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eeze drying

검색결과 716건 처리시간 0.026초

건조방법에 따른 분말 청국장의 비타민 함량과 관능적 특성의 비교 (Comparison of Vitamin Contents and Organoleptic Characteristics in Powdered Cheongkukjang Dried by Different Drying Methods)

  • 양학렬;박상순;이장우;이근보;한명규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92-198
    • /
    • 2009
  • Cheongkukjang is a traditional fermented soybean food in Korea that is used in the manufacture of functional food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vitamin contents and sensory qualities of powdered Cheongkukjang dried by oven drying, far-infrared drying and freeze drying. Vitamins $B_1$, $B_2$, $B_6$, E, niacin and pantothenic acid were detected using all drying methods. However, vitamin D was not detected in the oven drying samples, and was most prevalent($82.47{\mu}g$/100 g) in the far-infrared drying samples. The sensory characteristics included color, off flavor, salty taste, bitter taste, sweet taste, roasted taste and after-taste. Oven drying and freeze drying samples exhibited highest and lowest color scores(5.62 and 2.0, respectively). Oven drying samples also exhibited the highest roasted taste score(4.76), although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far-infrared drying samples(4.0, p<0.05), while the score of freeze drying samples(2.38)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other methods(p<0.05). It is concluded that freeze drying is most suitable.

유자차 부산물인 유자즙의 분말화 연구 (Drying of Citron Juice from By-product of Citron Tea Manufacturing)

  • 남혜원;현영희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34-339
    • /
    • 2003
  • 유자의 부산물을 이용하여 유자과즙의 이용율을 향상하고 편이성을 높임으로써 고품질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유차자 제조 과정 중 발생하는 유자액에 대한 분말화를 시도하였다. 액체 상태인 유자즙과 이를 분말화한 분말과즙의 주요 성분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액상 유자즙의 수분함량은 82.3% 였으며, 분무 건조한 분말과즙이 동결 건조한 분말과즙보다 수분함량이 다소 낮게 나타났으나 cyclodextrin의 농도에 따라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 유자 과즙중의 유기산으로 citric acid, malic acid, succinic acid 및 lactic acid 등이 검출되었으며, 건조방법에 따른 유기산의 함량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3. 액체과즙을 분말화함으로써 황색도가 현저히 증가하였다. 4. 분말과즙의 열안정성은 상당히 낮은 편이며 분무건조와 동결건조 모두 cyclodextrin 10% 첨가한 군이 15% 첨가군보다 열에 다소 안정하였다. 5. 동결건조과정이 분무 건조 때보다 흡습성이 크며, cyclodextrin에 의한 차이는 거의 없었다. 6. 용해도는 분무건조와 동결건조 모두에서 10분 정도부터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7. 관능평가 결과 분무건조를 한 경우보다 동결건조방법이 기호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동결건조방법에서 상대적으로 쓴맛과 신맛을 덜 느끼고 단맛을 강하게 느끼기 때문으로 분석되었다.

Streptomyces aureofaciens 동결건조후 재수화 방법이 생존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ehydration Methods on viability after Freeze-drying of Streptomyces aureofaciens)

  • 이현우;이동희;이노운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8권6호
    • /
    • pp.512-515
    • /
    • 1995
  • 동결건조후 재수화 방법이 Streptomyces aureofaciens 생존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하기 위해 $^3H-adenine$을 DNA에 주입시킨후 유출되는 방사선량과 균을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그 결과 Streptomyces aureofaciens의 손상은 동결건조 과정에서 일어나는것 보다 재수화 과정에서 공기를 허용한 상태에서 재수화시 크게 일어났으며, 그 생존도는 약 20%이고, 공기가 없는 밀봉된 진공상태의 이중 용기에서 재수화시 약 91%로 나타났다. 공기를 허용한 개봉된 이중 용기에서 증류수에 잠긴채 재수화한 생존도는 약 36%이며, 이중 용기에 $N_2-gas$를 주입하여 밀봉된 상태에서 재수화한 경우 약 83% 생존도를 나타냈다. 따라서 생존도는 재수화 과정에서 산소의 영향을 매우 크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화학적 박리법으로 제조된 산화그래핀 분말의 건조방법에 따른 물성 비교 (Effect of Drying Methods on the Production of Graphenes Oxide Powder Prepared by Chemical Exfoliation)

  • 노상균;노경훈;엄성훈;허승현;임형미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23권10호
    • /
    • pp.592-598
    • /
    • 2013
  • Graphene oxide powders prepared by two different drying processes, freeze drying and spray drying, were studied to compare the effect of the drying method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graphene oxide powder. The graphene oxide dispersion was prepared from graphite by chemical delamination with the aid of sulfuric acid and permanganic acid, and the dispersion was further washed and re-dispersed in a mixed solvent of water and isopropyl alcohol. A freeze drying method can feasibly minimize damage to the sample, but it requires a long process time. In contrast, spray drying is able to remove a solvent in a relatively short time, though this process requires exposure to a high temperature for a rapid evaporation of the solvent. The powders prepared by freeze drying and spray drying were characterized and compared by Raman spectroscopy, X-ray diffraction, field-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and by an elemental analysis. The graphene oxide powders showed similar chemical compositions; however, the morphologies of the powders differed in that the graphene oxide prepared by spray drying had a winkled morphology and a higher apparent density compared to the powder prepared by freeze drying. The graphene oxide powders were reduced at $900^{\circ}C$ in an atmosphere of $N_2$. The effect of the drying process on the properties of the reduced graphene oxide was examined by SEM, TEM and Raman spectroscopy.

Effect of Ginseng Polysaccharide on the Stability of Lactic Acid Bacteria during Freeze-drying Process and Storage

  • Yang, Seung-Hyun;Seo, Sung-Hoon;Kim, Sang-Wook;Choi, Seung-Ki;Kim, Dong-Hyun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9권9호
    • /
    • pp.735-740
    • /
    • 2006
  • Lactic acid bacteria (LAB) quickly attenuate or are killed during the freeze-drying process and storage. The effect of some natural polysaccharides, which are known as potent antitumor and immunomodulating substances, on the viability of the LAB, Lactobacillus acidophilus and Bifidobacterium breve, on freeze-drying and storage were investigated. Among the polysaccharides tested, red ginseng polysaccharide (RGP) and chitosan significantly inhibited the cell death of the LAB during freeze-drying, and fucoidan and RGP most potently protected the cell death of the LAB during storage. The stabilities of the LAB on the addition of RGP and fucoidan were comparable to that of skimmed milk. However, white ginseng polysaccharide (WGP) did not promote storage stability. When 5% skimmed milk/5% RGP treated LAB were freeze-dried and stored, their viabilitie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higher those treated with 5% or 10% RGP. The stabilizing effect of 5% RGP/5% skimmed milk during LAB freeze-drying and storage stability was comparable to that of treatment with 10% skimmed milk. Based on these findings, we believe that RGP beneficially improves the stability of LAB during the freeze-dry process and storage.

일시 수확한 고추의 건조방법별 품질 (Quality of Single-Harvested Red Peppers by Drying Methods)

  • 정구민;황재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329-333
    • /
    • 2003
  • Fruits of 'Manita', a red pepper cultivar, and 'HL', a cultivar bred for single-harvest, cultivated by direct sowing method were harvested simultaneously. The red fruits were freeze-, sun-, indoor-, hot-air $(65^{\circ}C)$, and excessive hot-air (50% longer time) dried. For Manita. ASTA values of freeze- and indoor-dried red pepper were the highest $(153.6{\sim}168.4)$, and those of sun- and hot air-dried ones were $119.2{\sim}131.5$. Excessive hot-air drying decreased the redness by about $9{\sim}15%$ compared to normal hot-air drying. For HL, ASTA values $(150.3{\sim}171.7)$ of indoor-dried red peppers were much higher than other dried peppers. Red pigment in HL was destroyed easily during sun drying, showing values of only $49.2{\sim}69.2$. By excessive hot-air drying, the redness did not decrease, compared to normal hot-air drying. The organic acid contents of both cultivars were higher in sun- and hot-air-dried ones than freeze- and indoor-dried ones. Copsaicinoid contents of both cultivars decreased up to 22% by excessive hot-air drying compared to normal hot-air drying. Sugar contents were lower in all drying methods other than freeze drying for both cultivars.

냉동건조에 의한 잎담배 팽화특성 (Characterization of Expanded Tobacco Lamina Tissues by Freeze Drying)

  • 김병구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49-159
    • /
    • 1995
  • The freeze drying rate was investigated under various conditions such as pressure and moisture contents in order to establish the optimum condition for expansion of the culled flue cured tobacco lamina. The optimal pressure in the chamber to maintain the heat and mass transfer was about 0.8torr, When the moisture contents of sample was 50-60%, expanding rate was the optimum condition and the rate was 67-76%. As the thickness of the sample layers was increased, drying-rate was decreased conversely and this result seemed to be due to decline of heat and mass transfer coefficients. Differences with the position of its stalk were also observed in drying rate, and low stalk position leaves of 5 and 3 was the fastest. Key words : freeze drying, Popping, expansion tobacco.

  • PDF

유유와 과즙으로 만든 발효유의 동결건조 (Freeze Drying of Fermented Milk Prepared from Milk and Fruit Juices)

  • 고영태;오미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448-1455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과즙-우유 혼합 기질로 만들어진 발효유를 동결건조하고, 동결건조 전과 후의 생균수, pH의 변화, 관능성 및 휘발성 향기 성분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동결 또는 동결건조에 의하여 발효유의 pH는 거의 변화가 없었으나, 생균수는 동결, 특히 동결건조 도중에 급격히 감소하였는데, 동결 전의 균수를 100%로 했을 때, 동결 후의 생존율은 $64.5{\sim}85.2%$, 동결건조 후의 생존율은 $10.0{\sim}21.1%$였다. 사과쥬스-우유의 혼합 비율이 15:35인 기질로 만든 발효유와 동일한 발효유를 동결건조-환원한 시료의 관능성을 비교했을 때, 동결건조 전의 시료가 후의 시료보다 관능성이 우수하며, 이와 같은 경향은 포도쥬스-우유 혼합 시료의 경우에 보다 현저하였다. 동결건조 전과 후의 모든 시료에서 ethanol, diacetyl, butanol, acetoin이 검출되었고, 포도쥬스 함량이 높은 시료에서는 acetone도 검출되었으며, 동결건조에 의하여 모든 시료의 휘발성 향기 성분의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실험에서 검출된 향기 성분 가운데 젖산균 발효에 의하여 생성된 향기 성분은 ethanol, diacetyl, acetoin 이었다.

  • PDF

당근의 동결건조에서 승화건조시간 예측연구 (Prediction of Sublimation Drying Time for Carrot in Freeze-Drying)

  • 박노현;김병삼;배신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13-320
    • /
    • 1993
  • 동결건조에서 승화 건조시간을 예측하기 위하여 수학적 모델링과 지배방정식을 설정하고, 당근즙을 대상으로 수치계산하여 실험값과 비교한 바, 수분함량이 많은 동결건조품에서 단위면적당 승화량을 높일 수 있는 재료의 두께는 전도 열전달 방식에서 5mm이었으며, 양면 복사방식에서는 10mm이었다. 또한 동일한 압력에서 응축기 온도가 낮을수록 당근즙의 승화시간은 짧았고, 압력이 높을수록 승화시간은 선형적으로 증가하였다. 그리고 동결건조 효율이 가장 좋은 열전달 방법으로는 전도 및 복사방식으로 상, 하의 플레이트 온도를 $T_x{\leq}T_m$$T_m{\leq}T_x$의 제한 조건하에서도 별도 제어하는 방식이었다.

  • PDF

양파의 진공 동결 건조 과정 중 Alliinase 활성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ges in the Alliinase Activity during the Vacuum Freeze Drying of Onions(Allium cepa L.))

  • 채수규;윤미숙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44-151
    • /
    • 2008
  • 양파를 원형 그대로, 절편으로 하여 그리고 마쇄한 것을 진공 동결 건조 처리하여 각각 건조 과정 중 allicin 및 diallyl disulfide의 함량과 alliinase 활성 변화를 측정하였다. 생양파의 allicin 및 dia-llyl disulfide의 함량은 각각 26.40 ppm, 2.78 ppm이었다. 양파를 원형 그대로, 절편으로 하여 그리고 마쇄한 시료의 allicin 및 diallyl disulfide의 함량은 진공 동결 건조가 진행함에 따라 증가되었으며, 증가 정도는 시료의 형태에 따라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생양파의 alliinase 비활성은 7.536 units/mg protein이었으며, 양파를 원형 그대로, 절편으로 하여 그리고 마쇄한 시료의 alliinase 활성은 진공 동결 건조가 진행함에 따라 감소되었다. 양파를 원형 그대로 8시간 동안 진공 동결 건조하였을 때 효소의 비활성은 5.516 units/mg pro-tein로 감소되었으며 73.2%의 잔존율을 나타내었고, 36시간 동안 진공 동결 건조하였을 때 효소의 비활성은 3.304 units/mg protein로 감소되었으며 43.8%의 잔존율을 나타내었다. 양파를 절편으로 하여 36시간 동안 진공 동결 건조하였을 때 효소의 비활성은 2.366 units/mg protein로 감소되었으며 31.4%의 잔존율을 나타내었고, 양파를 마쇄하여 36시간 동안 진공 동결 건조하였을 때 효소의 비활성은 2.232 units/mg protein로 감소되었으며 29.6%의 잔존율을 나타내었다. 양파를 원형 그대로 진공 동결 건조하였을 때 alliinase 활성에 있어서 가장 높은 잔존율을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