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uel reforming

검색결과 308건 처리시간 0.035초

125kW 외부개질 용융탄산염 연료전지(ER MCFC) 스택 운전 (The Results of the 125 kW External Reforming Type MCFC Stack Operation)

  • 이정현;김범주;김도형;강승원;김의환;임희천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21권5호
    • /
    • pp.419-424
    • /
    • 2010
  • The 125kW external reforming (ER) type molten carbonate fuel cell (MCFC) system for developing a commercial prototype has been operated at Boryeong thermal power plant site since the end of 2009. The system consists of 125kW stack with $10,000 cm^2$ effective area, mechanical balance of plant (MBOP) with anode recycle system, and electrical balance of plant (EBOP). The 125kW MCFC stack installed in December, 2009 has been operated from January, 2010 after 20 days pre-treatment. The stack open circuit voltage (OCV) was 214V at initial load operation, which approaches the thermodynamically theoretical voltage. The stack voltage remained stable range from 160V to 180V at the maximum generating power of 120 kW DC. The stack has been operated for 3,270 hours and operated at rated power for 1,200 hours.

수증기 플라즈마를 이용한 DME 개질의 최적화 방안 연구 (Optimization of DME Reforming using Steam Plasma)

  • 정경수;채우리;채호근;정명석;이주연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5호
    • /
    • pp.9-16
    • /
    • 2019
  • 오늘날 세계 에너지 시장에서는 친환경 에너지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수소 에너지는 미래의 청정에너지원이며 무공해 에너지원 중 하나이다. 특히 수소를 이용한 연료전지 방식은 재생에너지의 유연성을 높여주고 장기간 에너지 저장 및 변환이 가능해서 화석 자원의 사용에 따른 환경문제와 자원의 고갈로 인한 에너지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방안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수소를 생산하는 방안으로, 온도에 따른 개질반응과 수율을 확인하여 DME(Di Methyl Ether)개질의 최적화 방안을 연구하는데 있다. 연구 방법은 2.45 GHz의 전자파플라즈마 토치를 사용하여 청정 연료인 DME를 개질하여 수소를 생산하고, 저온 조건($T3=1100^{\circ}C$), 저온 과산소 조건($T3=1100^{\circ}C$), 고온 조건($T3=1376^{\circ}C$)에서 가스화 분석을 진행하였다. 저온 가스화 분석을 통해 $1100^{\circ}C$ 근처에서는 불안정한 개질 반응으로 인해 메탄이 발생하는 현상을 확인하였고, 저온 과산소 가스화 분석은 저온 가스화 분석과 비교하였을 때 수소는 적으나 이산화탄소는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고온에서의 가스화 분석을 통해 $1200^{\circ}C$ 이상에서는 메탄이 발생하지 않았고 약 $1150^{\circ}C$ 부터 메탄이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개질반응시 온도가 높을수록 수소의 비율이 높아지나 CO 비율은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가스화기의 구조적인 문제로 인해 열손실과 개질의 문제가 발생함을 확인하였다. 향후 연구의 발전 방향으로는, 가스화기 개선을 통해 불완전한 연소를 줄여 높은 수율의 수소를 얻고 일산화탄소, 메탄과 같은 기체의 발생을 낮출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DME를 수증기 플라즈마 개질하여 수소를 생산하는 최적화 방안이, 향후 친환경, 신재생 에너지를 생산하는데 의미있는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메탄올 수증기 개질반응에서의 상용촉매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Commercial Catalysts for Methanol Steam Reforming)

  • 박정은;박재현;임성대;김창수;박은덕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9권1호
    • /
    • pp.21-27
    • /
    • 2011
  • 메탄올 수증기 개질반응에 대한 적용가능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메탄올 합성용 촉매인 ICI-M45와 수성가스 전환반응용 촉매인 MDC-3와 MDC-7을 비교 연구하였다. 또한 수성가스전환 반응에 대한 세 촉매의 비교실험도 수행하였다. 그 결과 MDC-7이 메탄올 수증기 개질반응에서 가장 높은 전화율을 보였으며, $H_2$$CO_2$ 생성속도 또한 높게 나타났다. 수성가스 전환반응용 촉매인 MDC-7과 메탄올 합성촉매인 ICI-M45를 이용하여 촉매 충진 방법에 따른 메탄올의 전화율에서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MDC-7 단독보다 낮은 메탄올의 전화율을 보였다. 수성가스 전환반응에서도 DC- 7, MDC-3, 그리고 ICI-M45의 순으로 반응성이 감소하였다. 상기 두 반응에서 MDC-7이 가장 우수한 이유로는 높은 비표면적과 Cu의 분산도, 그리고 적절한 Cu와 Zn의 비율에 기인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연료.물 직접 분무식 촉매 개질기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Catalytic Reformer with Direct Spraying of Fuel and Water for SOFC)

  • 이대근;동상근;양제복;김학주;정헌
    • 한국연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연소학회 2006년도 제33회 KOSCO SYMPOSIUM 논문집
    • /
    • pp.260-265
    • /
    • 2006
  •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catalytic reformer adopted in the auxiliary power unit system of solid oxide fuel cell was conducted. A 3-fluid nozzle, by which liquid fuel such as diesel, water and air are sprayed and uniformed mixed, was designed and used in this study. An electrically heated monolith inserted in the reformer was used for the vaporization of fuel and water in the transient state of reformer. The reformer uses the partial oxidizing reaction at the catalyst and the supply of water prevents the flame combustion in the spraying zone and lessens the deactivation of catalyst. The result showed that the reforming of liquid fuel can be started by the electrically heated monolith and the 3-fluid nozzle can give the uniform mixing of fuel, water and air. It was also found that the reformer fueled by n-hexadecane can make the reformate, at best, containing $H_2$ at 15.5% and CO at 11.5% that are used as fuel in the solid oxide fuel cell.

  • PDF

액상 연료 용 $kW_e$급 SOFC 시스템 사전 연구 및 개발 (Preliminary study and development of $kW_e$-class liquid fuel based SOFC system)

  • 윤상호;김선영;배중면;백승환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1-24
    • /
    • 2008
  • We have developed a $kW_e$ class liquid fuel based solid oxide fuel cell (SOFC) system. Our final target is to develop the 1 $kW_e$ diesel based SOFC system for residential power generator(RPG). In this study, we present the conceptual design of SOFC system. System is composed of hot-box and cold-box. Planar typed SOFC stack, heat exchanger, combustor for stack tail gas, and fuel processor, such as fuel reformer and desulfurizer, are contained in the hot-box. And several balance of plants(BOP), such as fuel suppliers and controller, are contained in the cold-box. Before the SOFC system fabrication, we have already operated the selfsustaining fuel processor, and heat exchange of all heat-related components is simulated using ASPEN HYSYS, because heat maintenance and management in hot-box are important for stable operation of SOFC system. The self-sustained fuel processor was successfully operated for about 250 hours, and heat exchange is enough to operate the SOFC system.

  • PDF

PROX 반응기가 있는 50W급 세라믹재질의 소형 reformer 개발 (Development of a 50W Powered Ceramic Micro Reformer Equiped with PROX Reactor)

  • 정찬화;김우재;오정훈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25-229
    • /
    • 2005
  • We have designed micro-fuel processor system, which consists of a steam reforming area and a PROX(preferential oxidation) area. Micro-fuel processor system generates $H_2$ rich gas from a methanol. In our experiment, we have integrated micro-fuel processor system using low temperature cofired ceramics (LTCC) process because LTCC is superior to other materials principally due to their high thermal and chemical stability, simpler fabrication processes, and lower materials cost. Therefore, we have studied and integrated micro-fuel processor system containing embedded heaters, cavities, and 3D structures of micro-channel with LTCC. Also we have optimized the LTCC process.

  • PDF

가압형 고체산화물 연료전지/가스터빈 하이브리드 시스템의 현실적 설계 (A Practical Design of Pressurized Solid Oxide Fuel Cell/Gas Turbine Hybrid Systems)

  • 오경석;박성구;김동섭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1권2호
    • /
    • pp.125-131
    • /
    • 2007
  • This paper presents guideline for a practical design of the hybrid system combining a pressurized solid oxide fuel cell and a gas turbine. Design of the hybrid system based on a virtually designed gas turbine was simulated using models for off-design operation of the gas turbine. Two system configurations, with different method for supplying reforming steam, are considered and their design characteristics are compared. A higher design cell temperature provides better system performance. However, there exists a maximum allowable design cell temperature because the operating point of the compressor approaches the surge point with increasing fuel cell temperature. Increased pressure loss at the fuel cell moves the compressor operating point toward the surge point and reduces system performance.

흡착식 냉방 시스템을 이용한 수소개질/연료전지 시스템의 효율향상 (A Study on the Efficiency Enhancement of the HT-PEMFC Having Fuel Processing System by Connecting Adsorption Chilling System)

  • 무자히드 나심;김철민;이상용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30권5호
    • /
    • pp.411-417
    • /
    • 2019
  • An adsorption chiller is connected to the fuel processing/fuel cell system to increase the energy efficiency of the system. Since, the minimum temperature of $70^{\circ}C$ is needed to operate the adsorption chiller, HT-PEMFC is used as a heating source and $80^{\circ}C$ hot water in the water tank at the system is supplied to the chiller. Experimentally measured COP of the adsorption chiller was between 0.4-0.5 and the total calcuated efficiency of the connected system was between 60% and 70% comparing to 47% without adsorption chilling system.

연료중의 이산화탄소 불순물에 의한 고분자전해질연료전지의 성능변화 연구 (Effect of Carbon Dioxide in Fuel on the Performance of PEMFC)

  • 서중근;권준택;김준범
    • 전기화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42-46
    • /
    • 2008
  • 연료전지는 수소를 직접 사용하는 것이 가장 효율이 높지만 가정이나 사무실에서는 수소 저장탱크를 사용하기보다는 도시가스(메탄가스)를 연료 source로 하여 수소를 생산하는 것이 유리하다. 연료전지에 사용하는 수소는 천연가스나 바이오가스, 탄화수소계열의 연료를 개질하여 생산하며 개질반응과정에서 필연적으로 여러 성분의 불순물이 포함되어 있다. CO, $CO_2$, $H_2S$, $NH_3$, $CH_4$등의 불순물이 포함된 수소연료가 PEM fuel cell에 공급되면 연료전지 성능에 영향을 준다고 보고되어 있다. 이러한 영향에는 전극 촉매의 피독에 의한 kinetic losses, 전해질막과 촉매이온층의 양이온 전도성 감소에 의한 ohmic losses 그리고 촉매층의 구조나 소수성 감소에 의한 mass transport losses가 있다. 개질기에서 생산된 수소연료는 약 73%의 $H_2$와 20% 이하의 $CO_2$, 5.8% 이하의 $N_2$, 2% 이하의 $CH_4$, 10ppm 이하의 CO로 최종 공급된다. 본 연구에서는 연료 중에 $CO_2$가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 anode측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험은 연료전지에 공급되는 연료중에 $CO_2$농도를 10%, 20%, 30%로 전류와 전압의 성능곡선과 장시간(10시간)실험 그리고 임피던스를 측정하였다. 또한 가스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순수한 수소와 $CO_2$가 함유된 수소의 혼합을 통해 나온 연료전지 inlet에서의 불순물의 농도를 검증하였다.

열전달 향상을 위한 새로운 MCFC 연료전지용 프리컨버터의 수치해석 (Numerical Analysis of New Proposals to Enhance Heat Transfer in MCFC'S Preconverter)

  • 손창현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7권8호
    • /
    • pp.753-758
    • /
    • 2013
  • 본 연구는 MCFC용 벽면가열 방식 프리컨버터의 낮은 열전도율 때문에 발생하는 벽면 고온 발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두 가지 방안을 수치해석을 통해 연구하였다. 프리컨버터 내부에 열전도율이 높은 다공성판을 설치한 경우 벽면에서 중심부위로 열전달이 향상되어 수소 생성이 벽면부위에 국한되지 않고 촉매내부에 좀 더 균일하게 발생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촉매 내부에 일정한 두께의 빈 공간을 중심, 1/2 그리고 4/5 위치에 두고 해석하여 결과를 비교하였고, 1/2위치의 빈 공간이 다른 경우에 비해 연료전환이 보다 이상적인 경우에 근접하지만 열전도율이 높은 다공성판의 설치가 보다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