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Froude 상사법칙

Search Result 20,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Analysis of Hydraulic Similarity at Surcharged Square Manhole (과부하 사각형 맨홀에서의 수리학적 상사성 분석)

  • Kim, Jung-Soo;Yoon, Young-Noah;Han, Chyung-Such;Yoon, Sei-Eu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510-514
    • /
    • 2008
  • 우수 관거 시스템에서 맨홀의 설치 시 연결관 내부와 맨홀의 내부는 여러 가지 수리학적 조건이 다르므로 수두손실의 발생이 필연적일 수밖에 없다. 현재 계획 또는 설계단계에서 수행되고 있는 관거 시설의 수리계산에는 연결관 내에서의 마찰손실만을 고려하여 설계를 수행하고 있으며, 맨홀에서의 수두 손실은 거의 대부분 고려되지 않고 있다. 단지 맨홀에서의 수두손실을 저감하기 위하여 하수도시설기준(환경부, 2005)상의 단차 및 인버트 규정만 있을 뿐, 우수 관거 설계에 직접적으로 필요한 적절한 맨홀의 손실계수가 제시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국외에서는 축소 수리 모형을 이용한 실험과 수치해석 기법 등을 이용하여 맨홀에서의 손실계수를 산정하는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어 왔으나 국내에서는 맨홀의 손실계수 산정에 관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며, 더욱이 맨홀에서의 손실계수 산정을 위한 상사성 적용에 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맨홀의 축척 변화에 따른 손실계수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하수도시설기준(환경부, 2005)의 특 1호(사각형) 맨홀을 각각 1/2과 1/5로 축소 제작하고, 수리실험 장치를 제작하였다. Froude 상사 법칙을 적용하여 1/2의 축소 모형의 실험 조건을 1/5 축소 모형의 값으로 환산하였으며, 각 축소 모형에 대한 수리 실험을 실시하였다. 과부하된 맨홀의 손실계수를 예측하는데 Froude 상사법칙의 사용 가능성을 확인 하였으며, 1/2 축소 모형과 1/5 축소 모형에서 산정된 손실계수 값이 0.45로 일치하고 있으므로 우수 관거 시스템의 맨홀 설계 시, 축소 수리 모형실험에서 산정된 손실계수의 직접적인 적용이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 PDF

Buoyant Slot Jets in Flowing Environment (가로흐름에 방류(放流)되는 평면부력(平面浮力)?)

  • Yoon, Tae Hoon;Han, Woon Woo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8 no.3
    • /
    • pp.53-60
    • /
    • 1988
  • The behavior of plane buoyant jet issuing vertically upwards into cross flow is analysed by experiments and integral scheme. The integral scheme is based on the self similarity and characteristic length scales to governing equations of continuity, momentum and constituent transport equation,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flow region, respectively. Jet trajectories and the temperature distributions of jet centerlines obtained from experiments are analysed for various velocity ratios and densimetric Froude numbers. It was found that the analytical results about the trajectories and temperatures of jet center lines agree with the experiments and can be expressed as power laws.

  • PDF

Analysis on Dimensional Stability of Porosity Soil Block for Vegetation Reinforcement (식생강화를 위한 다공성 소일 블록의 치수안정성 해석)

  • Park, Sang Woo;Ahn, Tae Jin;Ahn, Sang Ho;Kwon, Soon Hyun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5 no.1
    • /
    • pp.91-103
    • /
    • 2013
  • In this Research, in order to improve problems of not enough technical validation and structural and hydraulic stability evaluation when nature-friendly revetment block is applied to field, hydraulic stability evaluation according to hydraulic behavior change of porosity soil block for vegetation reinforcement that secures ecological function was reviewed. By selecting object section, numerical analysis and hydraulic model experiments were performed; for numerical analysis, by using 1-dimensional numerical analysis model HEC-RAS and 2-dimensional numerical analysis RMA-2, one-dimensional(1D) and two-dimensional(2D) numerical analysis were performed; by applying Froude's similarity law, reduced-scale hydraulic model experiments according to vegetation existence were performed. In hydraulic model experiment, for validity of experiment result, the result of velocity and tractive force of reduced-scale hydraulic model experiments was converted to prototype so that it can be compared and reviewed under the same condition of one-dimensional(1D) and two-dimensional(2D) numerical analysis result;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comparatively united result appeared, and by comparing prototype-converted tractive force result with revetment's allowable tractive force coming from an existing research, block's hydraulic stability was suggested.

An Application of Radio-Controlled Model Testing Techniques to Validation of Air-Vehicle Design Configuration (비행체 설계 형상 타당성 확인을 위한 무선조종 모형시험 기법 적용)

  • Chung, In-Jae;Kim, Myung-Se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35 no.1
    • /
    • pp.66-72
    • /
    • 2007
  • an approach to air-vehicle design, an application of the radio-controlled model flight test techniques has been presented. The approach presented in this study is to validate the air-vehicle design configuration by analyzing the flight test results of scale model with dynamic similarities, and then to apply the analyzed results to the aerodynamic design process in early stage of the air-vehicle development. To develop practically applicable similarity laws for the subscale flying model design, the air-vehicle motions are decoupled into rotational motions for stability & control similarities and translational motions for flight performance similarities. Also, detail techniques for radio-controlled model flight test have been developed. Based on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radio-controlled flight test, the present approach for air-vehicle design has shown to be useful to validate the air-vehicle design configuration.

Effects of Energy-Dissipation by Stepped Gabion Slope in Rapidly Varied Flow (계단식 Gabion의 경사에 따른 급변류의 에너지 소산효과)

  • Kuem, Do-Hun;Lee, Chang-Yun;Bae, Sang-Soo;Lee, Seung-Yun;Jee, Hong-K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605-1610
    • /
    • 2006
  • 계단식 Gabion 낙차공은 다공체 구조물로서 시공하기 쉽고 안정적이며, 하천유수에 대하여 저항성이 있어 하천구조물로서 널리 자주 사용되고 있다. Gabion은 다공체로서 유수력을 쉽게 흡수함으로써 감세지 계단표면의 위치에너지를 소산시키는데 매우 효과적이다. Stephenson은 1/10 축적을 가진(투수성이 있고 하천낙차공에만 적용되는 투수성 상류면을 가진 높이 4m까지의) 계단식 Gabion을 월류 실험한 바가 있으며, 그 연구결과가 실무에서 인용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급변류의 에너지 소산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중력이 다른 힘들보다 지배적이므로 Froude 상사법칙을 이용하고 1/1, 1/2, 1/3 경사를 가진 계단을 적용하였다. 실험에서는 경사를 가진 높이 4m 계단식 위어와 게비온 감세지 실험, 계단모형실험(보통구조, 층상구조, 끝단이 올라간 구조, 턱을 가진 구조), 격리수맥흐름, 부분수맥흐름으로 제안하여 경사에 따른 급변류의 에너지 소산효과에 대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Plane Experiment Study on Drainage Capacity of Sluice Gate by Slope and Length of Apron (Apron 경사 및 길이에 따른 수문구조물 배수능 평면실험 연구)

  • Yoon, Kwang-Seok;Yeo, Kyu-D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1031-1035
    • /
    • 2005
  • 조력발전 건설사업에서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사항은 조수간만에 의해 외해부와 조지부 사이를 이동하는 해수를 적절히 소통시키는 것이다. 즉, 조력발전소에서 수문구조물의 목적은 주어진 조건 하에서 계획된 유량을 충분히 그리고 안전하게 배제시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문구조물에 대한 Apron의 길이와 경사의 변화에 의한 외해 조위와 시화호 수위차 조건에 따른 유량계수를 구해 배수능력과 유$\cdot$출입부, 외해, 시화호 및 큰가리섬 주위의 흐름 특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시화호를 실험대상으로 하여 구조물을 중심으로 외해측으로 1,000m, 시화호측으로 500m, 폭 1,500m의 범위를 선정하였다. 수리모형을 1대50의 축척비로 제작하였다. 표 1은 실험별 Apron과 수문구조물의 제원을 나타내며, 수문구조물은 7기로 이루어졌다. 시화호의 흐름은 관성력과 중력이 지배력이 되며, 이때 상사법칙은 Froude 상사법칙을 적용할 수 있다. 실험III은 실험II에서 Apron의 경사를 1대10에서 1대5로 수정한 실험으로 수위조건은 외해측 -2.530 EL.m이고, 시화호측은 -1.603EL.m이다. 유량계수를 산정하기 위하여 6개 실험조건을 기본계획에서 제시된 수위-조위 조건에서 수위차 및 통수유량을 분배하여 결정하였고 유량계수 산정식에 따라 구조물의 유입부와 유출부에서 유속-면적법에 의해서 유량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국부평면 실험모형에서의 전체적인 해류의 흐름을 분석하기 위해 2차원 유속을 측정하였다. 또한, 유$\cdot$출입부 안정성을 검토하기 위해 Apron 지점과 수문구조물 지점에 3점법으로 유속을 측정하였으며, 색소를 이용하여 유황을 관찰하였다. 시화호와 외해의 수위차가 1.011 m일 때의 전체 수문구조물을 통과하는 유량을 비교한 결과, 실험II 및 실험III의 통과유량은 각각 $10,924m^3/s$$10,075m^3/s$로서 실험 I의 $2,757m^3/s$에 비해 통수능이 많이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다.

  • PDF

Experimental study for analysis of hydraulic characteristics around dams (댐 주변의 수리특성 분석을 위한 실험적 연구)

  • Baek, Donghae;Yoon, Jae-Seon;Lee, Byeong Wook;Jang, Eun Cheul;Song, Hyun-G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257-257
    • /
    • 2022
  • 댐 건설은 홍수 및 가뭄에 대응하기 위한 구조적 방법으로써 우리나라와 같이 지표수에 의존적인 지역에서는 가용 수자원을 확보하기 위한 확실한 수단으로 활용되어왔다. 신규 댐의 건설은 대상 하천의 수리학적 특성에 큰 변화를 야기할 수 있으며, 댐의 안정성 및 하천의 하도보호를 위해 댐 주변의 수리적 특성의 변화에 대해서도 사전에 인지하여 설계 시 반영할 필요가 있다. 수공구조물 신설에 따라 변화되는 수리학적 특성을 분석하는 방법으로는 그 수단에 따라 상사법칙을 적용한 수리모형실험과 수치기법을 활용한 수치모형실험으로 나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리모형실험을 통한 실험적 방법을 이용하여 댐 상하류 구간의 수리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해당 실험은 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의 대형수리모형실험시설에서 수행되었다. 적용대상 댐의 제원은 높이 약 70m, 길이 약 230m이며, 폭 55m의 여수로를 포함하는 구조로 설정하였다. 수리모형은 Froude 상사법칙을 적용하여 1/30 규모로 축소하였으며, 콘크리트 및 아크릴 재료를 이용하여 제작되었다. 댐 모형이 설치되는 하천구간은 댐 구조물을 포함하여 실규모를 기준으로 흐름방향으로 약 800m, 하폭방향으로 약 450m의 범위를 포함하도록 설계되었으며, 하류구간에 사행하천이 존재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실험에서 유량은 총 12개의 펌프를 이용하여 공급되었으며, 최대 4cms에 해당하는 유량공급이 가능하도록 설계하였다. 공급유량은 정교한 절차에 의해 보정된 전자식 유량계를 통해 통제되었으며, 사용된 유량계의 허용오차는 약 0.5%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수위 측정은 오차범위 0.05mm 수준의 초음파 수위측정기를 이용하였으며, 유속측정은 약 0.5cm/s의 정확도를 지닌 3차원 전자기 유속계를 이용한 접촉식 측정과 흐름구조 가시화를 위한 비접촉식 입자추적기법을 병행하였다. 실험조건은 실규모 기준으로 방류량 3,000~5,000cms에 대해 수행하였으며, 각 방류량별 댐 상하류의 흐름패턴에 대해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 PDF

Treatment of Nutrients Using the Upflow Vegetated Filter (상향류식 수초여과지를 이용한 영양염류처리)

  • Lee, Jun-Ho;Bang, Ki-Woo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28 no.12
    • /
    • pp.1287-1292
    • /
    • 2006
  • Constructed wetlands are well known as highly efficient system to treat wastewater from different sources. Among the constructed wetlands, upflow types of constructed wetlands have become a common selection of wastewater during the last decade. We conducted a pilot scale study at peen house on treating potential of nutrients by upflow vegetated filter(UVF) pilot wetland which was combined with hydrodynamic separator and used the cattail plant(Typha angustifolia), and operated with artificial nutrients influent. This study evaluate the performances of upflow vegetated fille, in removal of nutrient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wo-fold: (i) to evaluate the nutrients removal performance of pilot-scale upflow vegetated filter, filled with a mixture of perlite and soil media and planted with cattails and (ii) to design of scale-up upflow vegetated filter using Froude number. Results indicated that, under the condition of the ranges of hydraulic surface load rate were $22.7{\pm}9.6\;m^3/m^2/day$, the average removal of $COD_{Mn}$, and TN, TP were 57.5%, 40.0% and 41.5%, respectively.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FLUENT 6.0 program was used to predict the distribution of velocity in UVF and hydrodynamic separator. Full scale UVF was designed using the Froude number scale-up method that was assumed geomertic similarity between model and prototype. Result shows that the UVF with 3 m diameter has capacity of design sewage flowrate 75 $m^3/day$.

Hydraulic Characteristics of Train Carriage Artificial Reef in Wave and Current Field Conditions (파랑.흐름 공존장에서의 철도차량 인공어초의 수리학적 특성)

  • Sohn, Byung-Kyu;Yi, Byung-Ho;Yoon, Han-Sam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35 no.1
    • /
    • pp.108-117
    • /
    • 2011
  • Old train carriages have been used to create artificial reefs (AR) as part of programs to enhance ocean fisheries and recreational resources. This study conducted hydraulic modeling experiments to estimate the structural stability of a train carriage AR. By applying fixed- and movable-bed conditions and Froude similitude, theoretical and hydraulic experiments revealed major design forces(e.g., water waves and curr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some dimensionless design parameters (e.g., surf similarity parameters, water particle velocity, scouring, and deposition) also affect the stability of an AR under various wave and current field conditions. In the fixed-bed condition, movement of the AR occurred when dimensionless water particle velocity based on the surf similarity parameter was larger than about 0.32. In the moveable-bed condition, the settlement depth (field values) of the AR ranged from 6 to 30 cm. The results indicated that characteristics of the sediment/bed condition and the direction of external forces acting on an AR should be considered when selecting AR sites.

Hydraulic Characteristics of Two Types of Pyramid-Shaped Artificial Reefs (피라미드형 패조류용 어초의 수리학적 특성)

  • Sohn, Byung-Kyu;Lee, Jeong-Woo;Yi, Byung-Ho;Yoon, Han-Sam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34 no.5
    • /
    • pp.725-734
    • /
    • 2010
  • This study conducted hydraulic testing to assess the stability of two types of pyramid-shaped artificial reefs (ARs) constructed to promote the growth of shellfish and seaweed. Previous theoretical and hydraulic experimental studies have clearly demonstrated Froude similitude.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some dimensionless design parameters affected the stability of both types of artificial reefs under various wave and current field conditions (e.g., surf similarity parameters, water particle velocity, wave pressure). In the fixed bed condition, the dimensionless water particle velocity based on the surf similarity parameter was large (about 0.4), and in the moveable bed condition, the relative water depth based on the dimensionless wave pressure was low (about 0.11). In addition, horizontal wave pressure and uplift pressure varied by relative water depth, demonstrating the tendency for wave pressure to decrease linearly with increased relative depth.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development of more stable design technology forartificial reefs should be based on long-term data and additional study of sliding due to wave action. The findings also highlight the importance of hydraulic experiments in solving problems that have emerged in the design and construction of artificial reef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