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ullterm and preterm infant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5초

조산모와 정상모의 초유성분에 관한 비교연구 -제1보 : 조산모와 정상모 초유의 당질, 단백질 및 무기질 성분에 관한 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the Composition of Preterm and Fullterm Human Milk in colostrum -I. Comparison of the Lactpse, Protein and Mineral Contents in Contents in Closterum from Mothers of Premature and Fullterm Infants)

  • 이윤욱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8권2호
    • /
    • pp.127-136
    • /
    • 1995
  • In this study, the nutritional composition of colostrum milk obtained from 22 mothers delivering perterm infants and 17 mothers delivering term infants was analyzed. The energy content of colostrum was yielded based on nitrogen, lactose, and lipid data. Preterm milk is more close the nutritional needs of the preterm infant than dose other breast milk.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Protein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but carbohydrate and lipid concentration were lower in preterm milk than fullterm milk. Energy content yielded from total nitrogen, lactose and lipid concentration was higher in the fullterm milk than preterm milk. 2) Calcium was higher in the preterm milk than fullterm colostrum. Phosphate was lower in fullterm milk than pretem milk. Calcium/Phosphate ratio were 2.61/1 in the preterm and 2.06/1 in the fullterm milk. Magnesium was higher in the preterm milk than fullterm milk. Zinc, Copper and Manganese concentrations were tended to lower in the preterm milk than fullterm milk.

  • PDF

모성 취업과 미숙아 출산이 산후 건강회복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aternal Employment and Infant's Prematurity on Postpartum Health)

  • 안숙희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55-68
    • /
    • 2002
  • While the survival rate of preterm infants and employment rates of mothers with infants have been dramatically increasing, little is known about the impact of maternal employment and having premature infants on maternal health recovery after delivery. The purpose of this longitudinal study was to examine differences in postpartum health by mother's employment and infant's prematurity over time during the first 3 months postpartum. The study used a longitudinal design and was secondary data analysis from a large study. A convenience sample of 132 mothers was recruited with mothers who had fullterm or preterm infants through the postpartum unit. They were followed up for 3 times (at 1-2 days, 6 weeks, and 3 months) during the first 3 months postpartum period. Level of fatigue and hysical symptoms were indicators for postpartum physical health; 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were assessed for postpartum mental health, and role functional status after childbirth was for role performance. Finding indicated that health indicators changed significantly over time but there was no main or interaction effect for maternal employment status. There were main effects of infant's prematurity on positive affect, negative affect, and role functional status (self-care and social and community activities). This study enhanced the understanding of postpartum health of mothers with preterm infants as well as those with fullterm infants during the postpartum period.

  • PDF

미숙아로 출생한 유아의 건강 관련 삶의 질 정도와 영향요인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the Early Childhood of Premature Children)

  • 임은희;주현옥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1권1호
    • /
    • pp.37-45
    • /
    • 2015
  • 목적 본 연구는 미숙아로 태어난 유아와 정상아로 태어난 유아의 건강 관련 삶의 질을 비교하고, 미숙아로 태어난 유아의 건강 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이들의 유아기 건강 관련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방법 연구 방법은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연구 대상자는 인터넷 카페에서 미숙아로 출생한 유아의 부모 80명과 정상아 부모 83명이었다. 연구 도구는 TNO-AZL에서 개발한 TAPQOL를 사용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0.0을 사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결과 미숙아로 태어난 유아의 삶의 질 점수는 100점 만점에 80.6점(${\pm}9.9$)이었으며, 정상아로 태어난 유아의 삶의 질 점수는 85.0점(${\pm}8.3$)으로, 미숙아 집단이 정상아 집단에 비해 삶의 질 점수가 4.4점(${\pm}1.4$) 낮았다. 미숙아 집단이 정상아 집단에 비해 삶의 질 점수가 낮은 영역으로는 운동기능, 불안, 긍정적 기분, 활기참 및 의사소통 등이었다. 두 집단간 삶의 질 점수 차이가 가장 큰 영역은 운동기능과 의사소통이었다. 미숙아로 태어난 유아의 건강 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신생아실 입원기간(7일 이상)'과 '출생체중(1,000 g 미만)'으로 나타났으며, 두 변수의 설명력은 17%였다. 즉, 신생아실 입원기간이 7일 미만이고, 출생 시 체중이 1,000 g 이상인 아동이 그렇지 않은 아동보다 건강 관련 삶의 질 점수가 높았다. 결론 미숙아로 태어난 아동의 건강 관련 삶의 질은 이들의 출생 시 체중 및 신생아실 입원기간 등이 영향을 미치므로 미숙아 추후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출생체중, 재태기간 및 신생아집중치료실 입원기간 등으로 고려해야 할 것이다.

뇌실 주위 백질연화증이 있는 간질 환아에서 조산 및 만삭 출산군 간의 간질 발작 유형의 비교 (Comparison of Epileptic Seizures between Preterm and Term-born Epileptic Children with Periventricular Leukomalacia)

  • 정희정;이은실;문한구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8권11호
    • /
    • pp.1225-1231
    • /
    • 2005
  • 목 적 : 뇌실 주위 백질연화증(periventricular leukomalacia)은 동맥혈의 허혈로 인하여 뇌실 주변에 백질 괴사가 초래되어 발생하는 질환으로 미숙아와 만삭아 모두에서 관찰될 수 있으며 간질 발생의 요인이 된다. 본 연구는 뇌실 주위 백질연화증이 관찰된 간질 환아에서 재태 연령에 따라 간질 발작의 임상적인 차이점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방 법 : 뇌 자기공명영상으로 뇌실 주변부에 T2 강조 영상으로 고신호강도의 병변이 관찰된 108례(미숙아군 79례, 만삭아군 29례) 중 2회 이상의 간질 발작을 보이고 6개월 이상 추적 관찰이 가능했던 37례를 연구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를 다시 재태 기간이 37주 미만의 미숙아군(27례)과 37주 이상의 만삭아군(10례)으로 나누어 두 군을 비교하였다. 각각의 증례별 병력 기록지를 조사하여 두 군간의 간질 발작의 초발 연령, 첫 간질 발작의 유형, 뇌파 소견 및 항경련제에 대한 치료 반응을 비교하는 후향적 연구를 하였다. 결 과 : 첫 간질 발작은 미숙아군의 경우 평균 $22.2{\pm}18.3$개월, 만삭아군의 경우에는 평균 $26.9{\pm}21.1$개월에서 시작되었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505). 첫 간질 발작의 유형으로는 미숙아군의 경우 영아 연축이 11례(40.7%), 단순 또는 복잡 부분 발작이 7례(25.9%), 이차성 전범화의 부분 발작이 6례(22.2%), 그리고 전신성 발작이 3례의 순으로 많았다. 만삭아군에서는 단순 또는 복잡 부분 발작이 7례(70.0%), 전신성 발작이 2례(20.0%) 그리고 지발형 영아 연축이 1례(10.0%)의 순으로 많았다. 뇌파 소견으로 미숙아군에서 고부정 뇌파가 11례(40.7%), 국소성 간질파가 6례(22.2%), 다초점성 간질파가 4례(14.8%)의 순으로 많았고, 만삭아군에서는 국소성 간질파가 5례(50.0%)였으며 3례(30.0%)에서 간질파가 관찰되지 않았다. 항경련제에 대한 반응은 추적 관찰 기간 동안 간질 발작의 재발을 보이지 않았던 경우가 미숙아군은 27례 중 16례(59.3%), 만삭아군의 경우 10례 중 6례(60.0%)였으며 난치성 간질은 미숙아군에서 6례(22.2%)가 있었으나 만삭아군에서는 1례도 관찰되지 않았다. 결 론 : 뇌실 주위 백질연화증을 가진 간질 환아에서 영아 연축과 같은 중증 간질은 미숙아군에서 주로 발생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난치성 간질은 미숙아군에서만 관찰되어 만삭아군과 임상적으로 간질 발작의 유형이나 치료에 대한 반응 등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향후 뇌실 주위 백질연화증의 정도나 발생 기전에 대해 두 군간의 차이점이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두 군간의 간질 발작의 임상적 차이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