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ozen storage

검색결과 482건 처리시간 0.026초

Differentiation of Deboned Fresh Chicken Thigh Meat from the Frozen-Thawed One Processed with Different Deboning Conditions

  • Bae, Young Sik;Lee, Jae Cheong;Jung, Samooel;Kim, Hyun-Joo;Jeon, Seung Yeop;Park, Do Hee;Lee, Soo-Kee;Jo, Cheorun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73-79
    • /
    • 2014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ree deboned categories of chicken thigh meat: one which was slaughtered and deboned in the same plant (fresh); one which was slaughtered, deboned, frozen, and thawed in the same plant (frozen-thawed); and the last which was slaughtered in a plant, deboned in a different plant, but then transferred to the original plant (fresh-outside). Surface color, drip loss, 2-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value, sensory evaluation, and total aerobic bacterial counts of the chicken samples were determined. Moreover, the torrymeter was used to measure the differences in freshness of the chicken meat. The surface color and the TBARS value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three categories. However, the total aerobic bacterial counts of fresh-outside and frozen-thawed chicken meat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fresh chicken meat on the first storage day, and the drip loss of frozen-thawed chicken mea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fresh-outside and fresh chicken meat. In addition, the sensory evaluation of frozen-thawed chicken meat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fresh-outside and fresh chicken meat. Torrymeter values were higher in fresh chicken meat than fresh-outside and frozen-thawed chicken meat during the storage perio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quality of frozen-thawed chicken meat is comparatively lower than the fresh chicken meat, and the torrymeter values can accurately differentiate the fresh-outside and frozen-thawed chicken meat from the fresh ones.

돈 내장육의 냉동저장에 따른 품질변화 (Changes in the Quality of Pork Organ during Frozen Storage)

  • 양재영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2-17
    • /
    • 1989
  •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quality of pork organs such as the meat of large intestine, small intestine and liver during frozen storage at -18$\pm$1$^{\circ}C$. The result obtained were as follows ; 1 The moisture contents in the meat of large intestine, small intestine and liver was 61.1%, 65.1% and 71.3% and the content of crude fat was 27.1%, 21.5% and 5.0% respectively, 2. Weight loss increased In the course of storage period, and liver showed the least weight loss in them. 3. Total lipid in the meat of large intestine, small intestine and liver was 24.4%, 19.2% and 4.3% respectively, and which decreased gradually in the course of storage period. 4. The content of volatile basic nitrogen in raw meat was 20 mg% within and without before storage treatment, and that of the value was 24.2 mg% within after 3 weeks storage.

  • PDF

동결저장온도가 냉동만두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reeze Storage Temperature on the Storage Stability of Frozen Mandu)

  • 정진웅;조진호;김영동;권동진;김영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527-531
    • /
    • 1991
  • 냉동만두의 동결저장온도가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0,\;-5,\;-10,\;-20^{\circ}C$$-30^{\circ}C$에서 6개월간 저장하면서 주요 품질지표성분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저장온도별 저장기간에 따른 관능검사, 이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품질변화는 $0^{\circ}C$에서는 1개월 이후부터, $-5^{\circ}C$에서는 3개월 이후 그리고 $-10^{\circ}C$에서는 5개월 이후부터 비교적 빠르게 진행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20^{\circ}C$ 이하에서는 저장 6개월까지 저장초기의 상태와 거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품질평가방법을 도출한 결과, 냉동만두의 품질유효지표성분은 POV 및 AV로서 그 함량의 상한선은 각각 19.35meq/kg 및 2.56 이었으며, 이와 관련하여 냉동만두의 저장온도별 유통 기간도 설정하였다.

  • PDF

정어리 스테이크의 가공 및 동결저장 중의 품질 안정성 (Processing Conditions and Quality Stability of Sardine Steak during Frozen Storage)

  • 오광수;조순영;차용준;이응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33-138
    • /
    • 1984
  • 정어리냉동스테이크의 가공조건을 구명하고 아울러 대두단백질과 옥수수녹말의 첨가가 정어리스테이크의 품질안전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정어리스테이크를 가공하기 위해서는 정어리육에 대해 탄산수소나트륨 0.5%, 식염 1.5%, 축합인산염 0.2%, 설탕 2%, 글루탐산나트륨 0.2%, 향신료로서는 후추가루, 마늘가루 및 nutmeg을 각각 0.2%씩 첨가하여 고기갈이를 한 다음 $-3{\sim}-5^{\circ}C$에서 36시간 저장하여 텍스쳐를 개선시킨 후 동결저장하는 것이 가장 좋았다. 그리고 대두단백질을 3 %첨가한 제품이 유리드립, 가압드립, 색조변화, 단백질변성 지방산패억제 및 텍스쳐 개선효과 면에서 가장 우수했으며 관능검사결과 정어리스테이크는 동결저장 90일동안 품질이 안전하게 유지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말쥐치 동건품의 가공조건 및 저장중의 품질변화 (Processing Conditions and Quality Stability during Storage of Frozen-dried Filefish)

  • 이응호;김희윤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11-116
    • /
    • 1982
  • 말쥐치를 보다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서 말쥐치 동건품의 가공사건 및 저장중의품질변화를 실험하였다. 동결온도 $-10^{\circ}C$이고 송풍해동조건이 온도 $56\pm2^{\circ}C$, 풍속 1 m/sec 일 때 동결시간 10시간, 해동시간2시각, 동결 및 해동포수는 5소파 가장 적합하였다. 이 때 제품의 수분사양은 $23.6\%$, 수율은 $10.2\%$였다. 상온에서 함기포장하여 저장한 결과 90일까지는 품질에 큰 변화 없이 저장 가능했다. Omission test결과 제품의 맛에는 유리아미노산과 5'-mononucleotide가 주된 구실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말쥐치 동건품과 시판 동건명태는 관능 검사결과 맛, 냄새, 텍스튜어 등이 거의 비슷하였다.

  • PDF

주년공급을 위한 풋땅콩 냉동가공기술 개발 (Development of Frozen Vegetable Groundnut Product for Year-round Supply)

  • 손영구;황종진;김선림;허한순;박장환;김석동;이춘기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326-330
    • /
    • 1998
  • 풋땅콩의 고유특성을 유지하고 영양성분의 손실과 변패에 의한 상품성 하락을 방지하면서 장기간 안전하게 저장할 수 있는 풋땅콩 냉동가공제품을 개발하기 위하여 건조용 땅콩의 일반수확기보다 20-30일 정도 이른 9월 10일경에 조기 수확한 대풍땅콩, 대광땅콩 및 신대광땅콩을 10$0^{\circ}C$ 수증기로 5분간 쪄서 효소를 불활성화 시키고 방냉한 후 0.08mm P.V.D.C 필름봉지에 감압밀봉포장 하고 -7$0^{\circ}C$의 초저온냉동고에 24시간동안 급속동결시킨 후 다시 -2$0^{\circ}C$의 일반냉동저장고에 옮겨 2개월간 저장 후 그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냉동풋땅콩은 건조땅콩에 비하여 수분함량이 30% 이상 높고, 경도가 낮아 조직이 유연하며 유리당을 0.12-0.36% 함유하여 물성과 맛이 좋았다. 저장 중 내피의 수용성 탄닌이 불용화되어 껍질채 먹을 수 있고, 건조땅콩보다 산가가 1/5 수준으로 낮았으며 식미에 있어서도 공시 3품종 모두 보통 이상으로 나타나 고품질 대중건강식품으로 활용될 수 있을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Effects of Processing Conditions on the Protein Quality of Fried Anchovy Kamaboko Engraulis japonica

  • Ramos, Leny R. Ordonez;Choi, Nam-Do;Ryu, Hong-Soo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5권4호
    • /
    • pp.265-273
    • /
    • 2012
  • The effects of processing and frozen storage conditions on the quality of anchovy Engraulis japonica fried surimi gels were investigated. Protein content decreased after surimi gel processing from 19.6% (raw meat) to 12.1% (kamaboko) due to the added ingredients and change in water content. Lipid content decreased from 2.8% (raw meat) to 1.3% in minced and 0.5% in surimi, but fried kamaboko showed a 6.9 % lipid level. Thiobarbituric acid values and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levels were highest in kamaboko samples, 89.5 and 1.9 mg/g solid, and increased gradually with storage time to 101.8 and 4.6 mg/g solid, respectively. In vitro protein digestibility increased from 79.2% in raw anchovy to 88.5% in kamaboko samples. Levels of trypsin inhibitor decreased gradually with processing and during storage time from 2.43 in raw anchovy to 0.31 mg/g solid in the kamaboko sample after 60 days of frozen storage. No noticeable changes in total essential amino acid was observed during processing conditions. Computed protein efficiency ratio for kamaboko was highest (2.59) compared with whole anchovy (1.96), minced (1.94) and surimi (2.50). Fresh fried anchovy kamaboko showed similar values of hardness, springiness, gumminess and chewiness to commercial surimi gel, but a higher values were seen for fracturability and adhesiveness, and lower values for cohesiveness and resilience. The frozen and thawed anchovy kamaboko showed higher values for all of these rheological parameters compared with fresh and commercial kamaboko. Anchovy kamaboko showed the lowest lightness (62.9) and redness (0.16) and similar yellowness (11.9) compared with commercial kamaboko. Frozen storage and vacuum packaging were effective maintaining the shelf life of anchovy kamaboko within 30 days, but were not effective after 45 days due to fat oxidation.

김치저장성 향상을 위한 동결방법이 배추조직의 물성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reezing Methods for Kimchi Storage Stability on Physical Properties of Chinese Cabbage)

  • 양진한;박소희;유진현;임호수;황성연;조재선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05-110
    • /
    • 2003
  • 김치를 $10^{\circ}C$에서 8일간 숙성시켜 산도 $0.6{\sim}0.7%$로 숙성된 김치를 $-70^{\circ}C$$-20^{\circ}C$로 냉동하여 $-20^{\circ}C$에서 저장하면서 배추 조직의 elasticity, hardness, 세포 조직의 변화, 드립양을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70^{\circ}C$에서 급속 동결한 것과 $-20^{\circ}C$에서 완만동결한 냉동 김치중 배추조직의 elasticity는 냉동저장 15일까지 감소하다 일정하게 유지되었고 hardness는 거의 변화가 없었으며 냉동 방법에 따른 변화도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투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control의 경우 세포벽이 매우 두꺼우며 세포의 모양들이 잘 보존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었고 $-20^{\circ}C$로 냉동 처리하여 해동시킨 세포벽들은 많이 손상되어 있음을 볼 수 있었으며 $-70^{\circ}C$로 급속 냉동 시료의 경우 세포벽의 손상 정도가 $-20^{\circ}C$로 냉동 처리한 시료보다 덜 파괴되어 있음을 볼 수 있었다. 한편 냉동 저장기간 동안 드립의 손실량의 변화는 $-70^{\circ}C$로 냉동 처리한 시료의 드립양은 $3{\sim}4%$정도로 $-20^{\circ}C$로 냉동 처리한 시료의 $5{\sim}6%$에 비해 적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저장기간에 따른 동결채소의 품질 변화 (Changes in the quality of frozen vegetables during storage)

  • 이혜옥;이영주;김지영;권기현;김병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96-303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동결채소의 저장 중 품질 변화를 측정하여 동결채소의 장기저장 가능성과 이용 가능성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수확직후 여러 가지 채소는 선행실험을 통한 최적 조건에서 blanching 처리한 후 $-40^{\circ}C$에서 24시간 동안 급속동결시켜 $-20^{\circ}C$에서 저장하면서 분석하였다. 동결시킨 취나물, 콩나물, 얼갈이배추, 애호박 및 대파는 저장 기간 12개월 동안 색도의 증가와 감소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취나물, 애호박 및 대파의 경도는 저장기간 동안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였고, 얼갈이배추는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반면에 콩나물의 자엽부와 배축부는 저장 6개월째에 경도가 큰 폭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저장기간 동안 취나물의 총균수는 $10^3$ CFU/g 수준을 콩나물, 얼갈이배추, 애호박 및 대파는 $10^2$ CFU/g 수준을 유지하였으며, 대장균군은 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관능검사는 외관, 색, 이취, 조직감 그리고 맛 등의 전반적인 품질 요소들을 종합하여 전체기호도를 조사한 결과 5점을 marketable의 한계점으로 두었을 때 저장기간에 따른 동결채소의 상품성에는 큰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동결 취나물, 콩나물, 얼갈이배추, 애호박 및 대파는 동결저장 12개월까지 저장 안전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An Efficient Correction Storage Scheme for Unsteady Flows

  • Kim, Youn J.;Cheong, Jo-Soon
    • Journal of Mechan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5권1호
    • /
    • pp.125-138
    • /
    • 2001
  • An efficient correction storage scheme on a structured grid is applied to a sequence of approximate Jacobian systems arising at each time step from a linearization of the discrete nonlenear system of equations, obtained by the implicit time discretization of the conservation laws for unsteady fluid flows. The contribution of freezing the Jacobian matrix to computing costs is investigated within the correction storage scheme. The performance of the procedure is exhibited by measuring CPU time required to obtain a fully developed laminar vortex shedding flow past a circular cylinder, and is compared with that of a collective iterative method on a single grid. In addition, some computed results of the flow are presented in terms of some functionals along with measured data. The computational test shows that the computing costs may be saved in favor of the correction storage scheme with the frozen Jacobian matrix, to a great exte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