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equent Patterns

검색결과 572건 처리시간 0.043초

국내 5성급 호텔 입면디자인의 시지각적 지원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ffordance of Façade design in Domestic Five-star Hotels)

  • 김수희;김봉애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5권1호
    • /
    • pp.181-191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ffordance of façade design by extracting analysis elements of affordance in façade design domestic five-star hotel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88 domestic five-star hotels; we selected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y as methodology. The analysis elements included mass forms, exterior colors, window frame patterns, exterior characteristics, and door types based on the visual perception factors of façade design from the concept of affordance.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ass forms were divided into stackable, integral, and connection types, and stackable type was most frequent. Second, exterior colors were divided into achromatic, red, yellow, and opaque color parts, and the achromatic parts were most frequent. Third, the window frame patterns were divided into grid, irregular, full, horizontal, and vertical windows, and grid windows were most frequent. Fourth, the exterior characteristics were divided into formative mass, horizontal partition, design contrast, tiled roof, and facility connection, and the formative mass was most frequent. Fifth, the door types were divided into porch, piloti, and wall type, and porch was most frequ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façade design elements such as mass forms, exterior colors, window frame patterns, exterior characteristics, and door types intentionally contained affordance.

그래프마이닝을 활용한 빈발 패턴 탐색에 관한 연구 (A Methodology for Searching Frequent Pattern Using Graph-Mining Technique)

  • 홍준석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6권1호
    • /
    • pp.65-75
    • /
    • 2019
  • As the use of semantic web based on XML increases in the field of data management, a lot of studies to extract useful information from the data stored in ontology have been tried based on association rule mining. Ontology data is advantageous in that data can be freely expressed because it has a flexible and scalable structure unlike a conventional database having a predefined structure. On the contrary, it is difficult to find frequent patterns in a uniformized analysis method.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basis for extracting useful knowledge from ontology by searching for frequently occurring subgraph patterns by applying transaction-based graph mining techniques to ontology schema graph data and instance graph data constituting ontology. In order to overcome the structural limitations of the existing ontology mining, the frequent pattern search methodology in this study uses the methodology used in graph mining to apply the frequent pattern in the graph data structure to the ontology by applying iterative node chunking method. Our suggested methodology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knowledge extraction.

확률 기법에 기반한 근접 빈발 패턴 마이닝 기법의 성능평가 (Performance evaluation of approximate frequent pattern mining based on probabilistic technique)

  • 편광범;윤은일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63-69
    • /
    • 2013
  • 근접 빈발 패턴 마이닝은 향상된 효율성을 위해 정확한 패턴보다 허용되는 범위 안에서 근접 빈발 패턴을 마이닝한다. 데이터베이스의 크기가 증대함에 따라 거대한 데이터베이스를 처리하기 위해서 더 빠른 마이닝 기법이 필요하게 되고 있다. 또한, 노이지나 데이터의 다양성 때문에 패턴을 마이닝 하는 것에 대한 정확한 결과를 찾기가 더 어렵다. 이러한 경우들에 대해, 근접 빈발 패턴 마이닝을 함으로 실행시간, 메모리 사용량, 그리고 확장성의 관점에서 더 효율적인 마이닝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확률 기법에 근간한 근접 패턴 마이닝 알고리즘에 대한 특성을 살펴보고 척도가 되는 확률 기법에 기반한 근접 패턴 마이닝 알고리즘에 대해 성능 평가를 한다. 최종적으로 성능의 향상을 위해 테스트 결과를 분석한다.

점진적인 웹 마이닝을 위한 효율적인 후보패턴 저장 트리구조 및 알고리즘 (An Efficient Candidate Pattern Storage Tree Structure and Algorithm for Incremental Web Mining)

  • 강희성;박병준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6년도 심포지엄 논문집 정보 및 제어부문
    • /
    • pp.3-5
    • /
    • 2006
  • Recent advances in the internet infrastructure have resulted in a large number of huge Web sites and portals worldwide. These Web sites are being visited by various types of users in many different ways. Among all the web page access sequences from different users, some of them occur so frequently that may need an attention from those who are interested. We call them frequent access patterns and access sequences that can be frequent the candidate patterns. Since these candidate pattern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incremental Web mining, it is important to efficiently generate, add, delete, and search for them. This thesis presents a novel tree structure that can efficiently store the candidate patterns and a related set of algorithms for generating the tree structure adding new patterns, deleting unnecessary patterns, and searching for the needed ones. The proposed tree structure has a kind of the 3 dimensional link structure and its nodes are layered.

  • PDF

전자상거래 추천을 위한 RFM기반의 점진적 빈발 패턴 마이닝 기법 (RFM based Incremental Frequent Patterns mining Method for Recommendation in e-Commerce)

  • 조영성;문송철;류근호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2년도 제46차 하계학술발표논문집 20권2호
    • /
    • pp.135-137
    • /
    • 2012
  • 기존의 연관규칙을 이용한 추천시스템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트랜잭션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서 기존에 처리한 데이터를 재처리하는 비효율성의 문제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전자상거래에서 RFM(Recency, Frequency, Monetary)기반의 점진적 빈발 패턴 마이닝을 이용한 추천기법을 제안한다. 제안 방법은 새로운 트랜잭션 데이터가 추가 되었을 때 보다 빠른 시간 내에 연관규칙을 추출이 가능하다.

  • PDF

장바구니 분석용 OLAP 큐브 구조의 설계 (Designing OLAP Cube Structures for Market Basket Analysis)

  • 유한주;최인수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179-189
    • /
    • 2007
  • 고객이 제품을 구매할 때에는 항시 구매패턴이 생기기 마련인데, 이러한 구매패턴을 찾아 나가는 과정을 장바구니 분석이라 부른다. 장바구니 분석은 Microsoft Association Algorithm에서는 두 가지 단계로 구성되어 있는데, 첫 번째 단계는 빈발항목집합을 찾아내는 과정이고, 두 번째 단계는 첫 번째 단계에서 찾은 빈발항목집합을 근거로 하여 이들의 중요도를 비교하는 단순한 계산과정이다. 빈발항목집합을 찾아내는 첫 번째 단계는 장바구니 분석에 있어서 핵심부분임에도 불구하고, OLAP 큐브에 적용할 때에는 추적분석이 불가능해지거나 허구의 빈발항목집합이 생성되는 등 여러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장바구니 분석에 있어서 추적분석을 가능하게 하고 실제의 빈발항목집합만을 생성시키는 새로운 OLAP 큐브 구조의 설계법을 제안하고 있다.

  • PDF

길이에 따라 감소하는 빈도수 제한조건을 고려한 가중화 그래프 패턴 마이닝 기법 (A Weighted Frequent Graph Pattern Mining Approach considering Length-Decreasing Support Constraints)

  • 윤은일;이강인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125-132
    • /
    • 2014
  • 대규모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숨겨진 유용한 패턴 정보를 찾기 위해 빈발 패턴 마이닝이 제안된 이래로, 다양한 종류의 접근 방법들과 어플리케이션들이 연구되어 왔다. 특히, 빈발 그래프 패턴 마이닝은 계속해서 복잡해져 가는 최근의 데이터들을 효과적으로 다루기 위해 제안되었고, 이와 관련한 다양한 효율적인 알고리즘들이 연구되어 왔다. 그래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얻을 수 있는 그래프 패턴들은 이를 구성하는 요소들에 따라 다른 중요도를 가지며 길이에 따라 다른 특성을 갖는다. 하지만, 전통적인 빈발 그래프 패턴 마이닝 접근 방법들은 이러한 문제들을 고려할 수 없다는 한계점을 지닌다. 즉, 기존의 방법들은 마이닝 과정에서 추출되는 그래프 패턴들의 길이에 상관없이 오직 하나의 최소 지지도 임계값만을 고려하고 이들의 가중치 요소들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실제적으로 쓸모없는 그래프 패턴들이 상당량 생성될 수 있다. 작은 수의 정점과 간선을 갖는 작은 그래프 패턴들은 이들에 대한 가중화 지지도 값이 상대적으로 높을 때 흥미로운 특성을 갖는 경향이 있는 반면, 많은 정점과 간선을 갖는 큰 그래프 패턴들은 비록 가중화 지지도 값이 상대적으로 낮을지라도 흥미로운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본 논문에서는 길이에 따라 감소하는 지지도 제한조건을 고려한 가중치 기반의 빈발 그래프 패턴 마이닝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공되는 총체적인 실험 결과들은 제안되는 방법이 기존의 최신 그래프 마이닝 알고리즘과 비교하여 패턴 생성, 수행시간, 그리고 메모리 사용량 측면에서 더욱 뛰어난 성능을 보장함을 보인다.

그래프 스트림에서 슬라이딩 윈도우 기반의 점진적 빈발 패턴 검출 기법 (Incremental Frequent Pattern Detection Scheme Based on Sliding Windows in Graph Streams)

  • 정재윤;서인덕;송희섭;박재열;김민영;최도진;복경수;유재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147-157
    • /
    • 2018
  • 최근 네트워크 기술 발전과 함께 IoT 및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활성화로 인해 많은 그래프 스트림 데이터가 생성되고 있다. 이와 같은 그래프 스트림에서 객체들 사이의 관계가 동적으로 변화함에 따라 그래프의 변화를 탐지하거나 분석하기 위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그래프 스트림에서 이전 슬라이딩 윈도우에서 검출한 빈발 패턴에 대한 정보를 이용해 빈발 패턴을 점진적으로 검출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이전 슬라이딩 윈도우에서 검출된 패턴이 앞으로 몇 슬라이딩 윈도우동안 빈발할지 또는 빈발하지 않을지를 계산하여 빈발 패턴 관리 테이블에 저장한다. 그리고 이 값을 통해 다음 슬라이딩 윈도우에서는 필요한 계산만 수행함으로써 전체 연산량을 감소시킨다. 또한 패턴 간에 간선을 통해 연결되어있는 것만 하나의 패턴으로 인식함으로써 더 유의미한 패턴만을 검출한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하는 기법의 우수함을 보이기 위해 여러 성능 평가를 진행하였다. 그래프 데이터의 크기가 커지고 슬라이딩 윈도우의 크기가 커질수록 중복되는 데이터가 증가되기 때문에 기존 기법보다 빠른 처리 속도를 나타낸다.

랜드마크 윈도우 기반의 빈발 패턴 마이닝 기법의 분석 및 성능평가 (Analysis and Evaluation of Frequent Pattern Mining Technique based on Landmark Window)

  • 편광범;윤은일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101-107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랜드마크 윈도우 기반의 빈발 패턴 마이닝 기법을 분석하고 성능을 평가한다. 본 논문에서는 Lossy counting 알고리즘과 hMiner 알고리즘에 대한 분석을 진행한다. 최신의 랜드마크 알고리즘인 hMiner는 트랜잭션이 발생할 때 마다 빈발 패턴을 마이닝 하는 방법이다. 그래서 hMiner와 같은 랜드마크 기반의 빈발 패턴 마이닝을 온라인 마이닝이라고 한다. 본 논문에서는 랜드마크 윈도우 마이닝의 초기 알고리즘인 Lossy counting와 최신 알고리즘인 hMiner의 성능을 평가하고 분석한다. 우리는 성능평가의 척도로 마이닝 시간과 트랜잭션 당 평균 처리 시간을 평가한다. 그리고 우리는 저장 구조의 효율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최대 메모리 사용량을 평가한다. 마지막으로 우리는 알고리즘이 안정적으로 마이닝이 가능한지 평가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의 아이템 수를 변화시키면서 평가하는 확장성 평가를 수행한다. 두 알고리즘의 평가 결과로, 랜드마크 윈도우 기반의 빈발 패턴 마이닝은 실시간 시스템에 적합한 마이닝 방식을 가지고 있지만 메모리를 많이 사용했다.

이동 객체 데이터베이스에서 빈발 시퀀스 패턴 탐색 (Discovery of Frequent Sequence Pattern in Moving Object Databases)

  • ;이범주;류근호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5D권2호
    • /
    • pp.179-186
    • /
    • 2008
  • 위치 기반 장치의 발전과, GIS 기능의 확장 그리고 위치 정보기술들의 정확성과 가용성이 증가함에 따라서 위치 기반 서비스들의 새로운 영역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이 나타나게 되었다. 데이터의 시간과 공간 형태에 따라서 정의되는 Relationship에 기인하여 시공간 데이터 마이닝 영역에서 공간에 대한 지식 검색이 증가할 경우 매우 큰 문제에 직면한다. 이 논문에서는 모바일 환경에서 시공간 패턴 마이닝을 위한 알고리즘들을 제안한다. 이동 패턴들은 All_MOP와 Max_MOP 두 개의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생성된다. 이 알고리즘들은 먼저 모든 빈발 패턴들을 탐사한 후 오직 최대의 빈발 패턴만을 탐사한다. 아울러, 제안한 기법과 기존의 DFS_MINE 기법의 수행 시간 비교를 통하여 제안한 기법이 수행시간에서 다소 우수한 것을 나타낸다. 이러한 제안접근법은 관광 서비스, 교통 서비스 등과 같은 위치 기반 서비스 등에 활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