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est gap

검색결과 145건 처리시간 0.022초

산림생태계 수자원 공급서비스 계량화 모형의 국내적용성 분석 (Applicability Analysis of Water Provisioning Services Quantification Models of Forest Ecosystem)

  • 최현아;이우균;송철호;이종열;전성우;김준순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1-15
    • /
    • 2014
  • Forest ecosystems generate variety of important goods and services for human well-being. As a growing concern of climate change and water shortage, it is necessary to quantify, model and map water balance in forest. In this study, we have analyzed 11 overseas forest water supply models (AIM, ATEAM, CENTURY, (E)SWAT, GUMBO, InVEST, PLM, SAVANNA, WaSSI, WaterGAP, WBM) and compared their scale, input and out data, availability of the models and analyzed the applicability of the models to Korea. As a result, InVEST and WaterGAP model appeared to be applicable for quantifying water provisioning services in Korea. A systematic approach for applying to evaluate water balance in forest was suggested based on our quantification approach.

오대산(五臺山) 전나무림(林)의 숲틈에서 발생(發生)된 전나무 치수(稚樹)들의 공간적(空間的) 유전구조(遺傳構造) (Spatial Genetic Structure of Needle Fir(Abies holophylla Seedlings on the Forest Gap Within a Needle Fir Forest at Mt. Odae in Korea))

  • 홍경낙;최영철;강범용;홍용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0권4호
    • /
    • pp.565-572
    • /
    • 2001
  • 본 연구는 오대산의 전나무 노령임분(老齡林分)내 숲틈에서 발생된 1~2년생 전나무 치수(416개체)의 공간적 유전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ISSR(inter-simple sequence repeats) 표지자 분석을 실시하였다. 대상 숲틈의 크기는 $1,500m^2(50m{\times}30m)$로 전나무이외 수종의 상층임관 일부와 중 하층임관이 제거되고, 전나무 성목은 입목고사(立木枯死) 혹은 수세가 불량한 상태이다. 31개의 다형성 ISSR 표지자를 이용한 공간의 자기상관성분석에서는 15.6m이내에 유전적 동질성을 갖으며, 이후 31.2m까지는 임의분포를 나타내었다. 숲틈내 전나무 성목의 평균수고(21.1m), 종자의 산포범위, 성목간 평균거리(23.7m)를 고려할 때, 전나무 치수의 유전적 군락 크기(genetic patch size)는 모수의 분포밀도에 따라서 제한받는 것으로 추정된다. 치수 산포에 대한 방향성 파악을 위하여 유전적 거리를 이용한 다차원척도법의 형상좌표를 '유전적 형상(genetic configuration)'으로 설정하고, 이를 이용한 분산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지향성 분산도에서는 동서방향으로 거리의 증가에 따라 치수간 유전적 동질성이 계속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대산 전나무림의 막대한 종자생산량과 조사구내 치수 발생수의 임의분포와 임상(林床)의 균일성을 고려하면, 이러한 전나무 치수의 유전적 방향은 모수간 충실율 차이나 국소환경보다는 종자 산포의 방향성에 따른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제5차 산림기본계획 주요 사업에 대한 평가 (Evaluation of Major Projects of the 5th Basic Forest Plan Utilizing Big Data Analysis)

  • 변승연;구자춘;석현덕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6권3호
    • /
    • pp.340-352
    • /
    • 2017
  • 제5차 산림기본계획은 2008년부터 2017년까지의 10년 단위 계획으로, 2013년에 대외환경 변화 등의 이유로 변경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산림기본계획에 대한 거시적 평가를 위해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하여 연도별 정책 수요와 공급의 간극을 파악하였다. 정책수요 부분은 당해 연도의 뉴스, SNS 등에서 언급된 사업과 관련된 키워드(명사 기준)를 기준으로 하고, 정책 공급 부문은 산림청이 발행한 문서를 기준으로 하여 비정형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사회연결망 분석(social network analysis)을 활용하여 네트워크 구조를 특정하고, 수요 측면의 네트워크와 공급 측면의 네트워크를 비교하여 산림청 정책 수요와 공급의 간극을 확인한다. 분석 결과, 공급부문의 네트워크 구조는 수요 부문보다 방사형이 약한 것으로 나타나 산림 이외에 다양한 주제어가 네트워크에서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27대 대표사업들을 대응한 33개 주제어에 대해 수요부문과 공급부문의 기울기를 비교한 결과, 수요는 증가하지만 공급이 감소하는 주제어의 개수는 7개로 지속가능, 산림경영, 산림생물, 산림보호, 산림병해충, 도시숲, 북한이 해당되었다. 이들 주제어는 수요와 공급의 간극이 확인된 만큼, 제6차 기본계획에서는 이들 주제어에 대한 공급 강화가 필요하며, 자유게시판 분석을 통하여 신규 임업인에 대한 정보 제공 및 교육 강화도 포함되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상수리나무림의 토양호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oil Respiration in a Quercus acutissima Forest)

  • 이윤영;문형태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4권3호
    • /
    • pp.141-147
    • /
    • 2001
  • 상수리나무림에서 교란이 가해지지 않은 대조구(Con), 그리고 인위적으로 만든 숲틈(Gap)과 낙엽층 제거지역(Lr) 두 곳을 실험구로 설정하여 토양호흡과 호흡에 영향을 주는 토양온도, 수분, 유기물함량을 조사하였다. Con, Gap, Lr의 토양호흡률은 7월에 가장 높았으며, 이 때 각각의 평균 토양호흡률은 15.6±0.9, 11.2±1.4, 7.7 ± 1.3 CO₂μmol·m/sup -2/·s/sup -1/로 Con에 비해 Gap과 Lr에 서 28.6%와 50.6% 낮았다. Con, Gap, Lr에서 동절기에는 토양호흡률이 각각 0.5±0.0, 0.4±0.1, 0.3 ±0.0 CO₂μmol·m/sup -2/·s/sup -1/로 지소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Con, Gap, Lr에서 조사기간의 평균 토양호흡률은 각각 5.0±4.7, 4.3±3.5, 2.8±2.2 CO₂μmol·m/sup -2/·s/sup -1/로 지소간 유의한 차이(P<0.01)가 있었다. Gap과 Lr은 Con에 비해 각각 24%, 44% 감소되었다. 토양으로부터 대기중으로 방출되는 연간 CO₂의 양은 Con, Gap, Lr에서 각각 6.86, 5.84, 3.81 CO₂㎏·m/sup -2/·yr/sup -1/ 이었다 (P<0.01). Gap과Lr는 Con에 비해 각각 14.8, 44.5%감소되었다. 교란의 정도와 관계없이 토양호흡률은 토양온도와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다. 낙엽층은 토양생물의 에너지원이 되고 안정한 서식처를 제공하기 때문에 토양호흡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Changes in resource allocation among vegetative organs during the clonal growth of Polygonatum humile (Liliaceae) grown in a temperate forest gap

  • Min, Byeong-Mee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1권9호
    • /
    • pp.246-255
    • /
    • 2017
  • Backgroun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source allocation among the organs and the leaf morphology of Polygonatum humile.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June 2014 to May 2015 in a natural P. humile stand of a temperate forest gap. Results: The dry weight of new rhizome ($R_0$) sharply decreased to the time of new shoot sprouting in next year and was constant for 2 ~ 3 years. However, dry weight of root on $R_0$ increased to the end of growth season and, thereafter, decreased slowly along the time elapsed.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he rhizome and the leaf sizes were 0.5 for the last year's rhizome ($R_1$) and 0.6 for $R_0$ and were significant at 0.1% level for $R_0$. The increase of one leaf a plant led to increase of the total leaf area, total leaf weight, and stem length. Moreover, the organ sizes' differences between two plants of the one leaf difference were almost significant at 1% level. In 11-leaf plant, the leaf length/width ratio and specific lea area increased to the second, relative leaf area to the fourth and relative leaf dry weight to the fifth, and thereafter, decreased to the last leaf. The differences in the values of these four parameters between two leaves on a stem were almost significant at 5% level. Conclusion: P. humile examined showed the close relationships between the last year's rhizome or this year's one and the shoot system (leaf and stem) sizes. The leaf number a shoot greatly influenced specific leaf area. P. humile's leaf might showed diverse morphology with leaf rank on a stem in a forest gap environment.

Gap formation and susceptible Abies trees to windthrow in the forests of Odaesan National Park

  • Jeon, Mina;Lee, Kyungeun;Choung, Yeonsook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8권2호
    • /
    • pp.175-183
    • /
    • 2015
  • Extremely strong winds and heavy rainfall caused canopy gaps in a mixed Abies holophylla broadleaf forest and a Quercus mongolica-dominated forest in Odaesan National Park, Korea in October 2006. The impact of the combination of strong winds and torrential rain on the development of forest gaps and canopy structures were investigated. The mean size of newly created gaps were $205m^2$ in the mixed forest and $86m^2$ in the Quercus forest, and were created by 2.8 and 1.4 gapmaker trees, respectively. Among the 73 trees lost in the mixed forest, 59% succumbed because of direct wind damage while 41% were struck by neighboring trees that fell into them. Most of these trees downed by wind were uprooted (74%), while the trees downed by neighboring tree falls snapped (78%). 21 trees in the Quercus forest died from direct wind damage, and 57% of them were uprooted. Although the relative density of Abies nephrolepis and A. holophylla represented only 0.2% and 6.4%, respectively, of all species in the intact mixed forest, they accounted for 27% and 15%, respectively, of all trees affected by wind on that site. In fact, 85% of the total A. nephrolepis and 91% of the total A. holophylla in the mixed forest fell directly due to strong wind. By contrast, only one Abies species, A. nephrolepis, was found in the Quercusdominated forest, and it accounted for 7.3% of the species composi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 nephrolepis and A. holophylla are particularly susceptible to high winds because of their great heights and shallow root systems.

월악산에 분포하는 소나무(Pinus densiflora)림에서의 교란체제와 천이 과정 (Disturbance and Regeneration Process of the Pinus densiflora Forest in Mt. Worak)

  • 김홍은;권기철;정택상
    • 임산에너지
    • /
    • 제19권2호
    • /
    • pp.79-85
    • /
    • 2000
  • 월악산에 소재하여 있는 소나무림을 대상으로 조사 분석함으로써 소나무림의 숲틈형성과 재생 및 천이에 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월악산 소나무림을 이루고 있는 수종들로는 교목층으로 소나무와 굴참나무가 우점하고 있으며, 중층으로는 신갈나무, 졸참나무, 쇠물푸레 등의 수종이 우점하고 있다. (2) 소나무림의 숲틈형성요인으로서 고사목의 고사유형은 입목고사형이 가장 많았다. (3) 흉고직경급별 분포를 분석한 결과 소나무림은 먼저 굴참나무림으로 바뀌다가 다시 신갈나무와 졸참나무로 천이가 진행될 것으로 판단되었다. (4) 소나무 치수는 건조한 지역에서 생성된 숲틈에서만 발견되고 있어 이러한 지역에서만 환경적 극상으로서 소나무림이 유지될 가능성을 조여주고 있었다.

  • PDF

아까시나무림에서 인공 숲틈 처리에 대한 졸참나무 식재목 및 하층식생의 초기 반응 (Early Responses of Planted Quercus serrata Seedlings and Understory Vegetation to Artificial Gap Treatments in Black Locust Plantation)

  • 조용찬;김준수;이중효;이헌호;마호섭;이창석;조현제;배관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8권1호
    • /
    • pp.94-105
    • /
    • 2009
  • 아까시나무 임분은 우리나라 저지대에 주로 조성되어 있는 도입종 조림지로서, 인위적 또는 자연적 교란, 그리고 입지조건에 의해 온전한 숲의 종조성을 나타내지 못하고 있으며, 천이가 느리거나 정체되어 있다. 또한 그것의 개체들이 인접 자연림으로 침투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아까시나무 임분에서의 천이를 촉진시켜 자연 식생을 회복시킬 필요가 있다. 복원 실험은 경상북도 포항시 용흥동의 아까시나무 임분에서 작은 숲틈(${\sim}57m^2$)을 조성하여 실시하였고, $5 m{\times}5m$ 방형구 내에서, 벌채 및 하층 식생 제거(CU), 벌채(C), 환상박피 및 하층 식생 제거(GU), 환상박피 (G) 및 대조구(Control)의 5개 실험구를 3반복으로 설치하였다. 각 처리구 별 수관 열림도(%), 빛(total estimated transmitted light, $mol{\cdot}m^{-1}{\cdot}day^{-1}$), 목표 종(졸참나무)의 생장(직경, 높이 및 엽면적)을 측정하였다. 하층식생의 반응(종조성 및 종다양성)은 각 처리구에 영구 소방형구를 설치하여 측정하였고, 피도변화, Multiresponse Permutation Procedures (MRPP) 및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DCA)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숲틈 조성 후, 광환경은 처리구 별로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고, 수관 열림도는 CU, C, GU, G, Control의 순으로 높았다. 졸참나무 유묘의 생존은 수고 및 엽면적 생장과 유의한 상관을 나타내었다. 목표 종의 생장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처리 후 증가하였다. 하층식생의 종조성 및 종다양성은 유의한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후자의 경우 약간 감소하였고, 각 소방형구의 총 피도는 약간 증가하였다. 아까시나무림에 대한 생태적 복원의 한 방법으로서 작은 규모의 숲틈을 조성한 결과, 급격한 환경 변화를 발생시키지 않았고, 수고 생장을 촉진할 수 있는 가능성을 나타내었다. 복원 교란에 대한 하층식생의 반응은 연구지역의 특성을 반영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장기적인 관찰이 필요하며, 최소한의 교란을 통한 삼림 관리 및 복원 기법으로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였다.

The Production and Spatial Heterogeneity of Litterfall in the Mixed Broadleaved-Korean Pine Forest of Xiaoxing'an Mountains, China

  • Jin, Guangze;Zhao, Fengxia;Liu, Liang;Kim, Ji Hong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7권2호
    • /
    • pp.165-170
    • /
    • 2008
  • Litterfall has been recognized an important part of the forest ecosystem production, playing a major pathway in energy flow and nutrient cycling through the ecosystem.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quantity and components, temporal variation, and spatial heterogeneity of the litterfall in the mixed broadleaved-Korean pine forest.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9ha permanent experimental plot, of which on the center area, i.e. $150m{\times}150m$, the total number of 319 circular litterfall traps with the size of $0.5m^2$ were established to collect falling litterfall.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nnual amount of litterfall was totalized 3,033.7 kg/ha, occupying broad-leaves of 39.3%, conifer-leaves of 29.5%, others of 18.5%, branches of 10.4%, and seeds of 2.3%. The peak point of the litterfall production was made at the end of September, proportionating 32.2% of total amount. The analysis of semivariogram revealed the existence of high spatial heterogeneity, calculated the scale of spatial heterogeneity ranged from 11.6 m to 29.1 m. The result of proportion (C/[Co+C]) showed that spatial heterogeneity of autocorrelation in total spatial heterogeneity were from 97.0% to 100%. The relatively heavy branches and others had significant differences in litterfall production between the areas of canopy gap and closed canopy in the 95% probability level, but the other components did not show statistical differences.

Forest regrowth reduces richness and abundance of invasive alien plant species in community managed Shorea robusta forests of central Nepal

  • Khaniya, Laxmi;Shrestha, Bharat Babu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4권2호
    • /
    • pp.90-97
    • /
    • 2020
  • Background: Natural forests are generally considered to be less prone to biological invasions than other modified ecosystems, particularly when canopy cover is high. Few decades of management of degraded forests by local communities in Nepal has increased canopy cover and altered disturbance regimes. These changes might have reduced the abundance of invasive alien plant species (IAPS) in forests. To understand the status of IAPS in such forests, we studied two community managed Shorea robusta forests (Sundari and Dhusheri) of Nawalpur district in central Nepal. In these two forests, vegetation sampling was done using circular plots 10 m radius at forest edge, gaps, and within canopy. Variation of IAPS richness and cover across these microhabitats were compared, and their variation with tree canopy cover and basal area analyzed. Result: Altogether 14 IAPS were recorded in the study forests; among them Chromolaena odorata, Ageratum houstonianum, and Lantana camara had the highest frequency. Mikania micrantha was at the early stage of colonization in Sundari Community Forest (CF) but absent in Dhuseri CF. Both IAPS cover and richness was higher at forest edge and gap than in canopy plots and both these attributes declined with increasing canopy cover and tree basal area.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increase in canopy cover and closure of forest gaps through participatory management of degraded forests can prevent plant invasions and suppress the growth of previously established IAPS in Shorea robusta forests of Nepal. This is the unacknowledged benefit of participatory forest management in Nep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