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tmospheric Vertical Structure of Heavy Rainfall System during the 2010 Summer Intensive Observation Period over Seoul Metropolitan Area

2010년 여름철 수도권 집중관측기간에 나타난 호우 시스템의 대기연직구조

  • Kim, Do-Woo (Multi-Hazard Research Division,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Institute) ;
  • Kim, Yeon-Hee (Forecast Research Laboratory, National Institute of Meteorological Research, KMA) ;
  • Kim, Ki-Hoon (Forecast Research Laboratory, National Institute of Meteorological Research, KMA) ;
  • Shin, Seung-Sook (Forecast Research Laboratory, National Institute of Meteorological Research, KMA) ;
  • Kim, Dong-Kyun (Forecast Research Laboratory, National Institute of Meteorological Research, KMA) ;
  • Hwang, Yoon-Jeong (Forecast Research Laboratory, National Institute of Meteorological Research, KMA) ;
  • Park, Jong-Im (Forecast Research Laboratory, National Institute of Meteorological Research, KMA) ;
  • Choi, Da-Young (Forecast Research Laboratory, National Institute of Meteorological Research, KMA) ;
  • Lee, Yong-Hee (Forecast Research Laboratory, National Institute of Meteorological Research, KMA)
  • 김도우 (국립방재연구원 복합재난연구실) ;
  • 김연희 (기상청 국립기상연구소 예보연구과) ;
  • 김기훈 (기상청 국립기상연구소 예보연구과) ;
  • 신승숙 (기상청 국립기상연구소 예보연구과) ;
  • 김동균 (기상청 국립기상연구소 예보연구과) ;
  • 황윤정 (기상청 국립기상연구소 예보연구과) ;
  • 박종임 (기상청 국립기상연구소 예보연구과) ;
  • 최다영 (기상청 국립기상연구소 예보연구과) ;
  • 이용희 (기상청 국립기상연구소 예보연구과)
  • Received : 2012.03.09
  • Accepted : 2012.04.24
  • Published : 2012.04.30

Abstract

The intensive observation (ProbeX-2010) with 6-hour launches of radiosonde was performed over Seoul metropolitan area (Dongducheon, Incheon Airport, and Yangpyeong) from 13 Aug. to 3 Sep. 2010. Five typical heavy rainfall patterns occurred consecutively which are squall line, stationary front, remote tropical cyclone (TC), tropical depression, and typhoon patterns. On 15 Aug. 03 KST, when squall line developed over Seoul metropolitan area, dry mid-level air was drawn over warm and moist low-level air, inducing strong convective instability. From 23 to 26 Aug and from 27 to 29 Aug. Rainfall event occurred influenced by stationary front and remote TC, respectively. During the stationary frontal rainy period, thermal instability was dominant in the beginning stage, but dynamic instability became strong in the latter stage. Especially, heavy rainfall occurred on 25 Aug. when southerly low level jet formed over the Yellow Sea. During the rainy period by the remote TC, thermal and dynamic instability sustained together. Especially, heavy rainfall event occurred on 29 Aug. when the tropical air with high equivalent potential temperature (>345 K) occupied the deep low-middle level. On 27 Aug. and 2 Sep. tropical depression and typhoon Kompasu affected Seoul metropolitan area, respectively. During these events, dynamic instability was very strong.

2010년 8월 13일부터 9월 3일까지 수도권지역에서 집중관측(Predictability and Observation Experiment of Korea-2010, ProbeX-2010)이 수행되었으며, 그 일환으로 동두천, 인천공항, 양평에서 6시간 간격으로 라디오존데 관측이 실행되었다. 관측기간 동안 우리나라의 전형적인 호우 패턴인 스콜선형, 정체전선형, 태풍 전면 수렴형, 열대저압부형, 태풍 직접형 호우가 연속적으로 발생하였다. 8월 15일 03 KST 경에는 스콜선형 구름대가 수도권 지역에서 발달하였다. 따뜻하고 습한 하층 공기 위로 건조한 중층 공기가 유입되어 강한 대류 불안정이 형성되었으며 이로 인해 호우가 발생하였다. 8월 23일부터 26일, 8월 27일부터 29일은 각각 정체전선과 태풍 전면 수렴대의 영향을 받아 강우가 발생하였다. 정체전선형 강우 초기에는 열적 불안정이 우세하게 나타났으나 강우 후기에는 역학적 불안정이 강화되었다. 이 기간 중 특히 강한 강수는 서해상에서 남풍류 하층 제트가 발달한 8월 25일에 발생하였다. 태풍 전면 수렴형 강우기간에는 열적 불안정과 역학적 불안정이 모두 유지되는 특징을 보였다. 이 기간 중 특히 강한 강수는 높은 상당온위(>345 K)를 가진 열대 공기가 대기 중하층에 거쳐 유입되었을 때 발생하였다. 8월 27일과 9월 2일에는 각각 열대저압부와 태풍 곤파스의 영향에 의해 강우가 발생하였다. 이 사례들 동안에는 역학적 불안정이 매우 강하게 발달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기상청, 2011, 예보관 핸드북 시리즈 2. 한눈에 보는 호우개념모델, 6 p.
  2. 김기훈, 김연희, 장동언, 2009, KEOP-2007 라디오존데 관측자료를 이용한 장마 특성 분석: Part 2. 2007년 장마의 역학적 및 열역학적 특성에 관한 사례연구. 대기지, 19, 297-307.
  3. 김도우, 김연희, 김기훈, 신승숙, 김동균, 황윤정, 박종임, 최다영, 이용희, 2012, 2010년 여름철 수도권 집중관측 기간에 나타난 도시지형 효과가 강수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구과학회지(심사 중).
  4. 김은희, 김맹기, 이우섭, 2005, 최근 30년간 한반도 일 강수강도의 지역적 특성. 한국지구과학회지, 26, 404-416.
  5. 나득균, 곽종흠, 서명석, 홍윤, 2005, 종관적 특징에 따른 남한 강수 특성 분석: 30년(1973-2002) 기후 통계. 한국지구과학회지, 26, 723-743.
  6. 박순웅, 윤일희, 정순갑, 1986, 1978년 하계 장마시 장마전선과 관련되어 나타난 열과 수증기의 원에 관하여. 한국기상학회지, 22, 1-27.
  7. 박창근, 이태영, 2008, 장마전선 상에서 발생한 중규모 호우계 구조에 대한 연구. 대기지, 18, 317-338.
  8. 이용희, 하종철, 이희상, 2007, 2007년도 9월 집중호우의 기상학적 특성 분석. 한국수자원학회지, 40, 18-22.
  9. 이우진, 2006, 일기도와 날씨해석. 광교이택스, 서울, 97 p.
  10. 황승언, 이동규, 1993, 한반도에서 발생한 호우와 하층제트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한국기상학회지, 29, 133-146.
  11. 황윤정, 하종철, 김연희, 김기훈, 전은희, 장동언, 2011, KLAPS와 3DVAR를 이용한 ProbeX-2009 남.서해상 고층관측자료의 관측 시스템 실험 연구. 대기지, 21, 1-16.
  12. Byun, K.Y. and Lee, T.Y., 2010, Composite analysis of relationships between heavy rainfall over the Korean Peninsula and remote tropical cyclones. 2010년 한국기상학회 가을 학술대회 논문집, p. 496-497.
  13. Kim, C., Suh, M.S., and Hong, K.O., 2009, Bayesian change point analysis of the annual maximum of daily and subdaily precipitation over South Korea. Journal of Climate, 22, 6741-6757. https://doi.org/10.1175/2009JCLI2800.1
  14. Lee, D.K., Kim, H.R., and Hong, S.Y., 1998, Heavy rainfall over Korea during 1980-1990. Korean Journal of the Atmospheric Sciences, 1, 32-50.
  15. Lee, J.H., Lee, S.W., and Lee, D.K., 2002, A study of the development of heavy rainfall influenced by Typhoon.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esoscale convective systems and heavy rainfall/snowfall in East Asia, October 29-31, 2002, Tokyo, Japan, 376-379.

Cited by

  1. Vertical Atmospheric Structure and Sensitivity Experiments of Precipitation Events Using Winter Intensive Observation Data in 2012 vol.23, pp.2, 2013, https://doi.org/10.14191/Atmos.2013.23.2.187
  2. Classification of Atmospheric Vertical Environment Associated with Heavy Rainfall using Long-Term Radiosonde Observational Data, 1997~2013 vol.25, pp.4, 2015, https://doi.org/10.14191/Atmos.2015.25.4.611
  3. Studies on the Predictability of Heavy Rainfall Using Prognostic Variables in Numerical Model vol.26, pp.4, 2016, https://doi.org/10.14191/Atmos.2016.26.4.495
  4. Future Extreme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Mechanisms over the Korean Peninsula Using a Regional Climate Model Simulation vol.39, pp.4, 2018, https://doi.org/10.5467/JKESS.2018.39.4.3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