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uit hardness

검색결과 202건 처리시간 0.026초

개발 PLA 필름으로 포장한 파프리카의 신선도 (Freshness of Paprika Packed with PLA Films)

  • 박형우;김상희;이선아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7-11
    • /
    • 2011
  • 개발된 3종류의 PLA 필름의 파프리카 포장에의 사용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두 종류의 OPP/PE 필름과 함께 파프리카 포장에 사용하여 포장별로 상온에서 20일 동안 저장하면서 품질변화를 살펴보았다. 중량 감소율은 OPP/PE필름은 0.02%에 비해 PLA 필름은 0.18%로 나타났으며 두 포장구 간에 0.16%차로 큰 차이를 보이진 않았다. 수분함량은 PLA1, PLA2 포장구가 적은 감소율을 보였지만 포장재 종류에 따른 뚜렷하게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고, 외관변화는 저장 6일째 OPP 포장구에서 꼭지 부분에 곰팡이와 부패가 발생하였으나 PLA 포장구에서는 발생하지 않았다. 경도변화는 모든 처리구가 저장기간이 지날수록 감소하였으며, OPP 포장구가 PLA 포장구 보다 다소 높은 경도 수치를 나타내었다.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PLA1 포장구가 가장 적은 변화를 보였고, 색차 L값은 모든 처리구가 9일째 30이하의 값을 나타내었다. 비타민 C 함량의 변화는 PLA2 포장구가 20% 이하로 가장 적은 감소율을 나타났다. 여러 분석 항목에서 모든 포장구가 큰 분석차이가 발생하지 않았으나, 외관상태에서 PLA 필름 포장구는 부패과가 발생하지 않았다. 즉 저장 9일째 OPP/PE 포장구는 꼭지 부분의 곰팡이와 부패가 발생하였고, 포장 개봉시 부패취가 심하였다. OPP/PE 포장구에서는 저장 15일째 부패가 매우 심하였으며 상품성이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비파열매 분말을 첨가한 쉬폰 케이크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iffon Cake Made with Loquat Fruits (Eriobotrya japonica) Powder)

  • 정수영;빙동주;전순실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44-152
    • /
    • 2015
  • The loquat (Eriobotrya japonica) is a plant belonging to the Rosaceae family, native to south-central China. It is cultivated in relatively warm areas such as Spain, Japan and South Korea. It is used commercially as an ornamental plant and for its yellow fruit, which contains much carotenoid, sugar and a little organic acid. In this study, chiffon cakes were prepared with the addition of 3%, 6%, 9% and 12% loquat fruit powder (LFP) in order to invest the mixing conditions. When more LFP was added to the dough, the pH level of the dough became lower. Specific gravity and viscosity of the dough significantly increased as higher amounts of LFP were added. In baked cakes, the weight and baking loss rate of LFP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samples, and the height of the risen test samples were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s. Moisture content was 33.58% in the 12% LFP sample (12% LFPS), which was the highest of all the samples. With respect to crust color, lightness, redness and, yellowness, these significantly decreased as the amount of LFP was increased, the 12% LFP being the lowest of all the samples. Lightness and yellowness of crumbs significantly decreased as the amount of LFP was increased, whereas redness showed the reverse effect. When looking at hardness and adhesiveness, the 12% LFPS was the highest of all the samples, nevertheless a difference in resilience was not significant among the samples. According to consumer perception, bitternes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s amounts of LFP increased, however a difference in salty, astringency and oily tastes were not significant among the samples. The 12% LFPS showed the lowest score with respect to softness and overall acceptability. In conclusion, LFP could be considered a functional material, with the optimum amount of LFP for a chiffon cake of 3~9%.

톳(Hizikia fusiformis), 무화과(Ficus carica) 및 배(Pyrus pyrifolia)의 혼합 추출물을 이용한 생선커틀릿용 튀김옷의 기능성 (Functional Evaluation of Fish Cutlet Batter Made from the Extracts of Hiziki Hizikia fusiformis Fig Fruit Ficus carica and Pear Pyrus pyrifolia)

  • 김민용;김종덕;김보영;신영우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0권6호
    • /
    • pp.721-730
    • /
    • 2017
  • This study determined the optimal mixing ratio of functional materials to enhance the functionality of batter for fish cutlets. An optimal mixing ratio of the hiziki Hizikia fusiformis, fig fruit Ficus carica L. and pear Pyrus pyrifolia Niitaka extracts (HFP extract) of 3:1:1 was foun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mixture were as follows: total phelonic contents of $1187.29{\pm}41.55mg/L$, 1,1-diphenyl-2-picry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61.50{\pm}2.33%$, ascorbic acid content of $23.68{\pm}0.02g/100g$, ${\beta}-carotene$ content of $51{\pm}3.92{\mu}g/100g$, and sugar content of $12.7{\pm}0.1Brix^{\circ}$. A mixture of the extract, Korean herbal powder, and wheat flour was prepared as the fish cutlet batter. The fish cutlet prepared with the batter had a hardness of $166-202g/cm^2$ and Hunter's color scale values L of $31.14{\pm}2.1$ to $34.62{\pm}1.3$, a of $-4.89{\pm}0.21$ to $-2.26{\pm}0.19$ and b of $-20.65{\pm}2.65$ to $28.93{\pm}3.14$. The FRAP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and VBN (volatile basic nitrogen) of the fish cutlets were measured to evaluate functionality and determine the optimal mixing ratio for cold storage at $-12^{\circ}C$, $-18^{\circ}C$, and $-24^{\circ}C$. The optimum mixture ratio of extracts /Korean herbal powder/ wheat flour was 1:6:3.

한국산 구아바 열매 추출물을 첨가한 구아바편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활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Guavapyun Added Korean Guava Fruit Extract)

  • 김민주;최해연;김순임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46-251
    • /
    • 201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guavapyun after the addition of different ratios of extract (0.25, 0.5, 0.75, 1.0%), non-extract and vitamin C. The quality if the pyun containing 0.5% of the guava fruit extract (guavapyun) and vitamin C was higher compared with the quality of the control pyun. In the results of the proximatecomposition, the content of water was high in the control pyun relative to the vitamin C pyun and guavapyun and the carbohydrate, ash, crude lipid and protein content was high in guavapyun. The sweetness, pH and color (L, a, b value) were very high in the samples. The texture, hardness, chewiness and gumminess were significantly high in the control pyun and the adhesiveness and cohesiveness were high in guavapyun.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pringiness between the control and the added samples. The total phenolic content was higher in guavapyun (23.57 mg GAE/100 g) than the control pyun (18 mg GAE/100 g) and vitamin C pyun(15.05 mg GAE/100 g). The antioxidant activities determined by the DPPH method and ABTS method was higher in guavapyun (41.37 mM TE/g, 15.35 mM TE/g) than the control pyun (4.43 mM TE/g, 2.17mM TE/g) and vitamin C pyun (11.33 mM TE/g, 4.51 mM TE/g). Using the FRAP method, guavapyun(9.06 mM TE/g) was shown to exhibit a stronger ferrous ion chelating activity than the control pyun (4.49mM TE/g) and vitamin C pyun (7.03 mM TE/g). Thus, the studied indigenous guavapyun was high in both antioxidative activity and total phenolic content.

건조조건에 따른 오디분말을 첨가한 마들렌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deleine Added with Mulberry Powder According to Drying Conditions)

  • 이민애;박미란;변광인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13-24
    • /
    • 2013
  • 본 연구는 냉동오디를 냉동건조와 열풍건조 방법으로 건조 후 분말화하여 마들렌에 첨가하여 제품의 품질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냉동건조와 열풍건조로 냉동오디를 건조 후 분말화하여 각각의 시료의 일반성분과 이화학적 특성을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마들렌은 제과기능사 실기시험에 출제되는 레시피를 토대로 각각의 시료를 밀가루 양에 대비하여 0%(control), 1%, 3%, 5%, 7%를 첨가하여 만들어 pH, 색도, 텍스쳐를 측정하고 관능검사를 통하여 소비자의 기호도를 파악하였다. 먼저 pH는 열풍건조오디분말 첨가군이 낮게 나타났으며, 색도에서 명도(L값)는 냉동건조오디분말과 열풍건조오디분말의 첨가율이 증가할수록 대조구와 비교해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적색도(a값)는 열풍건조오디분말을 첨가했을 때가 냉동건조오디분말을 첨가했을 때보다 적색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황색도(b값)는 오디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냉동오디분말 첨가군은 경도(Hardness)와 탄력성(Elasticity)은 오디분말의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응집성(Cohesiveness)과 검성(Gumminess)은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열풍건조오디분말을 첨가한 마들렌의 경도(Hardness)는 오디분말 첨가량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탄력성(Elasticity)은 오디분말 첨가량에 따라 증가하며, 응집성(Cohesiveness)은 첨가량이 줄어들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검성(Gummines)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관능검사의 기호도 결과는 냉동건조오디분말 5% 첨가군과 열풍건조오디분말 7% 첨가군의 기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 PDF

해당화 열매 첨가 사과잼 제조 및 품질 특성 (Preparation and Quality Characterization of Apple Jam with Rosa rugosa Thunb. Fruit)

  • 김미현;김명희;윤선주;이병용;이창원;김보애;장기효;이재철;서정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67-380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해안지역 특산물인 해당화 열매를 소비자의 접근성이 높은 잼에 첨가하여 지역을 대표하는 지역특화 제품으로 개발하는 것이 가능할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중심합성계획법에 따라, 해당화 열매와 설탕 첨가량을 달리하여 10종의 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10종의 잼을 관능검사로 평가하여 반응표면분석을 실시한 결과, 잼의 관능적 특성 중 시각, 후각, 미각에 의해 인지되는 특성인 색, 광택, 이취, 단맛, 신맛은 설탕의 첨가량에 의해 지배적으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설탕 자체의 단맛 뿐 아니라, 가열 공정이 주를 이루는 잼 제조 공정 중, 일부의 설탕 분자가 열에 의해 분해되는 caramelization반응이 일어나, 기호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향미물질(flavor compounds)과 색소(pigments)를 형성했기 때문으로 해석되었다. 또한, 관능검사 항목 중 물성 특성인 끈기(되직한 정도)와 발림성은 해당화 열매 첨가량과 연관된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해당화 열매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완성된 잼의 수분함량이 증가하였고, 이는 덜 되직하고 부드럽게 잘 발리는 관능적 특성으로 평가되었다. 이 결과는 기계적 물성 평가로 얻어진 각 잼의 경도(hardness), 점착성(gumminess), 씹힘성(chewiness)의 경향과도 일치하였다. 즉, 해당화 열매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당의 함량이 증가하고, 당의 높은 물결합력은 펙틴 분자끼리의 상호 결합을 촉진시켰으며, junction zone안에 더 많은 물을 보유하게 함으로써 내부적 결합력이 강하고, 부드러운 물성의 잼을 형성한 것으로 해석되었다. 5점 평점법으로 평가된 관능검사 결과에서 모든 항목이 3점 이상으로 높은 기호도를 보여 만족도(desirability)가 높았던 설탕 첨가량 60%에서 제조된 3종의 잼(해당화 첨가량 0%, 10%, 20%)을 기계적 물성 평가와 관능평가로 비교분석 하였을 때, 해당화 첨가량이 10%인 잼이 색, 광택, 끈기, 발림성 항목에서 기호도가 유의적으로 높았고, 물성 또한 개선된 것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소비자의 순응도가 비교적 높은 사과잼에 그 기호도와 물성의 유의적 저하 없이 해당화 열매의 기능성이 추가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응고제 종류가 감 분말 첨가 두부의 품질과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fferent Coagulants on Quality of Tofu Incorporated with Persimmon Fruit Powder)

  • 이윤래;정헌식;성종환;문광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678-683
    • /
    • 2011
  • 떫은감 분말 첨가 두부의 수율, 품질 및 저장성에 응고제의 종류(magnesium chloride, calcium chloride, calcium sulfate, glucono-${\delta}$-lactone)가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Glucono-${\delta}$-lactone으로 응고시킨 두부가 가장 높은 수율, hardness, chewness, crispness, overall acceptability 및 가장 낮은 L값, b값, pH, 침지저장액 탁도, 총균수를 보였다. Calcium sulfate와 calcium chloride으로 응고시킨 두부는 비교적 높은 L과 b값을 나타내었다. Magnesium chloride로 응고시킨 두부는 관능적 품질특성(firmness, taste, overall acceptability)이 glucono-${\delta}$-lactone 응고 두부와 상호 유의적인 차이가 없이 비교적 높게 평가되었다. 이러한 결과로써 glucono-${\delta}$-lactone과 magnesium chloride가 떫은감 분말 첨가 두부 제조에 적합한 응고제로 판단된다.

Browning technology for shiitake in sawdust using LED source

  • Koo, Jinmo;Lee, Sang-Hwa;Lee, Sung-Hak;Park, Woo-Ram;Hwang, Jae Soon;Kim, Minkyeong;Jun, Hyungseo;Jung, Hee-Young;Jo, Woo-Sik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31-333
    • /
    • 2018
  • The incorporation of Shiitake culture into sawdust is a widely utilized technique that can assist in reducing the cost and time consumption associated with oak cultivation. In sawdust cultivation, browning of the surface mycelia is an important stage with respect to the utility and longevity of the sawdust media. Surface browning forms a protective coating on the substrate, which can inhibit the invasion of pathogens and suppress water evaporation. Several different light sources (red LED, white LED, blue LED, and fluorescent light) were used and the intensity of illumination was carefully controlled (1.5, 10.5, $20.5{\mu}mol/m^2s$ for LEDs and 10, 100, 300 lux for the fluorescent light) to induce browning. The light sources were regulated via a 1 h on/off cycle in a controlled room environment at a temperature of $20^{\circ}C$, 60% humidity, and 1200 ppm $CO_2$ concentration for 60days. The browning effect varied depending on the source and the intensity of illumination. This effect was most effectively induced at $1.5{\mu}mol/m^2s$ for the red and blue LEDs. All light sources induced less browning at the highest intensity of illumination. This indicates that intensity values higher than $20.5{\mu}mol/m^2s$ in the case of the LEDs and 300 lux for the fluorescent light are not effective. After harvesting of the fruit bodies, we measured the weight, length, and width of the pileus and stipe in addition to their chromaticity and hardness. Treatment with $1.5{\mu}mol/m^2s$ blue LED produced the best harvest with the highest average chromaticity, weight (21.2 g), stipe length (30.8 mm), and hardness (377.9 g), with a fine length and width of the pileus.

느타리버섯 봉지재배시 첨가제 및 첨가량이 균사배양 및 자실체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n Mycelial Growth and Fruit Body Development According to Additives and Mixing Ratio in Pot Cultivation of Pleurotus ostreatus)

  • 이윤혜;조윤정;김희동
    • 한국균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04-108
    • /
    • 2002
  • 느타리버섯 봉지재배의 첨가제 및 첨가량에 따른 균사배양 및 자실체 생육특성을 비교하여 적정 배지를 개발하고자 기본배지로 미루나무톱밥과 야외발효를 한 폐면을 부피비로 동량 혼합한 후 첨가제는 미강, 비트펄프, 면실박을, 첨가량은 10, 20, 30%로 각각 혼합하여 시험한 결과 배지의 pH와 총탄소량은 처리별 큰차이 없으나 총질소량이 면실박 첨가구에서 높아 이에 따라 C/N율이 낮아졌다. 균사배양 완류 후 배지 경도는 미강 첨가구에서 $22.9{\sim}37.9kg/cm^{2}$로 가장 높았으나 비트펄프는 $9.3{\sim}11.6kg/cm^{2}$으로 낮았으며 첨가량이 많아짐에 따라 배양일수가 지연되었고 이에 따라 재배기간이 길었고, 비트펄프 첨가구에서 $58{\sim}60$일로 짧았으며, 면실박을 20% 이상은 혼합시 균사 배양과 자실체 발생은 되나 높은 질소량에 따른 낮은 C/N율로 자실체 생육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또한 1주기에 대한 2주기의 수확가능한 수확율은 비트펄프 첨가구에서 $75{\sim}85%$로 가장 높아 2주기까지 안정한 수확이 가능하였고 수량 및 생물학적효율은 비트펄프 20% 첨가시 가장 높았다.

감귤과피 물 균질액으로 가공한 유색미의 취반 특성 (Cooking Characteristics of Coated Rice with Water Homogenate of Citrus Fruits Peel)

  • 서성수;김미향;노홍균;김순동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18-325
    • /
    • 2002
  • 감귤과피 물 균질액으로 코팅한 유색미의 취반 특성을 조사하였다. 유색미의 색상은 진노랑L*; 63.6, a*; -7.87, b*; 46.35)으로 취반 후에도 유사한 색상을 나타내었다. Total carotenoids는 감귤과피에서는 10.74mg%, 과피의 물 균질액에는 0.46mg% 이었으며 유색미에는 0.l2mg%, 유색미 취반에는 0.05mg%를 나타내었다. Hesperidin은 과피, 물 균질액, 유색미 및 유색미 취반에서 각각 2173.l2mg%, 108.65mg%, 21.73mg% 및 8.67mg%이었으며, naringin은 각각 1468.40mg%, 73.38mg%, 14.62mg% 및 5.87mg%를 나타내었다. 감귤과피의 유리아미노산은 asparagine이 94.22mg%로 가장 높았으며, methionine이 24.88mg%, alanine이19.64mg%, ${\gamma}$-aminoisobutylic acid가 15.37mg%로 이들 4종의 아미노산이 전체 유리아미노산 함량의 70%를 나타내었다. 유색미 취반에는 백미 취반에 비하여 총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이 15%정도 증가되었으며, 그 중에서 glutamic acid는 2.5배가 증가되었다. 감귤과피의 주요 무기질은 K(652.60mg%)와 Ca(222.50mg%)로 전체 무기질 함량의 86%를 차지하였으며 유색미 취반은 백미 취반에 비하여 K는 2.3배, Mn는 76%, Ct P, Mg은 16~26%, Fe는 13%가 각각 증가되었다. 취반의 경도(harness), 점착성(gum-miness) 및 깨짐성(brittleness)은 유색미 취반과 백미 취반간에 차이가 없으나 응집성(cohesiveness)과 탄력성(springiness)은 유색미 취반에서 높았다. 색상에 대한 기호도, 구수한 맛 및 종합적인 기호도는 유색미 취반에서 높았으며 단맛, 쓴맛은 백미 취반과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경우와 비슷한 좋은 결과를 보여 활동성 심내막염의 조기 외과적 치료가 효과적으로 감염을 제거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N-화합물의 함량과 이들의 수량에 미치는 붕소의 시비효과는 초종, 단파와 혼파재배, 그러고 추비의 시비조건에 따라서 차이가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