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uctus Trichosanthis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17초

청열약(淸熱藥)의 질내(膣內) 미생물(微生物)에 대(對) 항균효과(抗菌效果) (Antibiotic Effect of Heat-Clearing Medicinals on Vaginal Microorganisms)

  • 조정훈;장준복;이경섭;김경직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75-190
    • /
    • 2006
  • Purpose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n vitro inhibitory effects of heat-clearing medicinal on common bacterias in gynecology. Methods : The heat-clearing medicinals ( Trichosanthis Radix, Sophorae Fructus, Phragmitis Rhizoma, Buddleiae Flos, Bambusae Folium, Anemarrhenae Rhizoma, Celosiae Semen, Gardeniae Fructus, Prunellae Spica, Sophorae Radix, Dictamni Radicis Cortex, Coptidis Rhizoma, Gentianae Scabrae Radix, Scutellariae Radix, Phellodendri Cortex) were used in this study. Staphylococcus aureus, MRSA, Candida albicans and Gardnerella vaginalis were used for vaginal pathogenic microorganisms. Streptococcus spp., Escherichia coli HB101, Lactobacillus gasseri were used for normal vaginal florae. We evaluated antibiotic effect by the optical density and the colony test. Results : The optical density and colony test showed that Celosiae Semen, Prunellae Spica, Scutellariae Radix and Phellodendri Cortex of herbs among heat-clearing medicinal had antimircobial effect. Celosiae Semen and Prunellae Spica had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and selective toxicity in MRSA. Scutellariae Radix and Phellodendri Cortex had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and selective toxicity in Gardnerella vaginalis. Conclusion :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we could suggest that Celosiae Semen, Prunellae Spica, Scutellariae Radix and Phellodendri Cortex among heat-clearing medicinal be available to antimicrobial agent of vaginal pathogenic microbial species in vitro.

  • PDF

산후 약선식 개발을 위한 조선시대 관련의서 고찰 -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 「동의보감(東醫寶鑑)」, 「방약합편(方藥合編)」을 중심(中心)으로 - (The Literature Study of Traditional Diet Therapies on Postpartum Recovery & Lactation in the Joseon Dynasty)

  • 김정은;김병숙;안지영;김윤경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90-99
    • /
    • 2013
  • Objectives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traditional diet therapies for the period of postpartum recovery and lactation and to develop modern postpartum recovery foods. Korean traditional medical treatment for postpartum care focused on treating postpartum obesity, edema, agalactia was studied. Methods : We investigated the documents recorded in the medical classics of "Hyangyakjipseongbang(鄕藥集 成方)", "Donguibogam(東醫寶鑑)" and "Bangyakhappyeon(方藥合編)" published in 1433, 1613 and 1885 respectively in the Joseon Dynasty. Results : First, Radix Angelicae Sinensis was most frequently used to treat the postpartum obesity, and a lot of nourishing herbs including Radix Paeoniae Alba, Radix Astragali, Radix Ginseng, Rhizoma Chuanxiong were also used. Second, Radix Glycyrrhizae, Rhizoma Atractylodis Macrocephalase, Pericarpium Citri Reticulatae, Rhizoma Zingiberis Recens were used to treat the postpartum edema. Third, Radix Rhapontici, Medulla Tetrapanacis, Fructus Trichosanthis etc. were used to treat the postpartum agalactia. Conclusions : Consequently, we hope this study on the prescriptions and herbs for gynecology in "Hyangyakjipseongbang(鄕藥集成方)", "Donguibogam(東醫寶鑑)" and "Bangyakhappyeon(方藥合編)" will provide knowledge for diet therapy model development of postpartum care of the modern times.

한약재 중 제랄레논의 탕액으로 이행률 조사 (Investigation of the Transfer Rate of Zearalenone in Herbal Medicines to Their Decoction)

  • 심원보;송정언;김정숙;정영철;정덕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312-316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탕액에 존재하는 제랄레논의 분석을 위한 HPLC법을 확립하고 탕액조제 시 한약재로부터의 제랄레논 이행률을 조사하였다. 한약재 (괄루인, 두충, 복분자)에 제랄레논을 임의의 농도로 오염시켜 수침 및 비수침 과정을 거친 후 상압가열 ($100^{\circ}C$, 3 h)과 고압가열 ($121^{\circ}C$, 1 h)하여 탕액을 조제한 다음 탕액과 한약재 잔류물로 분리하고 immunoaffinity column으로 정제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가열처리를 하지 않은 탕액 제조 전 원료 한약재에 대한 회수율은 괄루인 83.7-95.5%, 두충 81.9-99.7%, 복분자 79.1-82.3%로 분석에 이용이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고, 3종의 한약재 중 회수율이 가장 좋은 두충을 선택하여 탕액을 조제한 후 탕액과 한약재 잔류물에 대한 회수율 측정한 결과 탕액에서는 68.4-83.7%, 한약재 잔류물에서는 72.9-80.3%로 원재료 보다는 낮은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한약재에서 탕액으로 제랄레논의 이행률은 한약재 원재료에 제랄레논을 임의의 농도로 오염시킨 후 탕액을 조제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탕액에서는 제랄레논이 검출되지 않았고, 괄루인과 복분자 잔류물에서는 수침 시료의 경우 17.04-22.99%, 비수침 시료의 경우 10.17-18.33%의 제랄레논이 검출되었다. 그리고 두충 잔류물에서는 수침 시료의 경우 10.44-17.16%, 비수침 시료의 경우 12.42-17.75%가 검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탕액에서 제랄레논이 검출되지 않아 이행률은 낮은 것으로 판단되나 보다 탕액 조제과정 중 첨가물에 의해 이행이 일어날 수 있는 가능성은 여전히 존재하기 때문에, 제랄레논을 포함한 곰팡이독소에 안전한 한약재의 확보를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유통 중인 한약재를 포함하여 조제포장되어 판매되는 탕액에 대해서도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