수와 푸마르산 전처리는 총균수, 효모와 곰팡이 수를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는데, 특히 50 ppm의 이산화염소수를 고추에 처리 시 총균수, 효모 및 곰팡이 수가 1.52, 1.81 log CFU/g 감소시킨 반면 0.5% 푸마르산의 처리는 총균수, 효모 및 곰팡이를 완전히 제거하였다. 또한 50 ppm의 이산화염소수 처리된 생강은 총균수, 효모와 곰팡이 수가 0.53, 0.92 log CFU/g 감소를 보였고, 푸마르산의 처리는 1.44, 1.28 log CFU/g 감소시켰다. 당근에 50 ppm의 이산화염소수 처리시 총균수, 효모 및 곰팡이 수를 1.76, 2.22 log CFU/g까지 줄였고 푸마르산 처리는 1.94, 1.73 log CFU/g 감소를 보였다. 따라서 이산화염소수와 푸마르산 전처리가 고추, 생강, 당근의 초기 미생물 수 감소에 효과적인 전처리 방법이라고 판단된다.

배지 분사형 고정층 배양기를 이용한 푸마르산 생산

  • 노원균;김진남;류화원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406-409
    • /
    • 2001
  • The production of fumaric acid in a novel fixed-layer fermenter using Rhizopus oryzae KCTC 6946 was studied. When yeast extract and corn steep liquor were used as nitrogen sources, fumaric acid produced was 6.4 g/L and 6.8 g/L, respectively. Compared with the flask cultivation, fumaric acid concentration was about 200% when yeast extract was used as a nitrogen source, but reached to 93% when corn steep liquor was used.

  • PDF

Production of fumaric acid using rice bran

  • Moon, Se-Kwon;Yun, Jong-Sun;Ryu, Hwa-Won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3년도 생물공학의 동향(XIII)
    • /
    • pp.284-286
    • /
    • 2003
  • In order to optimize the culture medium for fumaric acid production using newly isolated fungi,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various carbon sources and nitrogen sources. When rice bran as nitrogen source was used, the effects of trace elements (phosphate, magnesium, zinc, and iron) on fumaric acid production were also investigated. When initial glucose of 50 g/L and rice bran was employed, maximum fumaric acid was produced without addition of magnesium, zinc, and ir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