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ee Amino Acid

검색결과 2,002건 처리시간 0.102초

크릴(Euphausia superba)의 영양성분 및 아미노산 조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Nutritional Components and Amino Acid Compositions of Krill (Euphausia superba))

  • 김한수;김민아;;강동수;장성호;류재용;이춘식;이원기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65-170
    • /
    • 2014
  • Despite abundant nutritions, krill is barely used for human consumpti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nutritional component and amino acid composition of krill and further utilizes it for food resource. Proximate compositions of krill meal were consisted of crude protein 58.85%, ash 13.89%, crude fat 12.45%, carbohydrate 11.01% and moisture 3.80%. The amount of total amino acid was 54.74 g%, and the major amino acids were glutamic acid (7.71 g%), aspartic acid (6.20 g%), leucine (4.72 g%), lysine (4.41 g%), arginine (6.49 g%) and alanine (3.25 g%), respectively. Total essential amino acid content was 21.87%, and the major amino acids were leucine (4.72 g%), lysine (4.41 g%) and isoleucine (2.90 g%), respectively. Content of total free amino acid in krill meal was 20224.30 mg/kg, and the major free amino acids were taurine (4501 mg/kg), arginine (3130.60 mg/kg), proline (2302.90 mg/kg), alanine (2088.10 mg/kg), glycine (1606.40 mg/kg) and lysine (1197.40 mg/kg). Especially, taurine was the most abundant of all free amino acids. Thus, these data indicate that krill seems to be abundant protein source food.

참조기의 아미노산 분리정량 (On the Chemical Analysis of Amino Acid of Yellow Corvenia)

  • 차월석;김종균김연순
    • KSBB Journal
    • /
    • 제4권2호
    • /
    • pp.157-161
    • /
    • 1989
  • 조기의 유리 아미노산, 총 아미노산의 조성을 규명하기 위해 HPLC를 사용하여 분리정량한 결과와 조지방, 조단백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지방 함량은 조기 가식부 : 2.35%, 조기 어란 : 3.65%이고, 조단백질은 조기 가식부 : 46.92%, 조기 어란 : 67.40%로서 다른 어류보다는 조지방은 적으나 조단백질은 비슷하다. 2. 유리 아미노산의 총 함량은 조기 가식부가 323.0mg/100g, 조기 어린이 932.5mg/100g으로 조기 어란이 더 많이 함유되어 있다.

  • PDF

원유내 내냉성 미생물의 오염에 따른 유리 D-amino acid의 생성 (Production of Free D-amino Acids in Raw Milk Related to Psychrotrophic Bacterial Contamination)

  • 김철현;송영민;백승천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1호
    • /
    • pp.91-96
    • /
    • 2004
  • 유단백질에서 유래된 아미노산은 주로 L-이성체의 형태로 존재하나 일부 미생물 세포벽의 구성성분과 일부 항생물질내 D-amnio acid(DAA)가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으며 이는 유제품의 품질저하와 연관된다. 따라서 이 연구는 품질저하와 연관된다. 따라서 이 연구는 내냉성미생물 P. fluorescens와 P. putida에 의한 DAA 생성에 관해 실험하였다. 상업용 혼합 유산균주인 ABT-C를 접종하여 발효시간대별로 free D-amino acid를 분석하였으며, 실험결과 전체적인 DAA 함량은 매우 낮은 수준이고, 특히 발효시간대별 변화가 크게 없어 유산균의 증식에 의한 DAA의 생성은 매우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고, 또한 일부 L-amino acid의 경우 유산균의 생육에 이용되는데 DAA의 경우 발효시간대별 함량이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보아 유산균의 이용성 역시매우 낮은 것으로 생각된다. 원유에서 분리한 P. fluorescens와 P. putida를 접종하여 배양시간대별로 free D-amino acid를 분석하였으며 실험결과 두 처리구 모두 배양시간에 따라 DAA의 생성이 증가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P. putida의 경우 P. fluorescens에 비해 D-Pro의 증가량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나머지 4종은 P. fluorescens에 의한 생성량이 더욱 높게 나타났고, 특히 유해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된 D-Asp 및 D-Ala의 함량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DAA는 내냉성미생물에 의한 품질저하 지표로서 이용가능성과 더불어 인체의 유해성에 대한 위험성을 배제하는 차원에서도 매우 중요하게 인식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죽순, 연근, 우엉의 성분분석 - 유리당, 지방산, 아미노산 및 식이섬유의 조성 - (Study on the Chemical Composition in Bamboo Shoot, Lotus Root and Burdock - Free Sugar, Fatty Acid, Amino Acid and Dietary Fiber Contents -)

  • 한수정;구성자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82-87
    • /
    • 1993
  •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total dietary fiber content and free sugar, fatty acid, amino acid compositions in bamboo shoot, lotus root and burdock. Bamboo shoot contained 3.05% of proteins, 0.48% of lipids, 2.45% of fibers, which were larger than those of other samples (lotus root and burdock). Burdock contained more sugars than the others as 18.64%. On a dry matter basis, total dietary fiber by Prosky AOAC method were 62.5% for bamboo shoot, 17.9% for lotus root and 41.9% for burdock. Therefore, the content of dietary fiber in bamboo shoot was the most abundant among them. Free sugar contents (glucose, fructose and sucrose) of the sample were analyzed by HPLC. Sucrose was the most abundant in both bamboo shoot and lotus root, and the content of fructose and sucrose in burdock were almost same. The major fatty acids in bamboo shoot, lotus root and burdock analyzed by GC were palmitic and linoleic acid. Also, linolenic acid were abundent only in bamboo shoot. The results of amino acid analysis showed that aspartic acid, glutamic acid and Iysine were the most abundent amino acids in the sample. Bamboo shoot contained large percentage of protein, the sweet-tasting amino acids and lipid than the other samples. Therefore bamboo shoot can be used as a flavor material because they contain plenty of the sweet-lasting amino acid and free sugar. Bamboo shoot and burdock can be used as potential source of dietary fiber because of the high content of dietary fiber in those samples.

  • PDF

찹쌀풀 및 새우젓 첨가가 김치 발효중 총 유리아미노산, 총 Vitamin C 및 환원형 Ascorbic acid의 함량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oked Glutinous Rice Flour and Soused Shrimp on the Changes of Free Amino Acid, Total Vitamin C and Ascorbic Acid Contents during Kimchi Fermentation)

  • 이형옥;이혜준;우순자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225-231
    • /
    • 1994
  • This study was intended to observe the effect of cooked glutinous rice flour and soused shrimp on the fermentation of Kimchi samples were fermented for 11 days at 10$^{\circ}C$ after they were previously fermented for 6 hours at 20$^{\circ}C$. Changes of pH, total acidity, salt content, reducing sugar content, free amino acid content, total vitamin C content, and ascorbic acid content were measur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Soused shrimp and glutinous rice flour added in Kimchi acted as lactobacilli growth enhancer during fermentation. 2. Initial cincentrations of redng sugars in Kimch samples with no soused shrimp, 5% and 10% sosed shrimp were 7.5~8.3 mg/g, 3.0~4.7 mg/g and 0.5~0.6 mg/g respectively. Kinchi samples with glutinous rice flour showed higher reducing sugar contents than Kimchi samples without it. 3. Free amino acid contents in Kimchi samples gradually decreased during fermentation at 10$^{\circ}C$. According to their soused shrimp concentration, contents of free amino acid of Kimchi sampl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nd Kimchi samples with glutinous rice flour showed lower free amino acid contents than Kimchi samples without it. 4. Total vitamin C contentrations of Kimchi samples were 24.5~28.0 mg% at the initial stage of fermentation and 15.0~19.2 mg% at the final stage of fermentation. During the fermentation of Kimchi, the higher soused shrimp concentration, the less total vitamin C contents were remained. 5. During the fermentation, ascorbic acid contents of Kimchi samples were not affected by soused shrimp and glutinous rice flour.

  • PDF

야생 돌복숭아 씨와 과육의 아미노산 및 지방산 조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Amino Acid and Fatty Acid Compositions in the Seed and Pulpy Substance of Feral Peach (Prunus persica Batsch var. davidiana Max.))

  • 김한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25-131
    • /
    • 2007
  • 우리나라 전역에서 자생하는 야생 돌복숭아(Prunus persica Batsch var, davidiana Max.)의 씨와 과육 중의 각종 생리활성 물질을 규명하여 바이오헬스 기능성 소재 등의 자원으로서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한 자료로, 돌복숭아 씨와 과육 중의 일반성분, 구성 총 아미노산, 유리 아미노산 및 지질 구성 지방산 조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돌복숭아 씨 및 과육 중의 일반성분 함량은 탄수화물이 63.92% 와 75.11%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조단백질 27.85%, 12.77%, 수분 3.61%, 4.69%, 조지 방이 1.21%, 4.80% 그리고 조회분이 3.41%와 2.63%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돌복숭아 씨 중의 구성 총 아미노산의 함량은 3,444.35 mg%로 이 중 aspartic acid가 681.10 mg%, glutamic acid 495.48 mg%, alanine 283.66 mg%, serine 251.36 mg%, proline 229.80 mg%, lysine 192.31 mg% 및 leucine이 191.34 mg%의 순으로 조성되어 있었으며, 특히 aspartic acid 및 glutamic acid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돌복숭아 과육의 단백질 구성 아미노산 조성의 총 함량은 1,064.02 mg%로, aspartic acid 250.15 mg%, glutamic acid는 129.63 mg%로 과육의 주요 총 아미노산이었고 lysine, proline, leucine, alanine, serine 등의 순으로 함유되어 있었다. 돌복숭아 씨 중 유리 아미노산 조성의 총 함량은 6,215.34 mg%로, 이 중 glutamic acid가 827.25 mg%로 가장 많았으며, threonine, valine, $\beta-aminobutyric$ acid 등의 순으로 함유되어 있었다. 과육 중의 유리 아미노산 조성의 총 함량은 683.82 mg%로, glutamic acid(339.49 mg%)가 대부분 이었으며, serine, proline, alanine, $\gamma-amino-n-butyric$ acid의 순으로 함유되어 있었다. 지질 구성 지방산 조성은 포화지방산이 12.49%, 단불포화지방산 13.11% 및 다불포화지방산이 74.36%의 함유비율을 보였으며, 필수지방산인 n-6계 linoleic acid$(C_{18:2})$와 n-3계 linolenic acid$(C_{18:3})$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야생 돌복숭아 과육 중의 지방산 조성은 포화지방산이 16.74%, 단불포화지방산 17.51% 및 다불포화지방산이 65.73%의 함유 비율을 보였는데, 이 중 다불포화지방산인 n-6계 linoleic acid$(C_{18:2})$와 n-3계 linolenic acid$(C_{18:3})$가 지질 구성 총 지방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함유 비율을 나타내었다.

옥돔건조중의 유리아미노산의 변화 (CHANGES IN FREE AMINO SCIDS OF YELLOW SEA BREAM BRANCHIOSTEGUS JAPONICUS JAPONICUS DURING DEHYDRATION)

  • 하진환;이응홍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27-31
    • /
    • 1980
  • 제주도에서 즐겨 먹어온 전통적인 수산식품중의 하나인 옥돔, Eranchiostegus japonicus japonicus, 건조중의 유리아미노산을 분석한 결과 생원료와 건조옥돔에서 17종의 유리아미노산을 분리 고정할 수 있었다. 생원료의 유리아미노산 조성을 보면 함량이 많은 것은 lysine, alanine, threonine, arginine이고 그 다음이 taurine, serine, proline, glycine, glutamic acid, leucine이고 valine, methionine, tyrosine, isoleucine, phenylalanine은 함량이 적었고 특히 aspartic acid와 histidine은 그 함량이 제일 적었다. 옥돔건조중 유리아미노산 조성에는 변화가 없었다. 그리고 건조중 유리아미노산 총량은 생원료에 비하여 $40\%$ 증가하였다. 건조옥돔에는 전체 유리아미노산중 lysine이 $18.4\%$, alanine 이 $14.7\%$, glutamic acid가 $8.8\%$, arginine이 $7.3\%$로서 이들4종 아미노산이 전 유리아미노산의 $48.4\%$를 차지하였다. 또 건조중 특히 많이 증가한 아미노산은 aspartic acid와 glutamic acid로 각각 2.9배, 2.1배 증가하였으나 taurine과 histidine은 $48\%,\;44\%$씩 감소하였다. 건조옥돔의 유리아미노산 중에는 좋은 맞을 가진 glutamic acid, 단맛을 가진 lysine, alanine이 많이 함유되어 있고 또 TMAO도 많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이들이 복합적으로 건조옥돔의 독특한 맛에 중요한 구실을 할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 PDF

콩과식물인 아까시나무(Robinia pseudo-acacia), 등나무(Wistaria floribunda) 및 해녀콩(Canavalia lineata)에서 canavanine과 유리아미노산의 분포 (Distribution of Canavanine and Free Amino Acids in Legumes, Robinia pseudo-acacia, Wistaria floribunda, and Canavalia lineata)

  • Yu, Gyung-Hee;Young Myung Kwon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8권4호
    • /
    • pp.433-440
    • /
    • 1995
  • The constituents and proportions of non-protein free amino acids including canavanine were measured in roots and leaves of legumes, Robinia pseudo-acacia L., Wistaria floribunda L., and Canavalia lineata L. by us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during dormant and fertilizing seasons. in all the three plant species, asparagine was the most abundant amino acid occurring 30% of total free amino acids, and canavanine was the second most abundant amino acid contributing 10% of total free amino acids throughout dormant and fertilizing seasons. In dormant season, roots contained 2 to 3 folds of free amino acids including canavanine and asparagine compared to those in fertilizing season. When proportions of asparagine and canavanine to total gree amino acids in various parts of C. lineata were examined in fertilizinng season, the level of asparagine was the highest in roots while that of canavanine was in seeds.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it is assumed that canavanine appears and functions as a nitrogen-storing compound in roots and leaves throughout the whole life cycle of the investigated plants.

  • PDF

양송이, 느타리, 표고버섯의 유리아미노산 및 전아미노산 조성 (Contents of Free Amino Acids and Total Amino Acids in Agaricus bisporus, Pleurotus ostreatus and Lentinus edodes)

  • 홍재식;김영회;김명곤;김영수;손희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58-62
    • /
    • 1989
  • 국내에서 널리 인공재배 되고 있는 식용버섯인 양송이 (Agaricus bisporus), 느타리(Pleurotus ostreatus) 및 표고버섯(Lentinus edodes)의 부위별 유리아미노산 및 전아미노산을 아미노산 자동분석기로 비교 검토하였다. 3종의 버섯에서 18종의 아미노산들을 확인 정량하였다. 이들이 함유한 총질소의 함량은 $1.67{\sim)6.42%$이었고 단백태질소는 $0.88{\sim}2.42%$의 범위로 종류 및 부위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으며 이들 질소화합물들은 자루보다도 갓부위에 더 높게 분포하고 있었다. 유리아미노산의 분포범위는 $10.04{\sim}37.85mg/g(dry\;weight)$, 전아미노산의 범위는 $53.37{\sim}120.15mg/g(dry\;wieht)$로 나타났다. 유리아미노산중 가장 많이 분포하는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serine, histidine, alanine 순이었다. 전아미노산중 가장 많이 분포하는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이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aspartic acid, histidine, alanine순이었다.

  • PDF

굴비 가공(加工)중의 유리아미노산의 변화 (Changes in Free Amino Acids of Yellow Corvenia, Pseudosciaena manchurica, during Gulbi Processing)

  • 이응호;성낙주;하진환;정승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225-229
    • /
    • 1976
  • 우리나라의 독특(獨特)한 수산가공품(水産加工品)의 일종(一種)인 굴비의 정미성분(呈味成分)에 대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얻기 위하여 참조기, Pseudosciaena manchurica,를 원료(原料)로 하여 굴비가공(加工) 중의 유리아미노산의 변화(變化)를 실험(實驗)하였다. 참조기의 유리아미노산 조성(組成)을 보면, 함량이 많은 것은 glutamic acid, alanine, lysine이고, 다음이 leucine, glycine, serine, threonine이고, 함량이 적은 것은 isoleucine, histidine, aspartic acid이며, proline, valine, methionine, tyrosine, phenylalanine은 함량이 극히 적었다. 굴비가공(加工)중 유리아미노산 조성(組成)에는 변화(變化)가 없었다. 그리고 굴비가공(加工)중 유리아미노산 총량(總量)은 원료(原料)에 비하여 3.6배(倍)로 증가(增加)하였다. 염장공정(鹽藏工程)중 유리아미노산이 원료(原料)에 비하여 3.5배(倍)로 증가(增加)하였으며, 염장후(鹽藏後) 건조공정(乾燥工程)중에는 원료(原料)에 비하여 양적으로 1%증가(增加)하여 거의 변화(變化)가없었다. 굴비제품(製品)에는 전(全)유리아미노산중 glutamic acid가 20.0%, lysine이 12.9%, leucine이 11.1%, alanine 이 10.1%, valine이 8.5%로서 이들 5종(種)의 아미노산이 전(全)유리아미노산의 62.6%를 차지하였다. 굴비의 유리아미노산중에는 좋은 맛을 가진 glutamic acid, 단맛을 가진 lysine, alanine 그리고 쓴맛을 가진 leucine등이 많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이들 유리아미노산이 굴비의 독특(獨特)한 풍미(風味)에 중요(重要)한 구실을 할 것이라는 결론(結論)을 얻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