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ee Fatty Acids

검색결과 932건 처리시간 0.026초

Ginseng seed oil ameliorates hepatic lipid accumulation in vitro and in vivo

  • Kim, Go Woon;Jo, Hee Kyung;Chung, Sung Hyun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2권4호
    • /
    • pp.419-428
    • /
    • 2018
  • Background: Despite the large number of studies on ginseng, pharmacological activities of ginseng seed oil (GSO) have not been established. GSO is rich in unsaturated fatty acids, mostly oleic and linoleic acids. Unsaturated fatty acids are known to exert a therapeutic effect in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protective effect and underlying mechanisms of GSO against NAFLD using in vitro and in vivo models. Methods: In vitro lipid accumulation was induced by free fatty acid mixture in HepG2 cells and by 3 wk of high fat diet (HFD)-feeding in Sprague-Dawley rats prior to hepatocyte isolation. The effects of GSO against diet-induced hepatic steatosis were further examined in C57BL/6J mice fed a HFD for 12 wk. Results: Oil Red O staining and intracellular triglyceride levels showed marked accumulation of lipid droplets in both HepG2 cells and rat hepatocytes, and these were attenuated by GSO treatment. In HFD-fed mice, GSO improved HFD-induced dyslipidemia and hepatic insulin resistance. Increased hepatic lipid contents were observed in HFD-fed mice and it was lowered in GSO (500 mg/kg)-treated mice by 26.4% which was evident in histological analysis. Pathway analysis of hepatic global gene expression indicated that GSO increased the expression of genes associated with ${\beta}$-oxidation (Ppara, Ppargc1a, Sirt1, and Cpt1a) and decreased the expression of lipogenic genes (Srebf1 and Mlxipl), and these were confirmed with reverse transcription and quantitative polymerase-chain reaction.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GSO has a beneficial effect on NAFLD through the suppression of lipogenesis and stimulation of fatty acid degradation pathway.

Effects of Vitamins E and C on Human BreastCancer Cell Growth in the Presence of Various Fatty Acids

  • Kim, Gun-Hee;Cho, Il-Jin;Oh, Sun-Hee;Park, Hee-Sung;Cho, Sung-Hee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3권1호
    • /
    • pp.85-91
    • /
    • 1998
  •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ntioxidative vitamins in combination with various fatty acids on breast cancer cell proliferation, MDA-MB231 human breast cancer cells were cultured for 3 days in the serum-free Iscove's modified Dulbecco's medium (IMDM) supplemented with 1.25mg/ml delipidized bovine serum albumin and 10㎍/ml insulin. Alpha-tocopherol, ascorbic acid or both vitamins were added to the medium at the concentrations of 10 and 50μM in the presence of 3μg/ml of oletic(Oa), linoleic(LA) α-linoleinic(LNA) and docosahexaenoic acid(DHA). Cell growth was reduced significantly by α-tocopherol in a dose-dependent manner, but not affected by ascorbic aicd. The four different fatty acids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s on cell growth, although DHA exerted inhibitory effect on the growth after 1 day. However, the each fatty acid was well incorporated into celluar lipid as such or elongated forms. Addition of α-tocopherol remarkably increased its celluar contents and reduced cellular levels of thiobarbituric acid substances (TBARS) that were elevated notably in the presence of DHA in the culture media. But ascorbic acid addition did not change much of either cellular α-tocopherol or TBARS contents. northern blot hybridization showed that tumor supressor gene ρ53 was most highly expressed by the combination of ρ-tocopherol and DHA in 8 hours of cell culture. In conclusion , the growth inhibitory effect of vitamin E suggests that breast cancer cell proliferation is reduced by the mechanism other than cytotoxicity of lipid peroxide and it is related to expressionof tumor supprosser gene p53, that can be increased by both vitamin E and n-3 fatty acid, DHA.

  • PDF

송순차 제조를 위한 송순 및 솔잎의 화학적 조성 (Chemical Composition of Pine Sprouts and Pine Needles for the Production of Pine Sprout Tea)

  • 정희종;황금희;유맹자;이순자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635-641
    • /
    • 1996
  • As a basic study for preparing pine sprout tea, chemical components in pine sprouts and pine needles were analyzed as follows: In proximate composition the contents of most components except for crude fat were different between in pine sprouts and pine needles. Moisture content in pine sprouts was higher than that in pine needles. Calcium and potassium were major minerals contained in pine sprouts and needles, and their contents in pine needles picked in December were higher than those picked in June. Soluble tannin and vitamin C contents in leaf part of pine sprouts were much higher than those in stem part and their contents in pine needles were increased according to their growth. Free sugars like fructose, glucose and sucrose were contained in both pine sprouts and needles, and their contents in pine sprouts were higher in stem part as compared that in leaf part. Although fourteen kinds of amino acids were detected in pine sprouts and pine needles, their contents were extremely low. Amino acid composition between pine sprouts and pine needles was different each other, but major amino acids contained in them were same, those are acidic amino acids such as aspartic acid and glutamic acid. Amino acid contents in pine needles were increased according to the growth. In fatty acid composition in leaf part of pine sprouts, saturated fatty acid contents were higher than unsaturated fatty acid contents, but in stem part unsaturated fatty acid contents were higher. In pine needles the amount of saturated fatty acid was increased with the growth, but the amount of unsaturated fatty acid was rather decreased.

  • PDF

한국장류식품(韓國醬類食品)의 지질성분(脂質成分)에 관한 연구(硏究) -2. 된장 발효숙성중(醱酵熟成中)의 지질성분변화(脂質成分變化)- (Studies on the Lipids in Korean Soybean Fermented Foods -II. Changes of Lipid Composition during Daenjang Fermentation (Ripening)-)

  • 이숙희;최홍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67-71
    • /
    • 1985
  • 삶은 콩에 Aspergillus oryzae를 접종하여 3일간 제국(製麴)한 다음 식염을 첨가하여 45일간 숙성(熟成)시켰을때, 된장 숙성과정(熟成過程)중 된장 함유지질(含有脂質)의 변화에 관한 일련의 실험을 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숙성(熟成)중 수분(水分)은 54% 내외, 식염함량(食鹽含量)은 12% 내외 (건물(乾物)기준), 총질소(總窒素)는 5.6% 내외 (아미노태 질소 $1,532{\sim}2,011mg%$), pH 는 5.82내외, 온도 $27^{\circ}C$ 내외를 보였고 추출지질 (chloroform-methanol extractables 22%내외)의 요오드가(價)(숙성최종일(熟成最終日) : 98.2)는 저하되는 경향이었으며 산가(酸價)는 숙성중 현저하게 증가 (숙성최종일(熟成最終日) : 27.1) 하였다. 된장숙성중 총지질(總脂質)중의 중성지질(中性脂質)함량은 계속 증가하였으나(숙성최종일(熟成最終日) : 94.3%), 인(燐) 및 당지질(糖脂質)의 함량은 미소(微少)하지만 상대적으로 감소하였다. 그리고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비극성지질(非極性脂質) 획분에서 free fatty acid 및 esterified sterol 등이 증가하였으나, 극성지질(極性脂質) 획분에서의 각 성분은 현저한 변화는 없었다. 한편, 숙성초일(初日) 및 최종일(最終日)의 총지질(總脂質), triglyceride 및 free fatty acid 획분들의 지방산조성(脂肪酸組成)을 살펴본 결과, linoleic, oleic, palmitic acids 들이 주요성분이고 숙성기간중 이들 조성비(組成比)의 경미(輕微)한 변화가 있었다.

  • PDF

감마선 조사가 건조-발효소시지의 Trans 지방산, 유리아미노산 및 관능검사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amma-Irradiation on Trans Fatty Acid, Free Amino Acid and Sensory Evaluation of Dry-fermented Sausage)

  • 김일석;양미라;조철훈;안동욱;강석남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580-587
    • /
    • 2011
  • 본 연구는 감마선 조사가 건조-발효햄의 조직감, 지방산, 유리아미노산 및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경도(hardness) 및 부착성(adhesiveness) 의 경우 조사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1). 검성(gumminess)의 경우에는 2 및 4 kGy처리구가 대조구 및 1 kGy처리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p<0.01). 지방산의 경우 처리구의 포화지방산(SFA)(C14:0, C16:0, C18:0)은 유의적으로 높았고(p<0.05), 불포화지방산 (UFA)(C16:1, C18:1 및 C18:3), trans 지방산, n-3 및 n-6 지방산 의 함량은 4 kGy처리에서 감소하였다(p<0.05). 감마선 조사처리는 phosposerine, aspartic acid, glutamic acid를 증가 시켰으나, lysine은 감소시켰다(p<0.05). 관능검사의 경우, 황취(sulfur odor) 및 지방산화 맛(fat pungent flavor)은 4 kGy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p<0.05), 곰팡이 냄새(moldy odor) 및 곰팡이 맛(moldy flavor)은 낮게 나타났다(p<0.05). 이상의 결과 감마선 조사가 조직감, 지방산조성 및 관능적 특성에 영향을 미쳤다.

제분 분획(Milling Fraction)을 달리한 쌀의 지방산 및 페놀산 함량 비교 (Composition of Fatty Acid and Phenolic Acid in Rice with the Different Milling Fractions)

  • 김인호;전향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721-726
    • /
    • 1996
  • 쌀의 영양, 가공 및 저장 등 효율적인 활용을 위한 기초자료의 제시를 목적으로 제분 분획(milling fraction) 별로 시료를 제조하여 지방산과 페놀산 함량을 조사하였다. 쌀의 주요 지방산은 palmitic, oleic 및 linoleic으로서, 배아는 palmitic 20.0%, oleic 33.3% 및 linoleic 43.0%의 함량을, 미강은 palmitic 17.3%, oleic 45.1% 및 linoleic 34.5%의 함량을, 백미는 palmitic 23.4%, oleic 26.2% 및 linoleic 46.4%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제분 분획별 지방산 함량은 미강의 경우 oleic은 외층일수록, linoleic내층일수록 함량이 높았다. 백미의 경우 oleic acid는 외층일수록, palmitic acid, linoleic acid, stearic acid 및 linolenic acid는 내층일수록 함량이 높았다. 페놀산 함량은 미강의 경우 유리 페놀산 321.0mg%, 페놀산 에스터 299.7mg% 및 불용성 결합형 페놀산 212.4mg%이었다. 백미는 유리 페놀산 118.omg%, 불용성 결합형 페놀산 56.0mg%이었고 페놀산 에스터는 추출되지 않았다. 페놀산의 구성성분은 미강의 경우 ferulic acid의 함량이 86.2%로 가장 높았으며 sinapic 및 syringic acid는 35.7~36.6%, p-coumaric acid는 16.7%이었고 vanillic acid는 미량 검출되었다. 백미는 ferulic acid 12.3%, sinapic acid 4.1%, p-coumaric acid 3.6%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제분 분획별로 조사한 총 페놀산의 함량은 배아가 0.18%로 가장 높았으며 미강은 외층일수록 함량이 높았고 백미는 미량존재 하였던 성분이 분획에 따라 함량이 분산되어 검출되지 않았다.

  • PDF

Gas Liquid Chromatography에 의한 인삼(人蔘) 제품(製品) 중의 지방산(脂肪酸) 분석(分析) (Gas Liquid Chromatographic Analysis of Fatty Acids in Ginseng Products)

  • 윤태헌;김을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82-187
    • /
    • 1979
  • 시판되고 있는 홍삼(紅蔘)과 백삼(白蔘), 홍삼(紅蔘) 엑기스와 백삼(白蔘) 엑기스를 구입하여 ethyl ether로 추출한 다음 지방질(脂肪質)의 총(總) 지방산(脂肪酸) 조성(組成)을 GLC로 분석 확인하였고 각 peak면적은 integrator로 계산하였다. 1. 홍삼(紅蔘)과 백삼(白蔘) II의 조(粗) 지방질(脂肪質) 함량은 각각 0.86%와 0.82%로 비슷하였고 백삼(白蔘) I의 조(粗) 지방질(脂肪質)은 0.54%였다. 엑기스에서는 홍삼(紅蔘) 엑기스와 백삼(白蔘) 엑기스 I에서 다같이 약 1.1%정도였는데 다만 백삼(白蔘)엑기스 II에서만 0.40%로서 함량이 가장 적었다. 2. 홍삼(紅蔘)과 백삼(白蔘)에서 $C_{10:0}$을 제외한 $C_{6:0}$에서 $C_{24:1}$까지 분리된 총 22개의 peak중 16개의 우수 지방산(脂肪酸)을 확인하였으며 홍삼(紅蔘)과 백삼(白蔘)의 주지방산(主脂肪酸)은 linoleic acid로서 홍삼(紅蔘)이 63.33%, 백삼(白蔘) I 45.55%, 백삼(白蔘) II 41.06%였다. 그 다음으로 많은 지방산(脂肪酸)은 palmitic acid로서 홍삼(紅蔘)은 11.30%였고 백삼(白蔘) I과 II는 이보다 다소 많았다. 3. 홍삼(紅蔘) 엑기스에서는 linoleic acid가 15.93% palmitic acid가 15.71%로서 이 두 지방산(脂肪酸)이 주(主) 지방산(脂肪酸)을 이루고 있었고 백삼(白蔘) 엑기스 I에서도 linoleic acid가 21.94%, palmitic acid가 19.15%로서 역시 이 두 지방산(脂肪酸)이 주(主) 지방산(脂肪酸)을 이루고 있었다. 그러나 백삼(白蔘)엑기스 II에서는 16.13%인 palmitic acid가 주(主) 지방산(脂肪酸)을 구성하고 있었다.

  • PDF

인체 혈장에서 분리한 LDL과 LDL의 지방산 조성과 기능성의 변화 (Fatty Acid Composition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Low Density Lipoprotein and Oxidized LDL from Human Plasma)

  • Jae-Hoon Choi;Hyun-Mi Cho;Heung-Soo Son;Tae-Woong Kim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402-408
    • /
    • 1994
  • 인체의 혈장 저밀도 지단백(LDL)은 관상동맥경화 발병의 주 요인이다. 그러나 최근의 연구들은, 정상적인 LDL은 산소 자류라디칼에 의해 쉽게 산화되며, 결과 LDL 수용채와 결합하지 못한다고 밝히고 있다. 따라서 이 변형된 형태의 산화된 LDL은 macrophage scavernger receptor에 의해 인식되어 foam cell을 형성하여, 동맥혈관이 좁아지는 역할을 수행한다고 알려지고 있다. 지리과 산화에는 지방산이 중요한 작용을 하므로, 한국인의 LDL의 지방산 조성을 분석하여 서양인과 비교하였다. 결과, 한국인의 불포화 지방산의 비율이 총 지방산 함량의 약 30%인 반면 서양인은 약 70%의 분포를 갖고 있는 것으로 발표되었다. 따라서 한국인이 서양인에 비해 LDL의 산화에 대한 영향을 적게 받을 수 있으며, 따라서 동맥경화나 심장병의 발생률이 훨씬 적을 것으로 결론을 내릴 있다. 정상적인 LDL을 황산구리와 함께 배양하여, 지방의 산화를 유도하였으며 이의 정도를 지방산 산화의 생성물인 TBARS를 측정하여, LDL이 산화될 때 생성되는 자유라디칼의 양을 측정하므로서 비교하였다. 이 때, 항상화제인 비타민 C; 비타민 E와 히알우로닉산을 첨가하면 LDL의 산화가 억제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자유 라디탈이 증가함에 따라 산화의 정도도 증가하였으며, 자유라디칼 형성의 경시적 변화는 TBARS와 유사하였다. 따라서 luminometer에 의한 자유라디칼의 정량은 TBARS에 의한 것보다 훨씬 간편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Probiotics Increase Intramuscular Fat and Improve the Composition of Fatty Acids in Sunit Sheep through the Adenosine 5'-Monophosphate-Activated Protein Kinase (AMPK) Signaling Pathway

  • Yue Zhang;Duo Yao;Huan Huang;Min Zhang;Lina Sun;Lin Su;LiHua Zhao;Yueying Guo;Ye Jin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805-825
    • /
    • 2023
  • This experiment aim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probiotic feed on growth performance, carcass traits, plasma lipid biochemical parameters, intramuscular fat and triglyceride content, fatty acid composition, mRNA expression levels of genes related to lipid metabolism, and the activity of the enzyme in Sunit sheep. In this experiment, 12 of 96 randomly selected Sunit sheep were assigned to receive the basic diet or the basic diet supplemented with probiotics. The results showed that supplementation with probiotic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loin eye area, and decreased plasma triglycerides and free fatty acids, increasing the content of intramuscular fat and triglycerides in the muscle and improving the composition of the fatty acids. The inclusion of probiotics in the diet reduced the expression of adenosine 5'-monophosphate-activated protein kinase alpha 2 (AMPKα2) mRNA and carnitine palmitoyltransferase 1B (CPT1B) mRNA, while increasing the expression of acetyl-CoA carboxylase alpha (ACCα) mRNA, 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protein-1c (SREBP-1c) mRNA, fatty acid synthase mRNA, and stearoyl-CoA desaturase 1 mRNA.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supplementation with probiotics can regulate fat deposition and improves the composition of fatty acids in Sunit sheep through the signaling pathways AMPK-ACC-CPT1B and AMPK-SREBP-1c. This regulatory mechanism leads to an increase in intramuscular fat content, a restructuring of muscle composition of the fatty acids, and an enhancement of the nutritional value of meat. These findings contribute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and provide valuable references for the production of meat of higher nutritional value.

보리의 지방질 성분에 관한 연구 (Lipids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Barley Grain)

  • 신효선;제이아이그레이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95-201
    • /
    • 1983
  • 3가지 보리로부터 추출한 지방질의 조성을 관, 얇은 막 및 기체-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하여 분석하였다. 총 지방질의 조성은 중성지질 69.3-73.1%, 당지질 9.6-16.5%, 인지질 14.2-17.9%였다. 중성지질 중에는 트리글리세리드의 함량이 가장 많았고 (중성지질의 54.2-55.7%), 그 외에 소량의 1, 2-및 1, 3- 디글리세리드, 유리스테롤, 유리지방산, 스테릴에스테르와 미동정한 3가지 지방질을 함유하였다. 당지질 중에는 디-갈락토오실 디-글리세리드와 모노 갈락토오실 디-글리세리드가 주성분이였고, 그 외에 에스테르화 스테릴 글리세리드, 스테릴 글리세리드, 세레 브로시드, 황지질 및 미동정한 한 가지 지방질이 주성분으로 존재하였다. 인지질 중에는 포스파티딜 콜린과세린, 라이소 포스파티딜 콜린, 포스파티딜 에탄올 아민이 전인지질의 80% 이상을 차지하는 주성분이었다. 총지방질 및 3가지 지방질 획분의 주요 지방산은 팔미트산, 올레산, 리놀레산 및 리놀렌산이었다. 그러나 중성지질 획분은 다른 지방질 획분보다 올레산의 함량이 많았고, 인지질 획분은 다른 지방질 획분보다 팔미트산의 함량이 많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