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eshwater Copepoda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29초

한국하천호수학회를 통해 본 국내 담수 동물플랑크톤 연구의 역사와 현재, 미래의 연구 동향 (Past History of Freshwater Zooplankton Research in South Korea and Korean Society of Limnology and Future Directions)

  • 김현우;정현기;최종윤;김성기;정광석;나긍환;오혜지;장광현
    • 생태와환경
    • /
    • 제51권1호
    • /
    • pp.40-59
    • /
    • 2018
  • This review summarizes the history of freshwater zooplankton research in Korean Society of Limnology and necessary future topics that are remain poorly investigated in South Korea based on main research topics of published articles focusing on lakes, reservoirs, rivers and wetland ecosystems. In Korea, a total 450 freshwater zooplankton species have been reported (85 species of cladocera, ca. 230 species of rotifera since 1939, and 138 species of copepoda), and they cover 10% of total zooplankton species list. In the present paper, we provide recent species list of zooplankton found in Korea and their taxonomic keys. Over periods of 45 years, there are 25 published papers for zooplankton biota in lentic ecosystems in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KJEE). The ecology of zooplankton communities in rivers has focused on the mechanisms involved in regulating their abundance, diversity and spatio-temporal patterns of genus Bosmina and rotifers (genus Brachionus and Keratella) that are most frequently found from Korea. On the other hand, the studies on zooplankton in wetland has focused on Alona, Chydorus and Ceriodaphnia with special emphasis on their relationships with aquatic macrophytes. Even though studies on the freshwater ecosystem in Korea have a long history, a few of studies on zooplankton biota were conducted at rice paddy, Dumbeong and wetlands. During the last two decades, experimental advances in freshwater zooplankton ecology and understanding of structure and function of this biota were made from a series of articles mainly in journal of KJEE. For future studies, quantitative, experimental and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would be key words to understand zooplankton ecology and their roles in aquatic ecosystems under changing environments, and we have suggested necessary zooplankton research fields and future directions.

중국의 모식산지에서 채집한 갈고리노벌레류 Canthocamptus mirabilis Sterba의 재기재 (Redescription of Canthocamptus mirabilis Sterba (Copepoda, Harpacticoida), Based on the Topotypic Material from China)

  • Chang, Cheon-Young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7권1호
    • /
    • pp.1-11
    • /
    • 2001
  • 동아시아의 계류와 하천에 우점적으로 서식하는 딱정장수노벌레속 Canthocamptus (요각아강, 갈고리노벌레목)의 mirabilis 종군은 Attheyella속과의 중간 형질을 나타내는 특이한 분류군으로서, 이소적 또는 측소적으로 매우 빠르고 다양하게 종분화한 것으로 최근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대표종이라 할 수 있는 C. mirabilis Sterba가 매우 불완전하게, 그것도 암컷만으로 기재되었고 모식이 남아있지 않아서 이 종군의 분류에 많은 지장과 혼란이 있어 왔다. 저자는 중국 북경 근교의 모식산지에서 새롭게 채집한 표본을 근거로 재기재를 하였고, 이를 통해 앞서 일본산 표본을 근거로 하여 작성되었던 과거의 재기재와의 차이점을 열거함으로써 일본산 표본들은 별개의 종임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본 종군에 속하는 여하 종과의 형태적 차이와 유연관계에 대하여서도 간략히 고찰하였다.

  • PDF

양식 메기에서의 Ergasilus sieboldi Nordmann, 1832 기생증 1례 (The first case report on Ergasilus sieboldi Nordmann, 1832(Copepoda, Ergasilidae) infection in an aquacultured Shiures asotus in Korea)

  • 김영길;박성우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1-13
    • /
    • 1996
  • 1995년 7월 18일 충남 소재 메기양어장에서 사육중인 전장 7~10cm의 메기(Silurus asotus)치어의 아가미에서 기생성 요각류인 Ergasilus sieboldi가 검출되었다(Fig. 1, 2). 이 충이 기생된 병어는 특이한 외부 증상은 없었지만, 양어장 가장자리 표면에 떠서 힘없이 유영하고 있었다. 검출된 Ergasilus sieboldi는 길이가 1.05 mm인 난낭 2개 와 1쌍의 갈쿠리 모야을 한 제 2촉각을 갖고 있었으며, 충체의 체장은 1.07 mm 였다. 이 충에 관해서 Bychowsky(1968)는 연어과, 농어과, 잉어과, 메기과 등의 어류 아가미에 기생하며, 지역적으로는 발틱해, 흑해, 카스피해, 일본해 수역, 시베리아 하천, 바이칼호에 분포한다고 하였다. 또 다수가 기생한 병어는 야위고 성장이 느리거나 폐사하는데, 병어의 새변상피에 부착하여 호흡에 장해를 주므로서 어체에 큰 피해를 준다고 하였다. 본 충의 기생 예는 국내의 양식 메기에서 검출한 케이스이다.

  • PDF

2016년 소양호에서 채집한 자연산 잉어과 어류와 갑각류의 법정전염병 및 기생충성 질병 모니터링 (Monitoring Pathogen Infection of Freshwater Cyprinid Fish and Crustacean in Soyang Lake in 2016)

  • 문성희;허준욱;차승주;황성돈;손맹현;권준영;권세련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47-53
    • /
    • 2018
  • The presence of pathogens in wild fish is a potential threat to the fish being raised nearby fish farm. Surveillance of these pathogens in the wild is, thus, highly important to keep fish in the farm safe from serious communicable diseases. Fish and crustacean were sampled 4 times at Soyang Lake in 2016. Pathogens for five reportable communicable diseases including KHVD (koi herpesvirus disease), SVC (spring viraemia of carp), EUS (epizootic ulcerative syndrome) and WSD (white spot disease), and parasites were investigated. In Soyang Lake, pale chub Zacco platypus was the most abundant. Forty seven pale chub, 8 Korea piscivorous chub Opsarichthys uncirostris, 3 oily shiner Sarcocheilichthys variegatus wakiyae and 2 crucian carp Cyprinus carassius were investigated for detection of target diseases of fish. Seventeen Caridina denticulata denticulata, 12 Oriental river prawn Macrobrachium nipponense and 1 Chinese mitten crab Eriocheir sinensis were used for detection of WSD. As the result, reportable communicable diseases were not detected in all the freshwater animals. Dactylogyrus was detected in Korea piscivorous chub. Copepoda was also detected in pale chub and Korea piscivorous chub. Metacercaria was detected in the pale chub sampled in September and October. Those were not metacercaria of liver fluke Clonorchis sinensis.

실험실에서 배양한 Eucyclops serrulatus(검물벼룩목 요각류)의 생식과 성장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and Reproduction of Eucyclops serrulatus(Copepoda: Cyclopoida) in the Laboratory Culture)

  • 윤경아;김원
    • 생태와환경
    • /
    • 제33권1호통권89호
    • /
    • pp.1-8
    • /
    • 2000
  • 실험실에서 배양을 하기 위해 담수에서 광범위하게 서식하는 4종류의 검물벼룩목 요각류를 실험하였다. 이 중 Eucyclops serrulatus만이 성공적으로 배양되었다. 다음으로 9가지 먹이 조건 중 어떤 것에서 유생발달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 지를 살펴보았다. 이렇게 선정된 실험실 배양 환경하에서 E. serrulatus의 생식과 성장을 관찰하였다. 배양 방법이 간단하여 짧은 시간 동안 많은 순수배양된 개체들을 얻을 수 있다는 점으로 볼 때 Eucyclops serrulatus는 담수 생태계의 오염을 측정하는데 bioindicator 생물로서 응용 가능성이 크다고 할 수 있겠다.

  • PDF

딱정 장수노벌레속(갈고리노벌레목, 딱정장수노벌레과) mirabilis 종군에 속하는 1신종 1기록종의 분류학적 연구 (Taxonomy on Canthocamptus semicirculus and C. coreensis n. sp.(Harpacticoida, Canthocarnptidae), with a Key to the C. mirabilis Species Group from South Korea)

  • Chang, Cheon-Young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8권2호
    • /
    • pp.233-244
    • /
    • 2002
  • 딱정장수노벌레 (Canthocamptus)속의 mirabilis 종군에 대한 분류학적 연구의 일환으로. 극동아시아의 남부에 널리 분포하는 반달딱정장수노벌레 (C. semicircuius Kikuchi)와 남한의 중서부 지역의 구릉지대 계류에 분포하는 1신종. 고려딱정장수노벌레 (C. coreensis)를 보고한다 반달딱정장수노벌레의 한국산 표본에서는 암컷의 바깥꼬리털과 수컷의 제3다리 외지의 돌기형 가시와 같은 중요 형질에서 변이가 흔하게 나타났기에 종내변이에 대해 특기하였다. 고려딱정장수노벌레는 암컷에서 수컷모사변이형의 꼬리마디가 나타나지 않고 항문판의 투명막이 둥근모양을 유지한다는 점 등의 조상형 형질을 유지하는 반면. 수컷 제3다리 외지 제2마디의 바깥가시와 수컷 제4다리 외지 끝마디 바깥강모가 심하게 변형되는 등의 파생형질을 소유한다. 현재까지 기록된 5종의 한국산 딱정장수노벌레속 mirabilis 종군에 대한 종검색표를 작성하였다.

영광 불갑천에 서식하는 요각류를 중심으로 한 중형동물플랑크톤의 군집구조 (Mesozooplankton Community Focusing on the Copepods in the Bulgap Stream, Yeonggwang, Korea)

  • 이동주;임동일;곽인실;서호영;이원철
    • 환경생물
    • /
    • 제26권4호
    • /
    • pp.355-366
    • /
    • 2008
  • 전라남도 영광군 불갑천에 서식하는 동물 플랑크톤을 2006년 4월, 7월, 8월, 10월, 12월, 2007년 2월 6회에 걸쳐 총 5개의 정점에서 채집을 실시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출현한 동물플랑크톤은 44개의 분류군이 나타났으며, 우점한 분류군은 요각류였다. 10월에는 31$\sim$53,230 indiv. m$^{-3}$로 조사기간 동안 최고의 정점간 출현 개체수를 보였고, 12월에는 16$\sim$97 indiv. m$^{-3}$로 출현한 개체수가 최소로 나타나 시 공간적인 변동을 보였다. 종 다양성 지수는 7월(1.072)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10월(0.386)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우점적으로 출현한 요각류는Psdudodiaptomus inopinus와 Macrocyclops albidus였다. 담수와 기수에 서식하는 P. inopinus는 2006년 8월$\sim$2007년 2월에 걸쳐 모든 정점에서 출현하였으며, 불갑천 지역에서 극우점하였다. 약 20$^{\circ}C$에서 가장 많은 개체수를 나타내며, 저염도(0.1$\sim$14.0 psu)에서 높은 개체수를 보이고, 고염도(16.9$\sim$24.0 psu)에서는 낮은 개체수만이 출현하는 것으로 보아 염분도에 따라 분포를 달리하였다. M. albidus는 2006년 4$\sim$8월에서 담수 지역에서만 출현하였고, 수온이 높아짐에 따라 적은 개체수가 출현하였다.

메소코즘을 이용한 지각류, 요각류 및 패충류의 섭식 성향 분석; 탄소, 질소 안정동위원소비의 믹싱모델 (R package SIAR)을 이용한 정량 분석 (Feeding Behavior of Crustaceans (Cladocera, Copepoda and Ostracoda): Food Selection Measured by Stable Isotope Analysis Using R Package SIAR in Mesocosm Experiment)

  • 장광현;서동일;고순미;;남귀숙;최종윤;김민섭;정광석;나긍환;김현우
    • 생태와환경
    • /
    • 제49권4호
    • /
    • pp.279-288
    • /
    • 2016
  • 탄소와 질소 안정동위원소비를 이용한 먹이망 구조 해석 기법은 수생태계 연구에서 폭 넓게 활용되고 있으며, 먹이원의 정량적 기여율을 분석하는 믹싱모델에 적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Bayesian 모델을 이용한 믹싱모델의 적용이 가능한 통계 패키지(R, SIAR package)의 사용방법을 제시하고, 사용 예로 저수지 및 메소코즘 배양조에서의 동물플랑크톤과 먹이원의 탄소, 질소 안정동위원소비를 이용한 섭식 성향 분석 방법 및 결과를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 국내 저수지 및 대형하천 등에서 주로 우점하는 Daphnia galeata는 소형의 POM (<$50{\mu}m$)을 주로 섭식하는 것으로 나타나, 부영양화된 환경에서 녹조 발생시 먹이로의 활용이 용이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논 생태계 등에서 빈번히 출현하는 패충류의 경우 D. galeata와 유사한 섭식 성향을 나타내었다. 반면 습지 등에서 주로 출현하는 Simocephalus vetulus의 경우, 부착성 POM이 아닌 부유성 POM을 주로 섭식하며 Microcystis를 포함하는 대형의 POM (>$50{\mu}m$)을 섭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