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Forested wetland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19초

습지지표종으로서 딱정벌레류를 이용한 부산, 경남 주요 습지의 특성 및 변화 관찰 (Application of the Carabid Beetles as Ecological Indicator Species for Wetland Characterization and Monitoring in Busan and Gyeongsangnam-do)

  • 도윤호;문태영;주기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22-29
    • /
    • 2007
  • 습지의 서식지 특성 및 환경 지표종을 찾기 위해 부산과 경남에 위치한 습지 유형이 다른 하천습지, 산지습지, 하구습지에서 딱정벌레류를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딱정벌레과, 먼지벌레과, 폭탄먼지벌레과에 속한 22속 28종이 채집되었고, 종 다양성은 하천습지(우포늪, 화포늪), 산지늪(재약산늪), 하구습지(낙동강하구) 순으로 나타났다. 딱정벌레류의 종조성은 각 습지에서 독립적으로 나타났는데(${\chi}^2=1716.8$, P<0.01), 하천습지와 산지늪이 가장 다른 종조성을 보였다. 지표종 분석을 통해 각 유형의 습지를 대표하는 $2{\sim}6$종의 딱정벌레류를 지표종으로 선출하였는데, 지표종들은 토성과 토양습도, 인위적 환경변화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하여 습지환경변화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추후 생활사나 먹이특성 등딱정벌레류의 각종별로 자세한생태적 특성이 연구되면 지표종으로 딱정벌레류를 일반화하여 여러 서식지에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DMZ 산림습지의 식생 현황과 특성에 관한 연구 - 파주 경의선 지역을 중심으로 - (The Status and Features of the DMZ Forested Wetlands Fauna - Focusing on the Kyongui Line in Paju -)

  • 박미영;조동길;김귀곤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8권5호
    • /
    • pp.28-38
    • /
    • 2005
  • The De-militarized Zone(DMZ) on the Korean Peninsula is ecologically conserved and naturally developed as access to the area has been controlled in the past five decades. As a result, biodiversity and wetlands are developed very well, but they have not been sufficiently surveyed due to land mines and security reasons. Focusing on the Kyongui Line area in Paju DMZ,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the status of forested wetlands in detail through an on-site survey and understanding the features of forested wetlands in DMZ. The forested wetlands of Paju Kyongui Line area are inhabited by naturally grown Salix koreensis Andress. and Acer ginnale Maxim. and affected by Sacheon Basin region extensively. As the topography of this region is created of inundated area and gentle ground, it is easily affected by hydrology and irrigation and has ideal conditions as forested wetlands. In addition, forest wetlands in this area were used as agricultural land in the past but now transformed into palustrine forested wetlands after being deserted for long time. However, as construction of roads and railways increasingly blocks water paths, the coverage of Robinia pseudoacacia L. and Amorpha fruticosa L. is on the rise, which indicates that forestedwetlands are gradually becoming inland over time.

대구지역 공.사유림 내 산림습원의 식생구조와 분포 (Vegetation Structure and Distribution of Forested Wetland at Public and Private Forests in Daegu City)

  • 정혜란;김현지;최경;박광우;강동진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6권4호
    • /
    • pp.69-84
    • /
    • 2012
  • 본 연구는 대구지역 공 사유림 내 산림습원의 식생구조와 분포를 파악하기 위하여 보존가치가 있는 산림습원의 발굴 및 보전, 향후 체계적인 관리방안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에 있다. FGIS를 이용하여 예상 지점을 도출하고, 산림습원의 보호를 위한 완충구역을 설정하였다. 산림습원으로 판별된 11개 지점을 층위별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63과 131속 148종 2아종 14변종 5품종으로 총 169분류군의 식물이 출현하였다. 산림습원의 종다양도는 관목층에서 1.56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균재도는 관목층에서 0.913로 가장 균일한 상태를 나타냈으며, 교목층, 아교목층, 관목층 모두 0.3이하로 나타나 한 종이 우점하지 않고 층위별로 다수의 종이 공존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완충구역은 습지의 종류, 지형 등을 고려하여 핵심지역 경계부로부터 20~50m로 설정하였다.

가야산국립공원일대의 식생 및 식물상 연구 -단지봉 지역을 중심으로- (Forest Vegetation and Floristic Studies of Mt. Gaya National Park - Especially on the Danji - bong Area -)

  • 박광우;권영한;최경;오승환;김동갑;김주환
    • 환경생물
    • /
    • 제23권1호
    • /
    • pp.1-20
    • /
    • 2005
  • 본 조사지역인 가야산국립공원은 지리학적으로는 북위 35°45'00'∼35°49'30', 동경 128°02'30'∼128°09'30'에 위치하고, 행적구역상으로는 경상남도의 합천군과 거창군, 경상북도의 성주군, 고령군에 걸쳐 있으며, 총면적은 57.81 ㎢에 이른다. 가야산은 우리나라 기후지역상 온대남부에 위치하고, 식물구계학적으로는 남부아구에, 식생구계학상으로는 냉온대에 속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전체면적의 약 82.5%가 해발 600m 이상이며, 1,000m 이상이 약 10.3%에 해당된다. 가야산의 해인사-극락골-토신골 지역은 잘 보존된 소나무림이 우점하고 있고, 부분적으로 노각나무가 산생하는 것이 관찰되었으며, 해인사-진대밭골-두리봉 지역은 계곡에는 소나무와 졸참나무가 고지대에는 신갈나무 등이 부분적으로 군락을 형성하고 있었다. 또한 남산제일봉과 북사면은 각각 등산로와 임도가 형성되어 있어 소나무와 졸참나무, 신갈나무 등이 혼재된 양상을 나타내었고, 백운동계곡 주변은 다른 사면과 달리 식생의 발달정도가 소나무와 관목위주로 매우 단순했다. 특기할만한 점은 상왕봉 주변에서 흰참꽃, 설앵초, 네귀쓴풀, 백리향. 솔나리, 구름송이풀 등의 희귀 또는 고산성 식물들이 분포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가야산국립공원지역에 분포하는 양치식물 이상의 관속식물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91과 268속 373종 1아종 75변종 12품종 4잡종으로 총 465분류군이 조사 확인되었으며, 이는 우리나라 관속식물 4,071 분류군의 11.4%에 해당되었다. 한국특산식물은 11과 15속 15분류 군으로 조사지역내 분포하는 465분류군중 약 3.2%이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17과 21속 25분류군으로 이는 가야산 소산식물 465분류군의 5.4%이었고, 조사지역에 분포하는 귀화식물은 5과 7속 7분류군으로 우리 나라전체 귀화식물종 177종류의 4%이다. 또한 가야산 단지봉(1,028.5m)에서 새로 발견된 산간습지 (forested wetland)와 자란초 자생 군락지에 대해 식생 및 층위별 종조성을 토대로 현존 식생 구조를 분석하였다.

산지습지의 생태적 복원을 위한 수문학적 기능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hydrologic function for ecological restoration at forested wetland)

  • 정유경;강원석;이헌호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97-111
    • /
    • 2022
  • This study was conducted as restoration work to improve the discharge in forested wetlands where there is a concern of damage and observed changes in the discharge and groundwater level. The monthly changes showed that during the wet season, the amount of discharge decreased after restoration and GWL increased. It showed that during the dry season, the GWL and discharge increased. The increased discharge after restoration seems to be the difference in the number of days with no rainfall duration. The change in discharge for each unit of rainfall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the baseflow and decrease the direct discharge after restoration. The recharge ratio of GWL showed a decreasing tendency as rainfall was higher. After restoration, it showed a higher tendency under rainfall with less than 20mm.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restoration implemented by the study caused such an effect as the increased baseflow and increased GWL. It would be an effective restoration method to maintain water resources in forested wetlands. In the initial rainfall, it demonstrated a certain level of effect, bu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restoration technology that can decrease the amount of water discharged after the end of rainfall or during the period of no rainfall to protect and maintain the forested wetlands. Streamflow should be identified by each type of terrain of wetlands and a proper restoration countermeasure should be devised for the site where the discharge frequently occurs.

농촌지역 소규모 소택형습지의 유형분류 및 기능평가 연구 (The Type Classification and Function Assessment at Small Palustrine Wetland in Rural Areas)

  • 손진관;김남춘;강방훈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117-131
    • /
    • 201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tilize as basic information for the construction of conservation and estimation system for Palustrine wetland, which was badly managed and imprudently reclaimed, through the analysis of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nd the estimation of conservation value for sample sites (eight wetlands) in rural area. As the result of wetland type classification, these wetlands was classified by 4 types (Permanent freshwater marshes/pools, ponds, Aquaculture ponds, and Seasonally flooded agricultural land) by Ramsar system, 3 types (Emergent Wetland, Aquatic Bed, and Scrub-Shrub Wetland) by NWI (Cowardin) System, 5 types (Farm Pond Depression, Under-flow wetland, Man-made Pond Depression, Abandoned Paddy Fields Wetland, and Reservoir Shore) by National Wetland's Categorical System, and 3 types (Aquatic Bed Wetland, Emergent Wetland, and Forested Wetland) by Lee (2000) System. These results suggest us developing the new type classification system for small Palustrine wetland in Korean rural areas. The score of function assessment (The Modified RAM) for small Palustrine wetlands was high at the wetlands nearby hills and rice paddy fields, and low at those nearby upper fields, which was mainly affected by land-use and vegetation. The functions as 'Flood/Storm Water Storage', 'Runoff Attenuation', 'Water Quality Protection' were resulted by the structural difference of inflow and outlet. Some functions as 'Wetland size', 'Wetland to immediate watershed ratio', 'Presence of boat traffic', 'Maximum water depth', 'Fetch of water's body' of RAM were not appropriate in evaluation of small wetlands in rural area. Which suggest us developing the new function assessment system for small Palustirne wetland in Korean rural areas.

A New Lichen-Forming Fungus, Aspicilia humida, from a Forested Wetland in South Korea, with a Taxonomic Key for Aspicilioid Species of Korea

  • Lee, Beeyoung Gun;Shin, Hyun Tak;Hur, Jae-Seoun
    • Mycobiology
    • /
    • 제50권1호
    • /
    • pp.20-29
    • /
    • 2022
  • Aspicilia humida Lee is described as a new lichen-forming fungus from a wetland forest, South Korea. The new species is distinguishable from Aspicilia aquatica (Fr.) Körb., the most similar species, by the absence of prothallus, black disk without green color in water, olivebrown epihymenium, shorter hymenium, hymenium I + yellowish blue-green, wider paraphysial tips without a vivid pigment, smaller asci, smaller ascospores, and the presence of stictic acid. Molecular analyses employing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and mitochondrial small subunit (mtSSU) sequences strongly support A. humida as a distinct species in the A. cinerea group. A surrogate key is provided to assist in the identification of all 28 aspicilioid species of Korea.

Determination of Initial Denitrification in Intact Cores under Various Freshwater Wetland Types

  • Seo, Dong-Cheol;Delaune, R.D.;Lane, Robert R.;Day, John W.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20-24
    • /
    • 2012
  • Denitrification rate was determined for various freshwater wetland types in the Mississippi River Coastal delta plain. Site 1 and 4 were collected from forested-tupelo dominated wetland, and site 2 and 3 were from floating emergent marsh. The maximum $N_2O$ emission was $7.47mg\;N\;m^{-2}$ for site 1 at day 6 after the addition of nitrate, $6.96mg\;N\;m^{-2}$ for site 2 at day 4, $6.63mg\;N\;m^{-2}$ for site 3 at day 3, and $9.64mg\;N\;m^{-2}$ for site 4 at day 4. The denitrification rate was determined using the acetylene inhibition method $1.24mg\;N\;m^{-2}d^{-1}$ for site 1, $1.93mg\;N\;m^{-2}d^{-1}$ for site 2, $2.24mg\;N\;m^{-2}d^{-1}$ for site 3, and $2.78mg\;N\;m^{-2}d^{-1}$ for site 4. The maximum denitrification rate was in the order of site 4 > site 3 > site 2 > site 1.

대구, 경북지역 산림습원 일대의 관속식물상 - 대구, 청도, 경주, 포항을 중심으로 - (The Vascular Plants of Forested Wetland in Daegu-Gyeongbuk, Korea - Focused on Daegu, Cheongdo, Gyeongju and Pohang -)

  • 이명훈;유성태;김병도;윤정원;안종빈;권혜연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32-61
    • /
    • 2023
  • 본 연구는 대구·경북 일대 산림습원 지역의 관속식물을 연구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조사는 2020년 6월부터 2021년 10월까지 총 26일에 걸쳐 수행하였고, 확인한 관속식물은 104과 286속 406종 12아종 34변종 6품종 1교잡종 등 총 459분류군으로 정리하였다.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 5분류군: 위기종(EN) 께묵 1분류군, 취약종(VU) 왜박주가리 및 애기물꽈리아재비 2분류군, 약관심종(LC) 꽃창포 1분류군 및 자료부족종(DD) 늦둥굴레1분류군을 확인하였다. 특산식물은 은사시나무, 키버들, 할미밀망, 금오족도리풀 등 11분류군을 확인하였다. 환경부 지정 구계학적특정식물 57분류군: IV등급 긴오이풀 등 3분류군, III등급 박달나무, 쐐기풀 등 8분류군 등을 확인하였다. 귀화식물은 27분류군으로 이 중 생태계교란외래식물은 애기수영, 돼지풀, 미국 쑥부쟁이 등 3분류군을 확인하였으며, 도시화지수는 8.44%, 귀화율은 5.88%로 일반적인 산림의 귀화율인 4%보다 다소 높아 점차 교란이 진행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습지식물은 총 74분류군: 절대습지식물 미나리 등 30분류군, 임의습지식물 털개구리 미나리 등 44분류군을 확인하였다. 산림습원식물은 과거 조사와 비교해볼 때 출현식물은 쇠뜨기(Equisetum arvense L.) 등 277분류군은 공통적으로 출현하였으며, 182분류군은 새롭게 확인하였다. 과거 묵논의 형태로 이루어진 산림습원이 주를 이루고 있어 귀화식물의 유입이 잦아 귀화율이 높아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자생식물들의 위협이 될 우려가 있으므로 생태계교란외래식물은 초봄에 일찍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더불어 귀화식물은 추가적인 유입을 막을 수 있는 지속적이고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경기도 성남시 도시지역 습지의 유형 분포 및 습지식물의 특성 평가 (Distributional Patterns and the Evaluation of Hydrophytic Plants of Urban Wetlands in Seongnam City, Gyunggi-do Province, Korea)

  • 전승훈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59-172
    • /
    • 2008
  • 본 연구는 도시생태계 연구의 적지로 판단되는 경기도 성남시를 대상으로 습지 현황, 습지 유형, 습지식물의 특성, 그리고 훼손상태를 조사 분석하였다. 성남시의 도시습지는 1차 조사결과 모두 162개소가 확인되었으며, 입지적 특성에 따라 산간습지 55개소, 하천변 습지 4개소, 묵논 및 묵밭 62개소, 웅덩이 37개소, 저수지 4개소 등으로 분류되었다. 1차 조사결과, 습지로서의 잠재력이 있다고 판단된 107개소에 대해 2차 정밀 모니터링을 실시한 결과 약 39%에 달하는 42개소가 규모가 작고 육지화되어 습지의 가치가 매우 낮으며 매립 및 배수화 등으로 심각하게 훼손되고 있었다. 학술적으로 보전가치가 높은 중요 습지 27개소를 대상으로 수문환경 특성과 습지식물의 분포특성을 분석한 결과, 성남시 도시습지는 아직도 양호한 수환경 조건과 다양한습지식물의 분포와 정착환경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조사된 184종류의 식물종 가운데 습지의존적인 식물은 75종류인 약 40.7%의 비율에 불과하며, 따라서 대부분의 습지가 육상역 식물종의 침입과 같은 인위적인 교란상태에 놓여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러한 사실은 습지식물 우세도 지수를 적용하여 습지의 보전상태를 평가한 결과에서도 성남시 전체의 경우 지수 값이 약 3.7로 나타나 습지평가유보 단계를 벗어난 양호한 육상생태계 수준에 근접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성남시가 중부내륙의 산악도시임을 감안할 때 전 지역에 고르게 분포하는 산간습지와 묵논 및 묵밭의 발달은 비록 규모는 작으나 육상과 수계 생태계사이의 생태적 추이대로 생태적 거점역할 측면에서 매우 중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