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Free Patent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32초

PCT특허분석을 통한 유망자유기술 탐색에 관한 연구 (Identifying Emerging Free Technologies by PCT Patent Analysis)

  • 정의섭;김영기;이성철;김영태;장영배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111-122
    • /
    • 2014
  • 중소기업은 창조경제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는 핵심 성장 동력원으로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함에도 불구하고 중소기업의 현실은 희망이 없다. 중소기업의 혁신을 통한 중장기적 성장전략을 제시하고자 유망자유기술 탐색방법을 제안하고, 2006년부터 2010년까지 PCT 출원되어 공개된 특허를 조사하여 기술동향을 정량 분석한 다음, LED품목을 사례로 들어 PCT 및 국내 특허정보를 분석하고, 미래 유망 자유기술을 탐색하였다. 제시된 자유기술탐색 방법은 중소기업의 국제시장 진출 방향 설정 및 국가산업 전략의 수립에도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미국과 캐나다의 의약품 허가-특허 연계제도 (Drug Approval-Patent Linkage Systems in the US and Canada)

  • 박실비아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8권3호
    • /
    • pp.207-215
    • /
    • 2008
  • Drug approval-patent linkage is the practice of linking drug marketing approval to the patent status of the originator's product and not allowing the grant of marketing approval to any third party prior to the expiration of the patent term unless by consent of the patent owner. Article 18.9.5 of Korea-US Free Trade Agreement requires that Korea introduce the linkage system in drug marketing approval. However, Korea is unfamiliar with the linkage system. In addition, there have been lots of arguments over the impacts of this system on Korean pharmaceutical industry and pharmaceutical market in the future. This report investigated the linkage systems of the US and Canada. The US and Canada have implemented drug approval-patent linkage system since 1984 and 1993, respectively. Both countries have patent lists for drug approvalpatent linkage on which originators are required to list patents on substance, product, and use of their drugs. Generic or follow-on drug applicants must contain a certification regarding each patent listed that relates to the referenced drug. If the patent holder files suit for patent infringement within 45 days of notice of application, drug approval is not allowed for several months - 30 months in the US and 24 months in Canada. Both countries have amended their systems after having experienced unexpected results such as listing improper and additional patents, multiple patent litigations and delayed generic entries. After reviewing the US and Canada's experiences, we suggested three principles needed in implementing the system: protecting patent holder's right; promoting generic drug development and marketing; monitoring the process and the effect of the system.

저분자량 헤파린이 쥐 서혜부 유리피판 이식술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Low Molecular Weight Heparin on Groin Flap Transplantation in Rat)

  • 이준모;이강욱;이동근
    • Archives of Reconstructive Microsurgery
    • /
    • 제2권1호
    • /
    • pp.77-81
    • /
    • 1993
  • Free tissue transplantation is commonly performed with the brilliant achievement in microsurgery and anticoagulants and antithrombotic agents have been prescribed in the procedures. However, there is no clean-cut indication as to which agents would be more effective in every steps and final consequences. Low molecular weight heparins inhibiting coagulation in plateletrich plasma and acting on the vascular endothelium have antithrombotic and fibrinolysis action. The experiment with rat groin free flap transplantation after 6-hour ischemia and injection of the low molecular weight heparin was performed and the results between the injection and non-injection group were analysed as follows, 1. Both of the 24-hour groups, vessel patency was not proportional to color change of the groin flap. 2. On the second day after anastomois, heparin-injection group showed intact intima, patent lumen without thrombus, and mild granulomatous inflammation around the suture material and control group with doubtful patency revealed intimal loss and thrombus formation. 3. On the 5th, 7th, and 9th postoperative day, heparin group was patent in anastomosis and showed acute inflammatory cells. 4. The 7th-week period, heparin-injection group showed intact flap color, patent lumen with intact intima and persistent foreign body granuloma.

  • PDF

휴먼 에러 방지용 배선 안내 시스템 개발 (A Human Error-Free Wiring Guide System)

  • 이현찬;김주한;김진성;정연욱
    • 한국CDE학회논문집
    • /
    • 제22권2호
    • /
    • pp.181-189
    • /
    • 2017
  • In this paper, we develop a human error-free wire connection guide system. The only related work is Japanese patent by Hitachi. The patent is guiding the wire connection using PC server. And no implementation details have been reported publicly. We propose a new method based on smart mobile devices. The proposed methods are registered as two Korean patents. We implement a prototype wire connection guide system to verify the patents. Through human experiments, we verify the system can reduce the human error more than 90% and speed up the connection process more than twice faster than working without the system. To be used in the industrial fields, the prototype system needs more product packaging works.

Identifying New Technologies in Product and Processes through Patent Databanks

  • Silva, Luan Carlos Santos;Caten, Carla Schwengber ten;Gaia, Silvia;Faco, Renata Tilemann;Zocche, Lidiana;Travessini, Rosana
    • 산경연구논집
    • /
    • 제6권3호
    • /
    • pp.27-33
    • /
    • 2015
  • Purpose - This paper's aim is to analyze the technological information in patent databanks as a strategy in prospecting for new technologie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We detail the major free electronic database sources for patent information, the patent documents, the patent document structures, INID codes (Internationally Agreed Numbers for the Identification of Data), indexation, references, and classification notions. Additionally, we review and analyze information on the activities of the Center of Dissemination Documentation and Technological Information (CEDIN) from the National Institute of Intellectual Property (INPI) of Brazil for the period 2000 to 2011. Results - The research shows that the technological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patents could provide a wide range of functionality within companies and universities. Conclusions - In recent years, (CEDIN), a specialist in intellectual property, has been serving internal and external users by providing guidance on the basis of patents and other literature, but the number of users served is still small. In order to familiarize more potential users of such technological information, task forces should be created among INPI, universities, and companies.

특허풀에서의 공평한 로열티 분배를 위한 특허가치평가 (Patent Valuation for Fair Royalty Distribution in Patent Pool)

  • 김영기;박성택;이승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8권1호
    • /
    • pp.41-53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특허풀 내에서 공평한 로열티 분배를 위한 특허가치평가 방안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지식기반경제에서는 지적재산, 즉 축적된 기술과 노하우가 기업의 경쟁력과 국가의 경제성장의 가장 중요한 원천으로 인식되고 있다. 특허제도는 특허권자에게 독점적인 권리를 부여함으로써 기술혁신, 즉 새로운 기술의 발명과 상업화를 촉진시켜 궁극적으로 삶의 수준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하지만 특허권의 숫자가 증가하고 특허권의 소유가 분산되면서 나타나는 특허제도의 문제점들이 기술혁신 의욕을 저하시키고 있다. 이에 대한 유망한 해결책으로 특허풀이 제시되고 있으며, 1차 세계대전 당시 미국정부가 특허풀을 결성하여 항공기 관련특허를 모든 생산업체들에게 라이선스함으로써 항공기 산업을 활성화시킨 사례가 있다. 특허풀의 원활한 운영을 위해서는 특허풀에 참여하는 특허들의 기술적 기여도를 평가하여 특허권자들에게 공평하게 로열티 수입을 분배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특허가치평가에는 Rating/Ranking 방법이 적절한 것으로 보인다. 본 논문에서는 여러 특허가치평가 기관들의 평가모형들을 살펴보고 Rating/Ranking 방법에 활용될 수 있는 주요한 평가항목들을 추출하였다.

  • PDF

기술예측을 위한 특허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Keyword Network Analysis for Technology Forecasting)

  • 최진호;김희수;임남규
    • 지능정보연구
    • /
    • 제17권4호
    • /
    • pp.227-240
    • /
    • 2011
  • 특허의 중요성이 커짐에 따라 특허분석의 중요성 또한 점점 커지고 있다. 특허분석은 네트워크 기반 방법과 키워드 기반 방법으로 나눠지는데 네트워크 기반은 특허 내부에 존재하는 세부 기술정보에 대한 분석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고 키워드 기반은 기술정보간의 상호관계를 규명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기존에 제시된 네트워크 기반 특허 분석과 키워드 기반 분석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두 방법을 혼합한 방법으로서 본 연구에서는 특허 키워드 네트워크 기반 분석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LED 분야의 특허들을 대상으로 텍스트 마이닝을 통해 중요한 기술정보를 추출한 다음, 키워드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이를 대상으로 커뮤니티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허 키워드 네트워크는 매우 낮은 밀도와 매우 높은 클러스터링 지수를 나타내었다. 밀도가 높다는 것은 LED 분야내 특허 키워드 네트워크 내 노드(키워드)들이 산발적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클러스터링 지수가 높다는 것은 해당 키워드 네트워크 내 노드, 즉 키워드들이 각각의 커뮤니티로 매우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둘째, 특허 키워드 네트워크도 다른 지식네트워크와 마찬가지로 명확한 멱함수 분포를 따른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기존에 활발히 연구, 활용되어 많은 연결고리를 갖고 있는 특허개념(키워드)수록 지속적으로 다른 연구자들에 의해 선택되고 이 키워드를 바탕으로 새로운 키워드들이 연결되어서 이들 키워드간의 조합으로 새로운 기술이 발명된다는 것이다. 셋째, 특허가 개발될 때 특정 분야에 유입된 키워드 중 새로운 링크가 생긴 키워드의 대부분이 기존에 연결되어 있던 커뮤니티 내의 키워드들과 결합되어 새로운 특허 개념을 구성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사실은 단기(4년) 장기(10년) 두 기간 모두 동일하게 나타났다. 나아가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법론을 통해 도출된 특허 키워드 조합 정보를 활용하면 미래에 어떤 개념들이 합쳐져서 새로운 특허 단위로 만들어 질지 가늠해볼 수 있고, 새로운 특허를 개발할 때 참고할 수 있는 유용한 정보로 활용할 수 있다.

개선된 검색식 기반 특허분석을 통한 무선신호 기반 Passive Tracking 공백기술 도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White Space Search of Wireless Signal based Passive Tracking Technology using Enhanced Search Formula of Patent Analysis)

  • 이항원;김영억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7권4호
    • /
    • pp.802-816
    • /
    • 2021
  • 연구목적: 본 논문에서는 개선된 특허 검색식을 제안하고 이에 기반 한 특허분석을 통해 Passive Tracking 기술분야의 잠재적 유망분야에 해당하는 공백기술을 도출하여 향후 수행해야 할 연구개발의 방향성을 제시한다. 연구방법: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검색식 구성 방식을 개선하여 유사어 DB, 최근 발표 논문의 Keyword, AI 검색 등의 다양한 Tool과 방법을 복합적으로 적용하는 기법을 제안하고, Passive Tracking 기술분야를 대상으로 광범위한 특허조사 및 분석을 통해, 기술 변화의 방향성 및 흐름을 확인하고, 해결하고자 하는 목적과 수단을 매트릭스화 하는 방법으로 공백기술을 도출한다. 연구결과: 제안하는 방법을 통해 Passive Tracking 기술분야 공백기술은 인공지능,적응형/복합형 측위기술 및 레이더/안테나를 활용한 '멀티 타깃 측위·추적기술'과 '3D 측위 기술'이 공백기술로 도출되었으며, 도출 결과의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한 검색 결과 상용화 서비스 또는 제품이 부재함을 확인하였다. 결론: 본 논문에서 도출한 공백기술은 특허출원이 활발하지 않고 선점되어 있는 선행특허가 많지 않은 분야이므로, 보다 적극적인 연구개발과 특허출원 활동을 통해 기술에 대한 권리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동맥관 개존증에 걸린 요크셔테러어종 자견에서 경동맥 경로와 JR Coronary Catheter/Free Push Deployment System을 이용한 색전코일을 이용한 치료증례 (Transcarotid Coil Embolization in a Yorkshire Terrier Puppy with Patent Ductus Arteriosus Using a JR Coronary Catheter and Free Push Deployment System)

  • 최범술;최란;현창백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40-243
    • /
    • 2011
  • 카테터를 이용한 비외과적인 코일 전색술이 동맥관 개존중 치료를 위해 개발되어 있다. 비록 개에서는 대퇴동맥을 이용한 코일 전색술이 가장 보편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시술법이지만, 체중이 2 kg이하인 어린 강아지에서는 카테터 장착을 위한 혈관 확보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증례연구에서는 체중이 적게 나가는 어린 강아지에서 적용이 가능한 경동맥 접근법과 이에 적합한 카테터 장착과 코일 장착방법을 새롭게 시도하여 치료를 하였다. 이 기법을 이용하여 1.25 kg의 요크셔테리어 강아지의 동맥관 개존증을 성공적으로 치료하였다.

미국에서의 선발명자 항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irst inventor defense in the US patent law)

  • 장은익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7권6호
    • /
    • pp.1319-1336
    • /
    • 2006
  • 현재 한국미국 자유무역협정(FTA) 협상이 진행되고 있고, 한미 FTA협상에는 지적재산권분야도 포함되어 있다. 현재까지 한-미 FTA 협상 지적재산권 분야 특히 특허분야 쟁점사항으로는 특허발명의 강제실시 제한 등이 있다. 미국은 이러한 협상을 통하여 미국 기업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서 미국 수준의 지적재산권 보호를 한국에 강요하고 있고, 앞으로도 특허분야에서 특허침해에 대한 공세가 상당히 강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대한 대비 중 하나로서 미국의 선발명자 항변에 대하여 현재의 법령 및 개정법령에 대한 이해 및 우리나라 선발명자가 미국의 선발명자 항변권을 얻기 위한 대응전략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특허법체계하에서는 선등록주의를 채택하고 있는 국가나 선발명주의를 채택하고 있는 국가나 일정한 제한조건하에서 선사용자에게 후 발명(후출원)자에 의한 특허가 등록이 되어도 계속하여 특허된 발명을 사용할 권리를 부여하고 있다. 통상적으로는 선발명자 항변은 선등록주의를 채택하고 있는 나라에서 선등록주의의 약점을 보완하기 위해 채택한 제도로서 활용되고 있다. 미국 특허법은 선발명주의를 채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선발명자 항변을 인정하고 있다. 따라서 미국이 동 제도를 채택하게 된 배경, 인정되는 권리의 범위 및 동 제도의 2005년도 미국 특허법 개정(안)을 살펴보고, 우리나라 선발명자가 미국의 선발명자 항변권을 얻기 위한 우리나라 특허법내에서의 대응전략 및 연구현장에서의 대응전략을 모색하는 것은 우리나라 기업들이 미국의 특허법체계하에서 진행되는 각종 공세를 대비하기 위한 사전 대비책에 시사점을 제시해주리라 생각한다.로 두께 $1{\mu}m$의 박막요소를 FIB가공과 백금 용접으로 떼어낸 후 FIB가공으로 두께가 100 nm가 되도록 한 후 투과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성분 분석을 하는 것이 성공적으로 수행될 수 있었다.것으로 사료된다. 미생물을 이용한 결정질의 자철석으로부터 철의 용출 및 비정질의 2차물질의 형성은 미생물의 퇴적물 내에서 철의 순환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뿐만 아니라 미생물을 이용한 유용물질의 침출(Bioleaching) 및 생광화작용에 따른 광물의 합성 가능성을 시사한다. 있는 균주는 1주(2.8%)만 나타났고 bla$_{TEM}$, bla$_{CTX-M}$두 가지 유전자를 가지고 있는 균주는 9주(25.0%), bla$_{SHV}$, bla$_{CTX-M}$ 두 가지 유전자를 가지고 있는 균주가 10주(27.8%)로 나타나 bla$_{CTX-M}$을 포함하는 복합유전자가 많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CTX-M형 ESBL을 생성하는 E. coli와 K. pneumoniae에 대한 cefutaxime의 MIC는 256 $\mu$g/m1 이상으로 ceftazidime의 16-256 $\mu$g/mL 이상보다 높은 분포를 보였다. 즉, CTX-M형 ESBL 유전자를 지닌 균주에 대한 cefotaxim의 MIC는 ceftazidime의 MIC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높은 양상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국내의 대학병원 뿐 만 아니라 일반종합병원에서도 CTX-M형 ESB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