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ontal rainfall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32초

레이더 자료에 나타난 전선성 강수계의 중규모적 특성 분석 (Mesoscale Characteristics of Frontal System on Redar Data)

  • 정영선;임은하;남재철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3권2호
    • /
    • pp.219-227
    • /
    • 2000
  • 전선에 의한 강수는 종종 한반도에서 국지적인 집중호우를 유발한다. 그러나 관측자료의 결핍과 전선의 중규모적 구조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정확하고 신속한 강수량 예측이 어려운 실정이다. 레이더의 공간 해상도는 수 km, 시간 해상도는 수 분으로 중규모 이하의 현상에 대한 관측자료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레이더의 효용성은 널리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에서 대표적인 전선성 강수 사례를 선택하여 중규모적 특성을 레이더 연직 단면 관측자료에 근거하여 분석하였다. 강수계 내에서 수평규모 약 10 - 20 km의 대류 세포들이 존재하며, 연직 단면도 상에서 나타나는 밝은 띠에 의하면 녹는고도($0^{\circ}C$ 층)는 약 3 - 5 km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강수 입자에 의하여 추정되는 구름의 높이는 대략 12 km에 달한다. 발달한 층운 지역에서 강수입자의 최대 낙하속도는 밝은 띠가 나타나는 녹는고도 바로 하층에서 나타나고 있다.

  • PDF

집중관측사업의 현황과 발전 방향 (Current Status of Intensive Observing Period and Development Direction)

  • 김현희;박선기
    • 대기
    • /
    • 제18권2호
    • /
    • pp.147-158
    • /
    • 2008
  • Domestic IOP (intensive observing period) has mostly been represented by the KEOP (Korea Enhanced Observing Period), which started the 5-yr second phase in 2006 after the first phase (2001-2005). During the first phase, the KEOP had focused on special observations (e.g., frontal systems, typhoons, etc.) around the Haenam supersite, while extended observations have been attempted from the second phase, e.g., mountain and downstream meteorology in 2006 and heavy rainfall in the mid-central region and marine meteorology in 2007. So far the KEOP has collected some useful data for severe weather systems in Korea, which are very important in understanding the development mechanisms of disastrous weather systems moving into or developing in Korea. In the future, intensive observations should be made for all characteristic weather systems in Korea including the easterly in the central-eastern coastal areas, the orographically-developed systems around mountains, the heavy snowfall in the western coastal areas, the upstream/downstream effect around major mountain ranges, and the heavy rainfall in the mid-central region. Enhancing observations over the seas around the Korean Peninsula is utmost important to improve forecast accuracy on the weather systems moving into Korea through the seas. Observations of sand dust storm in the domestic and the source regions are also essential. Such various IOPs should serve as important components of international field campaign such as THORPEX (THe Observing system Research and Predictability EXperiment) through active international collaborations.

브라질 북동부 해안의 악기상: 2004년 1월 사례 (Severe Weather Events over Northeastern Brasil:The January 2004 Event)

  • ;권병혁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897-904
    • /
    • 2006
  • 리오그랑디주에서 바이아주 남부까지 약 300 km에 이르는 길고 좁은 브라질 북동부 지역에서는 남동무역풍의 교란, 전선의 침투, 해륙풍 순환 그리고 지형과 수증기 플럭스에 기인하는 국지 대류와 같은 다양한 강수 시스템이 나타난다. 연간 총강수량은 내륙에서는 600 mm, 해안지역에서는 3000 mm의 분포를 보이고 있다. 지역 기후 평균에 5-12배의 강수량이 2004년 1월에 알라고아스주 여러 지역에서 기록되었다. 46,000명의 수재민이 발생했고, 10,000,000 US$의 재산 피해였다. 이 폭우는 $21^{\circ}W,\;12^{\circ}S$에서 형성된 UTCV가 1월 내내 브라질 북동부 지역에 머물면서 영향을 미쳤기 때문이라는 것을 GOES 적외선 영상 분석으로 알 수 있었다.

CMIP5 모델에 나타난 동아시아 여름몬순의 모의 성능평가와 미래변화 (Evaluation of the East Asian Summer Monsoon Season Simulated in CMIP5 Models and the Future Change)

  • 권상훈;부경온;심성보;변영화
    • 대기
    • /
    • 제27권2호
    • /
    • pp.133-150
    • /
    • 2017
  • This study evaluates CMIP5 model performance on rainy season evolution in the East Asian summer monsoon. Historical (1986~2005) simulation is analyzed using ensemble mean of CMIP5 19 models. Simulated rainfall amount is underestimated than the observed and onset and termination of rainy season are earlier in the simulation. Compared with evolution timing, duration of the rainy season is uncertain with large model spread. This area-averaged analysis results mix relative differences among the models. All model show similarity in the underestimated rainfall, but there are quite large difference in dynamic and thermodynamic processes. The model difference is shown in horizontal distribution analysis. BEST and WORST group is selected based on skill score. BEST shows better performance in northward movement of the rain band, summer monsoon domain. Especially, meridional gradient of equivalent potential temperature and low-level circulation for evolving frontal system is quite well captured in BEST. According to RCP8.5, CMIP5 projects earlier onset, delayed termination and longer duration of the rainy season with increasing rainfall amount at the end of 21st century. BEST and WORST shows similar projection for the rainy season evolution timing, meanwhile there are large discrepancy in thermodynamic structure. BEST and WORST in future projection are different in moisture flux, vertical structure of equivalent potential temperature and the subsequent unstable changes in the conditional instability.

상당온위를 사용한 동아시아 여름철 몬순의 6월 및 7월 주 변동 모드 분석 (Dominant Modes of the East Asian Summer Monsoon Using Equivalent Potential Temperature)

  • 손준혁;서경환
    • 대기
    • /
    • 제22권4호
    • /
    • pp.483-488
    • /
    • 2012
  • The monsoon front lies on East Asian region, but it gradually propagates to the north during the boreal summer. The equivalent potential temperature (EPT) reveals the thermodynamical features of air masses and monsoon front. Therefore, this study considered the thermodynamical EPT and dynamical wind fields to clarify the peculiarity of East Asian summer monsoon (EASM) variations in June and July, respectively. Western North Pacific subtropical high (WNPSH) and Okhotsk sea high (OSH) both play the crucial role to interannual variations of EASM frontal activity and amount of rainfall. The OSH is important in June, but the WNPSH is key factor in July. Furthermore, the OSH (June) is affected by North Atlantic tripolar sea surface temperature (SST) pattern and WNPSH (July) is influenced by North Indian Ocean SST warming.

광역 위성 영상과 수치예보자료를 이용한 여름철 강수량 예측 (Summer Precipitation Forecast Using Satellite Data and Numerical Weather Forecast Model Data)

  • 김광섭;조소현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5권7호
    • /
    • pp.631-641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지상의 관측 자료와 광역의 정보를 제공하는 수치 예보 모형 자료 및 인공위성 자료를 이용하고 자료와 강수예측치의 물리적 상관 특성을 나타내기 위하여 자료 사이의 비선형 거동을 잘 나타내는 신경망 모형에 적용시켜 단시간 강수 예측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지점에 대하여 현재로부터 3시간, 6시간, 9시간, 12시간의 선행시간을 가지는 인공위성자료(MTSAT-1R) 및 수치 예보 모형 자료(RDAPS, Regional Data Assimilation and Prediction System)와 실시간 전송되는 자동 기상 관측 시스템(AWS, Automatic Weather System)의 관측치를 신경망 모형의 입력 자료로 하여 3시간, 6시간, 9시간, 12시간의 선행시간을 가지는 자료로 강수를 예측 할 수 있는 강수 예측 모형을 개발하였다. 장마와 태풍과 같이 전선형강수와 선풍형강수 등 강수 양상의 차이를 고려하기 위하여 6월, 7월과 8월, 9월 자료를 구분하여 신경망을 구축하였으며, 자료가용성에 기초하여 2006년에서 2008년 기간 동안에 대하여 모형을 학습하고 2009년에 대하여 모형의 적용성을 검증한 결과, 단시간 강수예측에 대한 모형의 적용 가능성을 보여주었으나 다양한 광역 자료와 인공신경망을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단시간 강수예측의 정량적 정도향상을 위한 여지가 많음을 보여준다.

2010년 여름철 수도권 집중관측기간에 나타난 호우 시스템의 대기연직구조 (Atmospheric Vertical Structure of Heavy Rainfall System during the 2010 Summer Intensive Observation Period over Seoul Metropolitan Area)

  • 김도우;김연희;김기훈;신승숙;김동균;황윤정;박종임;최다영;이용희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48-161
    • /
    • 2012
  • 2010년 8월 13일부터 9월 3일까지 수도권지역에서 집중관측(Predictability and Observation Experiment of Korea-2010, ProbeX-2010)이 수행되었으며, 그 일환으로 동두천, 인천공항, 양평에서 6시간 간격으로 라디오존데 관측이 실행되었다. 관측기간 동안 우리나라의 전형적인 호우 패턴인 스콜선형, 정체전선형, 태풍 전면 수렴형, 열대저압부형, 태풍 직접형 호우가 연속적으로 발생하였다. 8월 15일 03 KST 경에는 스콜선형 구름대가 수도권 지역에서 발달하였다. 따뜻하고 습한 하층 공기 위로 건조한 중층 공기가 유입되어 강한 대류 불안정이 형성되었으며 이로 인해 호우가 발생하였다. 8월 23일부터 26일, 8월 27일부터 29일은 각각 정체전선과 태풍 전면 수렴대의 영향을 받아 강우가 발생하였다. 정체전선형 강우 초기에는 열적 불안정이 우세하게 나타났으나 강우 후기에는 역학적 불안정이 강화되었다. 이 기간 중 특히 강한 강수는 서해상에서 남풍류 하층 제트가 발달한 8월 25일에 발생하였다. 태풍 전면 수렴형 강우기간에는 열적 불안정과 역학적 불안정이 모두 유지되는 특징을 보였다. 이 기간 중 특히 강한 강수는 높은 상당온위(>345 K)를 가진 열대 공기가 대기 중하층에 거쳐 유입되었을 때 발생하였다. 8월 27일과 9월 2일에는 각각 열대저압부와 태풍 곤파스의 영향에 의해 강우가 발생하였다. 이 사례들 동안에는 역학적 불안정이 매우 강하게 발달하였다.

An Analysis of Precipitation Systems Developed near Jeju Island in Korea during the Summer Monsoon, 2006

  • Jang, Sang-Min;Gu, Ji-Young;Lee, Dong-In;Jeong, Jong-Hoon;Park, Sung-Hwa;Uyeda, Hiroshi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377-394
    • /
    • 2012
  • To elucidate the mechanism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heavy precipitation system, a field experiment was carried out in Jejudo (or Jeju Island) and Marado, Korea from 22 June to 12 July 2006. The synoptic atmospheric conditions were analyzed using the National Centers for Environmental Prediction-National Center for Atmospheric Research's (NCEP/NCAR) reanalyzed data, weather maps, and sounding data. The kinematic characteristics of each precipitation system were investigated by dual Doppler radar analysis. During the field experiment, data of four precipitation events with more than 20 mm rainfall were collected. In F case (frontal precipitation), a typical Changma front was dominant and the observation field was fully saturated. However there was no convective instability near the surface. LF case (low pressure accompanied with Changma front) showed strong convective instability near the surface, while a strong convergence corresponded to the low pressure from China accompanied with Changma front. In FT case (Changma front indirectly influenced by typhoon), the presence of a convective instability indicated the transport of near surface, strong additional moisture from the typhoon 'EWINIAR'. The convergence wind field was ground to be located at a low level. The convective instability was not significant in T case (precipitation of the typhoon 'EWINIAR'), since the typhoon passed through Jejudo and the Changma front was disappeared toward the northeastern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e kinematic (convergence and divergence) characteristics of wind fields, convective instability, and additional moisture inflow played important roles in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heavy precipitation.

The change of East Asian Monsoon to $CO_2$ increase

  • Kripalani, R.H.;Oh, J.H.;Chaudhari, H.S.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9-27
    • /
    • 2006
  • 이 연구는 동아시아 (중국, 한국, 그리고 일본) 여름몬순과 그 변동성을 MME (multi-model ensemble)을 이용하여 IPCC AR4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Fourth Assessment Report) 실험의22개 접합 기후모델 결과 자료로 분석하였다. 결과자료들은 사용 가능한 모든 모델의 평균값을 이용하였다. 여름 몬순 기간 동안 최대 강수를 가지는 연주기는 모델에 의해 모의되었으나 장마(Meiyu-Changma-Baiu) 강수밴드의 이동(북쪽)과 연관되어 7월에 나타나는 최소값은 모의하지 못했다. MME 강수 패턴은 북태평양아열대 고기압과 장마전선대의 위치와 연관된 강수의 공간적 분포를 잘 나타내었다. 그러나 중국, 한반도, 그리고 일본의 동해와 인근 해역의 강수는 과소 예측되었다. 마지막으로 $CO_2$ 농도 배증시나리오의 복사 강제에 대한 미래예측을 분석하였다. MME는 $CO_2$ 농도가 배증될 때 동아시아지역에서 강수는 평균 7.8%로 나타났고, $5{\sim}10%$의 변화폭을 보였다. 그러나 이러한 강수의 증가는 통계적으로 한반도와 일본, 그리고 인근 북중국 지역에서만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강수 예측에서 나타난 변화는 아열대 고기압의 강도 변화에 비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봄에서 초가을까지 여름 몬순의 지속기간이 길어짐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