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est site

검색결과 1,467건 처리시간 0.036초

산불 후 개미군집의 단기변화 (Short-term Changes in Ant Communities after Forest Fire)

  • 이철민;권태성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205-213
    • /
    • 2013
  • 산불은 산림에 서식하는 곤충들을 죽이거나 분산시킴으로서 그들의 군집을 교란한다. 산불 후 개미군집은 종다양성, 종구성, 기능군 구성이 달라질 것이다. 본 연구는 1996년 강원도 고성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 직후 일년동안 산불지와 비산불지의 개미군집의 변화를 비교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총 16종 1,308개체의 개미가 채집되었고, 산불지에서 15종 696개체, 비산불지에서 13종 612개체가 채집되었다. 산불 후 다양도와 풍부도가 감소될 것이란 일반적인 예상과는 달리 산불지와 비산불지는 개미군집의 풍부도, 종다양성, 종구성, 기능군 구성에서 차이가 없었고, 종풍부도(추정치)는 산불지가 비산불지 보다 오히려 높았다. 그러나 개미의 월별 출현양상은 (풍부종과 전체) 산불지와 비산불지 간에 많이 달랐다. 산불직후인 1996년 5월에는 산불지에서 개미가 더 많았으나, 가을(1996년 9월과 10월)에는 비산불지에서 개미가 더 많았다. 이는 산불지의 환경변화(토양건조 등)로 인해 개미개체군의 변동(개체군의 사멸 또는 이동)이 원인일 것이다. 결론적으로 봄에 발생하는 산불은 토양 깊이 월동하는 개미 군체를 파괴하지 못하기 때문에 산불은 개미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광릉 활엽수천연림의 산림식생구조, 입지환경 및 탄소저장량 (Forest Stand Structure, Site Characteristics and Carbon Budget of the Kwangneung Natural Forest in Korea)

  • Jong-Hwan Lim;Joon Hwan Shin;Guang Ze Jin;Jung Hwa Chun;Jeong Soo Oh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01-109
    • /
    • 2003
  • The study area, Kwangneung Experiment Forest (KEF) is located on the west-central portion of Korean peninsula and belongs to a cool-temperate broadleaved forest Bone. At the old-growth deciduous forest near Soribong-peak (533.1 m) in KEF, we have established a 1 ha permanent plot ($100m{\times}100m$) and a flux tower, and the site was registered as a KLTER(Korean long-term ecological research network) and DK site of KoFlux. In this site, we made a stemmap of trees and analyzed forest stand structure and physical and chemical soil characteristics, and estimated carbon budgets by forest components (tree biomass, soils, litter and so on). Dominant tree species were Quercus serrata and Carpinus laxiflora, and accompanied by Q. aliena, Carpinus cordata, and so on. As a result of a field survey of the plot, density of the trees larger than 2 cm in DBH was 1,473 trees per ha, total biomass 261.2 tons/ha, and basal area $28.0m^2$/ha. Parent rock type is granite gneiss. Soil type is brown forest soil (alfisols in USDA system), and the depth is from 38 to 66 cm. Soil texture is loam or sandy loam, and its pH was f개m 4.2 to 5.0 in the surface layer, and from 4.8 to 5.2 in the subsurface layer. Seasonal changes in LAI were measured by hemispherical photography at the 1.2 m height, and the maximum was 3.65. And the spatial distributions of volumetric soil moisture contents and LAIs of the plot were measured. The carbon pool in living tree biomass including below ground biomass was 136 tons C/ha, and 5.6 tons C/ha is stored in the litter layer, and about 92.0 tons C/ha in the soil to the 30 cm in depth. Totally more than about 233.6 tons C/ha was stored in DK site. These ground survey and monitoring data will give some important parameters and validation data for the forest dynamics models or biogeochemical dynamics models to predict or interpolate spatially the changes in forest ecosystem structure and function.

안산 공단지역에 식재된 소나무류 2종의 생장과 생리학적 반응 (Growth and Physiological Responses of Two Pine Species Grown under Polluted Ansan Industrial Region)

  • 진현오;최동수;이충화;정용호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8권5호
    • /
    • pp.321-326
    • /
    • 2005
  • 안산 공단지대에 식재되어 있는 잣나무와 리기다소나무의 생장 저하의 실태와 그 원인을 구명하기 위하여 생장 및 생리학적 반응을 중심으로 대조구와 비교 고찰하였다. 피해구에 식재 되어 있는 두 수종의 침엽 내 Mn, F 그리고 Cl의 농도는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2년생 3년생으로 갈수록 급격히 그 농도가 증가하였다. 또한 필수 영양 원소인 P와 클로로필 함량은 피해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또한 침엽의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급격히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피해구에 식재되어 있는 두 수종의 최대 광합성률, 양자수율$(\Phi)$, 카르복실레이션효율(CE)등의 광합성 능은 대조구에 비하여 현저히 감소하였다. 이상과 같이 독성 원소의 축적 및 필수 영양 원소의 부족 등 환경 스트레스에 의한 수목 생리활동의 저하가 수목 생장 저하의 직접적인 원인으로 판단된다.

편백 조림목의 입지 특성에 따른 지역별 초기 생육 특성 (Regional Early Growth Performances of Planted Chamaecyparis obtusa Seedlings in Relation to Site Properties)

  • 양아람;황재홍;조민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3권3호
    • /
    • pp.375-382
    • /
    • 2014
  • 본 연구는 편백 조림목의 초기 생장과 부위별 질소와 인 농도 분석을 통하여 최적 생장을 위한 편백 조림지 특성을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 대상지인 전라남도 해남과 장성에 2011년 3월 말 편백 노지묘(1-1)를 3,900본${\cdot}ha^{-1}$ 밀도로 식재하였다. 식재 이후 3년간 조림목의 근원경과 수고를 측정하였고, 조림지 토양 특성 및 조림목의 부위별 질소와 인 농도를 분석하였다. 해남 조사지 토양 내 전질소, 유기물 농도 및 양이온치환능력은 장성 조사지보다 양호하였으나, 조림목의 근원경과 수고 생장은 오히려 장성 조사지가 우수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장성 조사지의 유효토심이 깊고 해남 조사지가 상대적으로 연 강수량이 적으며, 강한 바람(해풍)으로 인하여 편백 조림목의 생장이 불량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편백 조림목의 부위별 질소와 인 농도는 잎 내 인 농도를 제외하고 두 조사지 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고, 잎 > 당년생 가지 > 세근 > 줄기 2 mm 이상 뿌리의 순서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지속적으로 조림면적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편백 조림목의 최적 입지 특성을 제시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크리깅을 이용한 소나무림 지위지수 공간분포 추정 (Spatial Estimation of the Site Index for Pinus densiplora using Kriging)

  • 김경민;박기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2권4호
    • /
    • pp.467-476
    • /
    • 2013
  • 산림입지도의 지위지수 정보는 조사지점에만 존재하므로 미조사 지역에 대한 지위지수는 별도의 추정이 필요하다. 미조사 지역의 지위지수 추정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점자료로부터 연속표면을 생성하는 공간 내삽법인 크리깅 기법을 적용하였다. Chapman-Richards 생장모델을 이용하여 표준지별 지위지수 추정치를 구한 뒤 가우시안, 구형 및 지수형 베리오그램 모델별로 정규크리깅을 이용하여 단양 전역의 소나무림 지위지수를 격자단위($30m{\times}30m$)로 추정하였다. 교차검증을 위해 평균오차(ME), 평균표준오차(ASE) 및 평균제곱근오차(RMSE)를 계산하였다. 베리오그램 모델 적합 결과, 상대 너깃이 가장 큰 가우시안 모델(37.40%)이 제외되었으며 구형 모델(16.80%)과 지수형 베리오그램 모델(8.77%)이 선택되었다. 크리깅에 의한 지위지수 추정치는 지수형 모델을 적용한 경우 4.39~19.53, 구형모델을 적용한 경우 4.54~19.23의 분포를 보였다. 교차 검증 결과, RMSE는 두 모델에서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구형모델의 ME와 ASE가 지수형 모델보다 작기 때문에 구형 베리오그램 모델 기반 지위지수 지도를 최종적으로 선정하였다. 지위지수 지도로부터 산출된 단양지역 소나무림 평균 지위지수는 10.78로 추정되었다. 공간이질성이 큰 우리나라 산림의 바이오매스 추정 시 지위지수 지도를 통해 지역적 변이를 고려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탄소저장량 분포 추정의 정확도 제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완도지역의 붉가시나무 생육 적지예측 및 탄소저장량 추정 (Prediction of the Optimal Growth Site and Estimation of Carbon Stocks for Quercus acuta in Wando Area)

  • 황정순;강진택;손영모;전현선
    • 한국기후변화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319-330
    • /
    • 201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edict the optimal growth site and estimate carbon stocks of Quercus acuta, evergreen broad-leaved trees in warm temperate zone according to climate change. The criterion for the optimal site prediction was created by quantification method wi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ata, collected from growth factors of stands and environmental factors of survey sites of 42 plots in Q. acuta by study relationship between growth of tree and site environmental factors. A program for the optimal site prediction was developed by using GIS engine tools. To prediction of the suitable growth site of Quercus acuta, developed program in this study applied to Wando in Jeollanam-do, distributing a various evergreen bread-leaved trees of warm temperate zone. In the results from analysis of the optimal site prediction on Q. acuta, the characteristics of the optimal site showed as follows; site environmental features of class I (the best site class for Q. acuta) was defined as 401 ~ 500 m of altitude, $21{\sim}25^{\circ}$ of slope with above hillside, residual of deposit convex of slope type with west of aspect. The area and carbon stocks of optimal site prediction by class for Q. acuta in classI showed 147.1 ha (2.5%), total 316.5 tC/ha, total $1,161tCO_2/ha/yr$ of class I, 2,703.5 ha (46.3%), total 5,817.4 tC/ha, total $21,331tCO_2/ha/yr$ of class II, 2,845.5 ha (48.6%), total 6,123.0 tC/ha, total $2,845.5tCO_2/ha/yr$ of class III and 153.7 ha (2.6%), total 330.7 tC/ha, total $1,213.7tCO_2/ha/yr$ of class IV.

Species Composition and Structure of the Oriental Arbor-vitae (Thuja orientalis L. Forest in Daegu, Southeastern Korea

  • Cho, Hyun-Je;Bae, Kwan-Ho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4권4호
    • /
    • pp.205-211
    • /
    • 2001
  • The floristic composition and structure of the Oriental Arbor-viate forest, natural monument no. 1, were investigated in the Daegu city, southeastern Korea. Vegetation stratification have four layers including tree (>5m), subtree (2m-5m), shrub (1m-2m) and herbs (<1m), which occupied 63.8%, 10.7%, 12.1% and 49.4%, respectively. The vegetation of the study area were divided into Artemisia keiskeana - Quercus variabilis and Pyrrosia linearifolia-Thuja orientalis (OAV) communities. Frequency distribution for diameter classes of the Oriental Arbor-vitae population showed a reverse-J shape. The result suggests that the OAV forest of this site might maintains continuously the present state. The annual radial growth of OAV,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variabilis, the dominant species of the present site showed 0.29, 1.01 and 1.28 mm/year, respectively. Competition of OAV with theh other species including P. densiflora and Q. variabilis could influence negatively on the growthand survival of OAV forest in this site.

  • PDF

퍼지집합과 GIS를 이용한 고로쇠나무 임분의 수액채취 적지 분석 (Analysis of Site Suitability of Forest Stands for Extracting Sap of Acer pictum var. mono Using GIS and Fuzzy Sets)

  • 이병두;정주상;권대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5권1호
    • /
    • pp.38-44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GIS와 퍼지집합을 이용하여 고로쇠나무 수액채취 적지를 판정할 수 있는 모형을 제시하고, 이에 따라 적지도를 작성하였다. 이를 위해 고로쇠나무 수액생산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생물인자와 입지환경인자로 구분하여 선정하였고, 수액 채취 여건은 지형인자와 접근성인자를 선정하여 평가하였다. 각 인자별 가중치의 결정은 실제 고로쇠나무 수액이 채취되고 있는 지역의 인자별 특성을 분석하여, 채취 지역과 비채취 지역의 차이가 클수록 높은 가중치를 부여하는 방식을 이용하였다. 이 결과 수계로부터의 거리, 임상, 광노출도 등이 수액생산량 예측모형에서 높은 가중치를 보였으며, 영급, 도로접근성, 경급인자는 수액채취 적지 판정에 있어서 관련성이 적었다. 개발된 모형의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실제 고로쇠나무 수액이 채취되고 있는 지역을 대상으로 모형을 적용한 결과, 적지지수 평균값이 0.81로써 높게 분석되었다.

황폐계류 복원지의 식생변화 단기 모니터링 (Two years Monitoring of Vegetation Change in Torrential Stream Restoration Site)

  • 이헌호;이주형;박기영;장지욱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3권2호
    • /
    • pp.240-247
    • /
    • 2014
  • 본 연구는 황폐계류 복원지의 식생변화에 대한 시계열 분석을 통하여 복원기법 및 효과에 대해 고찰하고자 수행 되었으며, 수질정화습지와 월류보, 수생식물 복원지에서 복원 전, 후 식생변화를 2년간 모니터링 하였다. 복원 1년 후 월류보에서 초본류 증가와 수질정화습지에서 줄풀의 피복도 증가가 조사되었다. 식생 피복률은 복원직후 10~30% 감소되었고, 복원 1년 후 복원 전 수준으로 조사 되었다. 황폐계류 복원지의 식생변화는 복원 후 1년 경과시점부터 서식종수, 귀화률, 피복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의한 중부지방소나무의 연도별 적지분포 변화 예측 (Predicting the Changes of Yearly Productive Area Distribution for Pinus densiflora in Korea Based on Climate Change Scenarios)

  • 고성윤;성주한;천정화;이영근;신만용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72-82
    • /
    • 2014
  • 본 연구는 환경인자를 이용하여 우리나라에 생태권역별로 분포하는 중부지방소나무의 지위지수 추정식을 개발하고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적용하여 적지면적 및 적지분포를 추정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산림입지도와 전자기후도 및 기후변화 시나리오 RCP 4.5와 RCP 8.5를 사용하여 산림생산력에 영향을 미칠것으로 판단되는 19개의 기후변수를 포함한 총 48개 환경인자를 도출한 후, 최적 조합에 의해 지위지수 추정식을 개발하였다. 최종 생태권역별 중부지방소나무의 지위지수 추정식에는 각각 5~7개의 환경인자가 독립변수로 사용되었고, 지위지수 추정식의 설명력을 나타내는 결정계수는 0.32~0.46의 범위에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추정식은 모형의 평균편의, 정도, 표준오차의 3가지 평가통계량에 근거하여 검증을 실시한 결과 비교적 지위 추정능력이 높은 것으로 판명되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생태권역별 중부지방소나무의 지위지수 추정식과 기후변화 시나리오 RCP 4.5와 RCP 8.5를 연계하여 시간 경과에 따른 중부지방소나무의 연도별 적지면적 및 적지분포의 변화를 추정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