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mate esters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4초

녹차나무꽃의 향기성분 분석 (Analysis of Volatile Flavor Constituents in Green Tea Flower)

  • 백순옥;복진영;한상빈;조경숙;방극필;김일광
    • 분석과학
    • /
    • 제9권4호
    • /
    • pp.331-335
    • /
    • 1996
  • 국내산 녹차나무꽃의 향기성분을 기체 크로마토그래피 및 질량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시료 중 56종의 화합물이 분리확인되었으며, hydrocarbon류 22종, alcohol류 14종, aldehyde류 6종, ester류 5종, 기타 9종이었다. Heneicosyl formate와 ${\alpha}$-phenyl ethyl alcohol, acetophenone 등이 많이 포함되어 있었고, sesquiterpene 성분인 germacrene D도 확인되었다.

  • PDF

Theoretical Studies on the Reactions of Acetate Esters with Substituted Phenolate Anion Nucleophiles$^1$

  • 임웅묵;김왕기;정학진;이익준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16권3호
    • /
    • pp.252-256
    • /
    • 1995
  • Semiempirical MO calculations using the PM3 method are performed on the reactions of acetate esters with substituted phenolate anions. The mechanistic change from rate-limiting formation to breakdown of the anionic intermediate is shown to occur in the gas-phase, especially for meta-nitrophenyl acetate. However the mechanistic change-over takes place at a lower basicity ($pK_0$) of the anion nucleophile than found for the corresponding formate. This lowering of $pK_0$ has been ascribed to the electron donating effect of the methyl group in the acetate. For the reactions involving rate-limiting breakdown of the intermediate, the large Bronsted coefficients, ${\beta}_X({\beta}_{nuc})$, are expected in general, but the magnitude increases to a larger value and the pK0 is lowered accordingly, when an electron-donating nonleaving group, like $CH_3$, is present. This type of nonleaving group effect provides a necessary condition for the carbonyl addition-elimination mechanism with rate-limiting breakdown of the intermediate.

두충잎의 휘발성 향기성분 분석 (Analysis of Volatile Flavor Compounds from the Leaves of Eucommia ulmoides)

  • 이미순;정미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59-366
    • /
    • 2001
  • 신선한 두충잎을 연속수중기증류추출 장치로 증류하여 얻어진 정유성분을 GC 및 GC-MS로 분석하였다. 수확시기가 7월인 신선한 두충잎에서는 총 51가지의 휘발성 향기성분이 확인되었는데 10종의 hydrocarbon류, 15종의 alcohol류, 12종의 aldehyde류, 4종의 ketone류, 4종의 ester류 및 6종의 acid류 등이 포함되어 있었다. 또한 9월 시료에는 hydrocarbon류 15종, alcohol류 10종, aldehyde류 5종, ketone류 4종, ester류 4종 및 acid류 3종을 합하여 총 41종이 확인되었다. 향기성분의 함량은 7월 시료가 55.52ppm으로 9월의 20.97ppm 보다 많았으며 7월 시료는 tran-2-hexenal, 2-hexen-1-ol 및 3-methyl-1-pentene이 주요 성분이며 aldehyde류가 전체 휘발성 향기성분의 39.34%를 차지하였다. 9월 시료는 benzyl alcohol, cis-3-hexenol 및 ethyl acetate가 주성분이며 alcohol류가 가장 많은 33.99%이었다. 자연건조 두충잎의 7월 시료에서 21종의 hydrocarbon류, 12종의 alcohol류, 12종의 aldehyde류, 9종의 ketone류, 5종의 ester류, 8종의 acid류 및 4종의 기타성분을 합하여 총 71가지 휘발성 향기성분이 확인되었다. 또한 9월 시료에는 34종의 휘발성 향기성분, 즉 hydrocarbon류 10종, alcohol류 9종, aldehyde류 3종, ketone류 3종, ester류 4종, acid류 4종 및 기타 1종이 확인되었다. Hydrocarbon류가 가장 많아 7월 시료의 경우 전체 향기성분의 25.40%, 9월 시료는 61.69%를 차지하였다. 동결건조된 두충잎 가운데 7월 시료에는 13종의 hydrocarbon류, 9종의 alcohol류, 5종의 aldehyde류, 3종의 ketone류, 6종의 ester류 및 5종의 acid류의 총 41종의 휘발성 향기성분이 확인되었다. 또한 8월에 채취한 시료에서는 41종의 휘발성 향기성분인 hydrocarbon류 10종, alcohol류 10종, aldehyde류 4종, ketone류 4종, ester류 7종, acid류 3종 및 기타 3종이 포함되어 있었다. 또한 구월시료에서는 hydrocarbon류 13종, alcohol류 3종, aldehyde류 2종, ketone류 3종, ester류 2종, acid류 2종 및 기타 1종의 26가지 휘발성 향기성분이 확인되었다. 7월 시료에는 ethane, ethyl formate, trans-2-hexenal의 순서로 그 함량이 많았으며, hydrocarbon류가 전체성분의 30.42%를 차지하였다. 8월 시료는 benzyl alcohol, ethyl formate 및 trans-2-hexenal의 순서로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ester류가 35.60%를 차지하였다. 또한 9월 시료에도 ester류가 32.92%를 차지하였으며 ethyl acetate, benzyl alcohol, ethane 및 trans-2-hexenal의 순서로 함량이 높았다.

  • PDF

Microb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Volatile Components of Deastringent Persimmon Vinegar

  • Hur, Sung-Ho;Lee, Ho-Jae;Lee, Tae-Shik;Lee, Won-Koo;Hong, Jeong-Hwa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3권3호
    • /
    • pp.230-233
    • /
    • 1998
  • Acetic acid producing bacteria were isolated from deastringent persimmon vinegar and the major bacterium was identified using morphological and biochemical tests. Acetobacter sp. AH-1 was motile, gram negative rod with catalase positive and oxidase negative. The strain can grow up to 5 % ethanol and 2% NaCl as well as 25% glucose. Optimum temperature and pH for growth were 3$0^{\circ}C$ and 5.0, respectively. Volatile constituents of persimmon vinegar were analyzed by purge and trap sampling . Acetic acid adn alcohol were the largest volatile compounds quantitiatively in persimmon vinegar. Among alcohols, 20methyl-1-propanol, isoamyl alcohol and amyl alcohol were detected. Isovaleradehyde and benzaldehyde for aldehyde, isoamyl acteate, ethyl formate, propyl aceetate, and ethyl acetate for esters were likely to contribute to persimmon vivegar flavor.

  • PDF

취반된 흑미의 휘발성 향기 성분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Cooked Black Rice)

  • 송선주;이유석;이종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1015-1021
    • /
    • 2000
  • 현재 재배되고 있는 흑미 중 수원 415호와 진도를 n-pentane과 diethylether 혼합용액(1:1, v/v)을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SDE방법으로, 취반된 흑미로부터 휘발성 향기 성분을 추출하였다. 이 향기 추출물을 정제 농축하여 GC와 GC/MS로 분석한 후 GC 분석에 의한 RI 및 GC/MS 분석에 의한 mass spectrum을 표준물질의 분석 자료와 비교, 확인함으로써 휘발성 향기 성분을 동정하였고, 내부 표준물질을 이용하여 이들 성분을 정량하였다. 수원415호와 진도에서 각각 91, 82종의 화합물이 분리되었다. 수원415호에서는 alcohol류 26종, ketone류 15종, ester류 11종, aldehyde류 10종, hydrocarbon류 9종, acid류 5종, 황화합물 9종, 질소화합물 3종, furan 화합물 3종이었고 동정된 물질 중에서 hexadecanoic acid, acetic acid, 1,2-ethanediol, guaiacol, ethyl acetate, 2,3-dihydrobenzofuran, ethanol, ethyl hexadecanoate, methyl 9,12- octadecadienoate, hexanol, ethyl formate, hexanal, 2-pentanone이 수원 415호 흑미의 주요한 성분으로 확인되었다. 진도 흑미에서 분리 동정된 성분으로는 alcohol류 28종, ketone류 14종, ester류 12종, aldehyde류 9종, hydrocarbon류 5종, acid류 4종, 황화합물 4종, 질소화합물 3종, furan 화합물 3종이었고, hexadecanoic acid, guaiacol, acetic acid, 2,3-dihydrobenzofuran, hydroperoxy pentane, ethyl acetate, methyl 9,12-octadecadienoate, 2-nonanone, ethyl hexadecanoiate, ethyl formate, ethyl 9-octadecenoate, hexanol, 2-pentanone, 3-methyl-1-butanol이 동정되어 이러한 성분들이 진도 흑미의 주요한 성분으로 확인되었다. 미량이지만 향기의 발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하는 1-acetyl-2-pyrrolidone과 ${\alpha}-pyrrolidone$이 동정되었다.

  • PDF

전통 명태식해 저온숙성 중 휘발성 성분의 변화 (Changes of Volatile Components in Alaska Pollack Sik-hae during Low-Temperature Fermentation)

  • 차용준;정은정;김훈;이영미;조우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566-571
    • /
    • 2002
  • 명태식해의 산업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기 위해 명태식해를 제조한 뒤 저온(5$^{\circ}C$)에서의 저장 중 휘발성 향기성분을 LLCE/GC/MS법으로 분석한 결과 총 65종의 화합물이 검출되었다. 이는 주로 함황화합물류(11종), 알콜류(13종), acid류(13종), 알데히드류(4종), 케톤류(4종), 테르펜류(6종), 방향족 화합물류(4종) 및 기타 화합물류(10종)로 구성되어 있었다. 한편 명태식해 숙성 중 함황화합물류(3-(methylthio)-1-propene, dimethyl disulfide, diallyl sulfide, methylallyl disulfide, methyl-(E)-propenyl disulfide, dimethyl trisulfide, 2 diallyl disulfide isomers, diallyl trisulfide), 산류(acetic acid, butanoic acid), 케톤류(2, 3-butanedione, 6-methyl-5-hepten-2-one) 및 기타 화합물류 중의 에스테르류(ethyl formate, ethyl acetate)가 저장기간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었다(p<0.05). 특히 함황화합물류는 명태식해의 숙성과정 전반에 걸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추정되었고, acid류, 케톤류 및 에스테르화합물류는 숙성 후반에 더 크게 관여할 것으로 추정되었다.

효모종류를 달리한 탁주 술덧의 휘발성 향기성분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the Mashes of Takju Prepared Using Different Yeasts)

  • 이홍숙;이택수;노봉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593-599
    • /
    • 2007
  • GC와 GC-MS를 사용하여 발효 6일차의 탁주 술덧의 휘발성 향기 성분을 분석한 결과 알코올 14종, 에스테르 13종, 유기산 5종, 알데하이드 3종, 아민 7종, 기타 2종으로 최대 44종이 검출되었다. S. coreanus구에서 44종으로 가장 많은 향기성분이 검출되었다. 모든 시험구에서 공통으로 검출된 성분은 ethanol, isobutyl alcohol, isoamyl alcohol, methyl pentanol, 1,3-butanediol, 3-methylthio-1-propanol, benzene ethanol의 알코올 7종과 ethyl lactate, diethyl butanoate, diethyl succinate의 에스테르 3종, acetic acid, isopentanoic acid, hexanoic acid의 유기산 3종, acetaldehyde의 알데하이드 1종, 1,3-cyclohexane diamine의 아민 1종 등 총 15종이었다. 휘발성 향기성분의 면적비율(peak area%)은 알코올(96.758-99.387%), 에스테르(0.081-0.968%), 유기산(0.040-0.640%), 알데하이드(0.266-0.959%), 아민(0.011-0.047%)으로 나타났다. Methylpentanol, 3-methylthio-1-propanol, benzeneethanol, isoamyl acetate, diethyl succinate, ethyl nonanoate, methyl hexadecanoate, ethyl stearate, hexadecanoic acid 성분은 특별히 S. coreanus구에서 타시험구에 비해 높은 함량을 나타냈고, 1-propanol, isobutyl alcohol 성분은 S. ellipsoideus구에서 isoamyl alcohol, 1-pentanol, dimethyl ketol 성분은 S. carlsbergensis구에서 1,3-butanediol, diethyl butanoate, phenylethyl formate 성분은 S. rouxii 구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외관, 향, 맛, 입안에서의 감촉, 뒷맛 그리고 전반적인 기호도에 대한 탁주 술덧의 관능검사 결과에서는 향과 전반적인 기호도를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시험구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으며, S. coreanus구가 맛, 입안에서의 감촉, 뒷맛에서 S. rouxii는 외관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