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ur Parameter Beta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27초

주관적 향의 선호도와 뇌파 반응과의 상관관계 (A Study on Correlation Between Subjective Assessment and EEG for Essential Odors)

  • 민병찬;한정수;정순철;변증남;김지관;김철중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9
    • /
    • 2001
  • In the present study, the correlation between subjective assessment and EEG for essential odors were investigated quantitatively. EEG signals were measured from 19 electrodes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10-20 system (Fp1, Fp2, F3/4, F7/8, Fz, C3/4, Cz, P3/4, Pz, T3/4, T5/6, O1/2) from 8 healthy males subjects for four odor(Rose oil bulgarian, Lemon oil misitano, jasmin abs, Laverder oil france (KIMEX co. Ltd) conditions. The result of the subjective assessment shows the most pleasant odor for each subject. and the power spectrum of ${\alpha}/({\alpha}+{\beta})$ of EEG signals from the most pleasant odor was compared with those from the control condition, which has no odor at all. Power spectrum of ${\alpha}/({\alpha}+{\beta})$ of EEG from the most pleasant odor was increased significantly at T4, T6 compared to the control condition. This result implies that the parameter, power spectrum of ${\alpha}/({\alpha}+{\beta})$, could be an important index for signifying the levels of pleasantness for odors.

  • PDF

Beta 함수 모형을 이용한 국내 옥수수 품종의 출사기 예측 (Prediction of Silking Date of Corn Hybrids Using Beta Function Model in South Korea)

  • 심교문;김용석;이진석;정명표;최인태;김호정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02-109
    • /
    • 2017
  • 수원 등 4개의 시험포장에서 2008년부터 2013년까지 6년 동안 조사한 옥수수 품종의 생물계절(출사기 등) 자료와 시험포장 인근의 기상관측소에서 측정한 시간별 온도자료를 활용하여 온도기반의 Beta 함수 모형을 개발하였다. Beta 함수 모형을 이용하여 2종의 옥수수 품종에 대한 2014년과 2015년의 출사기 예측을 4개 조사지점에 대해서 각각 수행하였고, 그 결과를 활용하여 모형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모형에 의해 추정한 옥수수의 출사기는 시험포장에서 관측한 출사기보다 이르게 모의하였지만, 이들의 상관계수(r=0.859)는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모형의 성능은 지역과 연도에 따라서 다르게 평가되었는데, 이는 모형에 활용된 평균 모수의 표준편차가 커서 나타난 현상으로 추정되었고, 모수의 표준편차가 큰 현상은 시험포장의 기상관측자료의 부재로 다소 떨어진 인근의 기상관측자료를 활용한 것이 한 원인으로 판단되었다.

Processing and benchmarking of evaluated nuclear data file/b-viii.0β4 cross-section library by analysis of a series of critical experimental benchmark using the monte carlo code MCNP(X) and NJOY2016

  • Ouadie, Kabach;Abdelouahed, Chetaine;Abdelhamid, Jalil;Abdelaziz, Darif;Abdelmajid, Saidi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49권8호
    • /
    • pp.1610-1616
    • /
    • 2017
  • To validate the new Evaluated Nuclear Data File $(ENDF)/B-VIII.0{\beta}4$ library, 31 different critical cores were selected and used for a benchmark test of the important parameter keff. The four utilized libraries are processed using Nuclear Data Processing Code (NJOY2016). The results obtained with the $ENDF/B-VIII.0{\beta}4$ library were compared against those calculated with ENDF/B-VI.8, ENDF/B-VII.0, and ENDF/B-VII.1 libraries using the Monte Carlo N-Particle (MCNP(X)) code. All the MCNP(X) calculations of keff values with these four libraries were compared with the experimentally measured results, which are available in the International Critically Safety Benchmark Evaluation Project. The obtained results are discussed and analyzed in this paper.

유연관-해저주행차량 연성 동적거동 해석 (Coupled Dynamic Analyses of Underwater Tracked Vehicle and Long Flexible Pipe)

  • 홍섭;김형우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3권3호
    • /
    • pp.237-245
    • /
    • 2008
  • 우리는 해저 연약지반 주행차량과 주행차량의 상부에 결합되어 있는 유연관의 연성거동 동력학 해석 기법을 개발하였다. 연약지반 주행차량은 1개의 강체로 모델링되었으며, 질량집중매개변수 기법을 이용한 이산화기법을 적용하여 유연관을 모델링하였다. 강체 무한궤도 주행차량의 운동방정식과 유연관의 3차원 비선형 지배방정식을 결합시켰으며, 4개의 오일러 매개변수를 이용하여 주행차량과 유연관의 자세를 표현하였다. 주행차량과 유연관의 비선형 연성거동 동력학 방정식의 해를 구하기 위해, 증분-반복법을 이용하였다. 시간영역 수치적분을 위해 $Newmark-\beta$기법을 이용하였다. 증분-반복법을 적용하여 연성 운동방정식에 대한 자코비안 행렬을 유도하였다. 동적거동 동력학 해석 기법을 통해 유연관의 동적거동과 연약지반 위를 주행하는 무한궤도 차량의 동적거동 사이의 상호작용을 시간영역에서의 관찰하였다.

서안경계류 역학을 이해하기 위한 실험 장치 및 방법 개발 (Development of Apparatus and Methods for Understanding the Dynamics of the Western Boundary Current)

  • 장승환;신정선;문병권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88-94
    • /
    • 2010
  • 서안경계류의 발생 역학을 이해하기 위하여 간단한 실험 장치와 방법을 개발하였다. 위도에 따른 코리올리 파라미터의 변화(즉 베타효과)를 구현하기 위하여 바닥이 경사진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수조를 이용하였다. 중위도 해양에 작용하는 바람 응력은 수조 상부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원판으로 대신하였다. 수조 바닥의 형태와 수조의 회전 유무의 조합으로 구성된 4가지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베타효과가 포함된 실험에서 서안경계류와 유사한 흐름과 스베드럽 영역을 볼 수 있었다. 반면에, 베타효과 없이 일정한 코리올리 힘만 있을 때는 수조 속의 물은 관성류의 특징을 나타냈다. 우리는 또한 회전 유체가 굳어진 것처럼 변한다는 테일러-프라우드만 효과를 확인 하였다. 이 연구에서 개발된 장치와 방법은 베타효과에 의한 서안경계류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Bayesian 4P-Beta 모형을 이용한 극치 강수량 전망 기법 개발 (A Development of Extreme Rainfall Outlook Using Bayesian 4P-Beta Model)

  • 김용탁;김호준;권현한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9년도 학술발표회
    • /
    • pp.312-312
    • /
    • 2019
  • 지구온난화로 인하여 기상학적 변동성 증가 및 수질, 수자원, 생태계 등의 다양한 영역에 영향을 야기하고 있으며, 이를 통한 피해가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근 다양한 분야에서 수문학적 빈도에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진 AO(Arctic Oscillation), NAO(North Atlantic Oscillation), ENSO(El $Ni{\tilde{n}}o$-Southern Oscillation), PDO(Pacific Decadal Oscillation), MJO(Madden-Julian Oscillation)등의 외부인자중 SST, MJO를 활용하여 계절단위의 수문량 정도에서 기상학적 변량과 관측유역 강수량의 관계를 정립하고 발생 가능한 24시간 지속시간 극치강수량을 모의하였다. 이를 위하여 Bayesian 통계기법을 이용한 비정상성 빈도해석모형을 근간으로 외부 기상인자에 의한 계절강수량 예측모형인 계층적 베이지안 네트워크(Hierarchical Bayesian Network, HBN)를 구축한 후 산정된 결과를 입력 자료로 하여 직접적으로 일단위 이하의 극치강수량을 상세화 시킬 수 있는 베타 모델(four parameter beta, 4PB)을 연계한 계층적 베이지안 네트워크 베타모델(Hierarchical Bayesian Network-4beta Model, HBN4BM)을 개발하여 기상변동성을 고려한 상세화 모형을 개발하였다. 여름강수량 산정 결과 한강 유역의 경우 2016년은 관측값 573.85mm, 모의 값 567.15mm를 나타내어 약 1.2%의 오차를 나타냈으며, 2017년 및 2018년은 4.5%, 6.8%의 오차에서 모의가 이루어졌다. 금강의 경우 2016년은 다른 연도에 비하여 35.2%라는 큰 오차를 보였지만 불확실성 구간에서 모의가 이루어 졌으며, 2017년 및 2018년은 0.3%, 2.1%의 작은 오차가 발생하였다. 24시간 모의 결과는 최소 0.7%에서 최대 27.1%의 오차를 나타냈으며, 평균적으로 16.4%의 오차 결과가 모의되어 모형의 신뢰성을 확인하였다.

  • PDF

Effects of Supplementation of β-Mannanase in Corn-soybean Meal Diets on Performance and Nutrient Digestibility in Growing Pigs

  • Lv, J.N.;Chen, Y.Q.;Guo, X.J.;Piao, X.S.;Cao, Y.H.;Dong, B.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6권4호
    • /
    • pp.579-587
    • /
    • 2013
  • A total of 288 crossbred (Duroc${\times}$Landrace${\times}$Yorkshire) growing pigs were used in two experiment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dding ${\beta}$-mannanase to corn-soybean meal-based diets on pig performance and apparent total tract digestibility (ATTD). Both experiments lasted 28 d and were split into two phases namely 1 to 14 days (phase 1) and 15 to 28 days (phase 2). In Exp. 1,144 pigs weighing $23.60{\pm}1.59$ kg BW were assigned to one of four corn-soybean meal-based diets containing 0, 200, 400 or 600 U/kg ${\beta}$-mannanase. Increasing the level of ${\beta}$-mannanase increased weight gain (quadratic effect; p<0.01) and feed efficiency (linear and quadratic effect; p<0.01) during the second phase and the overall experiment. However, performance was unaffected (p>0.05) by treatment during phase 1. Increasing the amount of ${\beta}$-mannanase in the diet improved (linear and quadratic effect; p<0.05) the ATTD of CP, NDF, ADF, calcium, and phosphorus during both phases. Based on the results of Exp. 1, the optimal supplementation level was determined to be 400 U/kg and this was the level that was applied in Exp. 2. In Exp. 2, 144 pigs weighing $23.50{\pm}1.86$ kg BW were fed diets containing 0 or 400 U/kg of ${\beta}$-mannanase and 3,250 or 3,400 kcal/kg digestible energy (DE) in a $2{\times}2$ factorial design. ${\beta}$-Mannanase supplementation increased (p<0.01) weight gain and feed efficiency while the higher energy content increased (p<0.01) feed intake and feed efficiency during both phases and overall. Increased energy content and ${\beta}$-mannanase supplementation both increased (p<0.05) the ATTD of DM, CP, NDF, ADF, phosphorus, and GE during both phases. There were no significant interactions between energy level and ${\beta}$-mannanase for any performance or digestibility parameter. In conclusion, the ${\beta}$-mannanase used in the present experiment improved the performance of growing pigs fed diets based on corn and soybean. The mechanism through which the improvements were obtained appears to be related to improvements in ATTD.

속도와 압력의 항의 마찰상수를 갖는 마찰기인 4자유도계 자려진동 시스템의 비선형 해석 (Nonlinear analysis of a 4-dof friction induced self-ocsillation system with the friction coefficient of velocity and pressure)

  • Joe, Yong-Goo;Shin, Ki-Hong;Oh, Jae-Eung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초록집
    • /
    • pp.331.1-331
    • /
    • 2002
  • Four degrees of freedom mathematical model is presented to describe the fundamental mechanisms of the disc brake squeal noise. A contact parameter is introduced to describe the coupling between the in-plane and the out-of-plane motions. The friction coeficient including "relative velocity" and ′normal force" can be generally formulated as the form of multiplication with polynominal parameters(${\beta}$, ${\gamma}$). (omitted)

  • PDF

지진발생빈도-크기 분석을 위한 Poisson-Pareto 분포 모형과 연계한 지진해일 위험도 평가 기법 개발 (A Development of Tsunami Risk Assessment Model Using a Poisson-Pareto Distribution for Earthquake Frequency and Magnitude)

  • 김관혁;권현한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7년도 학술발표회
    • /
    • pp.330-330
    • /
    • 2017
  • 최근 우리나라 주변에 잦은 지진으로 인한 재해위험도 증가 우려가 커지고 있다. 국내 외에서 지진해일 위험도 평가는 시나리오를 기준으로 수치해석을 수행하고 이들 결과를 활용하는 절차로 수행된다. 그러나 위험도 평가는 하중조건 즉, 지진해일을 발생시키는 지진의 발생빈도 및 크기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확률 계산이 우선적으로 요구되나, 기존 분석 절차에서는 고려가 되지 않거나 상대적으로 간략화 되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과거 우리나라 주변에 지진 및 지진해일 자료, 수치해석 모형 결과를 활용하여, 지진의 규모와 발생빈도를 종합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 지진해일 위험도 평가 방법을 수립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지진 위험도 평가를 위해서 Poisson-Pareto 분포를 이용하였다. 둘째, 지진발생 위치 및 크기를 고려한 지진해일 위험도 평가 모형을 개발하였다. 셋째, 지진발생 위험도 및 지진해일 위험도를 통합한 해석 모형을 개발하고자 하며, 본 연구애서 제시하는 모든 해석 절차는 매개변수의 불확실성을 고려할 수 있도록 Bayesian 해석기법을 도입하여 진행하였다.

  • PDF

DRINKING AS AN EPIDEMIC: A MATHEMATICAL MODEL WITH DYNAMIC BEHAVIOUR

  • Sharma, Swarnali;Samanta, G.P.
    • Journal of applied mathematics & informatics
    • /
    • 제31권1_2호
    • /
    • pp.1-25
    • /
    • 2013
  • In this paper we have developed a mathematical model of alcohol abuse. It consists of four compartments corresponding to four population classes, namely, moderate and occasional drinkers, heavy drinkers, drinkers in treatment and temporarily recovered class. Basic reproduction number $R_0$ has been determined. Sensitivity analysis of $R_0$ identifies ${\beta}_1$, the transmission coefficient from moderate and occasional drinker to heavy drinker, as the most useful parameter to target for the reduction of $R_0$. The model is locally asymptotically stable at disease free or problem free equilibrium (DFE) $E_0$ when $R_0$ < 1. It is found that, when $R_0$ = 1, a backward bifurcation can occur and when $R_0$ > 1, the endemic equilibrium $E^*$ becomes stable. Further analysis gives the global asymptotic stability of DFE. Our aim of this analysis is to identify the parameters of interest for further study with a view for informing and assisting policy-makers in targeting prevention and treatment resources for maximum effective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