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est Vegetation Distribution

검색결과 475건 처리시간 0.031초

공주대학교 학술림(석장리동 일대)의 산림식생구조 (Forest Vegetation Structure of Kongju National University Forests(Seokjangri-dong))

  • 김호진;송주현;이정은;윤이슬;윤충원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573-588
    • /
    • 2020
  • 본 연구는 공주대학교 학술림(석장리동 일대)을 대상으로 효율적인 경영과 이용 및 관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산림식생구조를 파악하였다. 2019년 8월에 식물사회학적으로 식생조사를 하였으며, 60개소의 방형구를 설정하여 상관식생유형분류와 중요치를 분석하고 현존식생도를 작성하였다. 상관식생유형분류 결과, 상수리나무군락, 소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리기다소나무군락, 졸참나무군락으로 구분되었으며, 평균상대중요치는 상수리나무군락에서 상수리나무 31.4%, 벚나무류 9.6%, 굴참나무 9.0% 순으로 나타났으며, 소나무군락은 소나무 24.9%, 상수리나무 12.4%, 졸참나무 11.5% 순으로 나타났다. 굴참나무군락은 굴참나무 25.3%, 벚나무류 9.8%, 상수리나무 8.5% 순으로 나타났으며, 리기다소나무군락은 리기다소나무 28.4%, 상수리나무 10.0%, 소나무 9.3% 순으로 나타났고, 졸참나무군락은 졸참나무 27.0%, 갈참나무 11.8%, 때죽나무 11.5% 순으로 나타났다. 산림식생의 공간분포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상층 우점종에 의해 현존식생도를 작성한 결과, 자연식생이 87.5%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현존식생은 87개의 패치로 구분되었고, 패치당 평균면적은 1.46ha로 나타났다.

북한산국립공원의 현존식생분포 및 관리 (Distribution of Actual Vegetation and Management of Bukhansan National Park)

  • 오구균;김도균;김철의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83-97
    • /
    • 2008
  • 북한산국립공원의 현존식생 및 녹지자연도와 외래식물 분포실태를 2007년에 조사하였다. 북한산국립공원의 현존식생은 총 8개의 식물군락과 기타 지역으로 구분 되었으며, 자연림은 신갈나무군락, 신갈나무소나무군락, 낙엽활엽수림 등 5개 식물군락으로, 조림지는 잣나무림, 리기다소나무림, 아까시나무림 등 3개 산림유형으로 구분되었다. 북한산국립공원의 녹지자연도에서 가장 넓게 분포한 것은 8등급 지역이 약 92.8%였다. 북한산국립공원안에 식재된 수목류는 총 71과 212종류이었고 이 중 자생종은 37과 67종류(31.6%), 외래종은 58과 145종류(68.4%)이었다. 북한산국립공원의 자연환경 회복, 자생식물의 다양성 유지와 자연경관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외래수종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다.

추이대 2차림의 식생구조 분석과 온난화에 따른 식생의 변화 예측에 대한 연구 - 두륜산을 중심으로 - (Studies of Vegetation Structure Analysis and Anticipation of Vegetation Change due to Global Warming on Secondary Forest in Ecotone)

  • 이성제;안영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365-377
    • /
    • 2011
  • 본 연구는 식물사회학적 연구방법에 의해 추이대에 속하는 두륜산 일대의 삼림식생을 분류하고, 삼림식생단위와 환경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온난화에 따른 식생의 수평적 변화를 구성종과 상관식생의 우점종을 통해 예측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삼림식생은 졸참나무-굴참나무군락, 붉가시나무-황칠나무군락, 편백나무식재림 등 3개의 군락단위로 구분되었다. 각 삼림군락의 분포와 환경 요인들과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였던 바, 모든 삼림군락에서 출현한 동백나무군강의 식별종, 구분종, 난온대성 낙엽활엽수림의 구성종 요소, 상관식생의 주요종을 통하여 낙엽활엽수림인 졸참나무-굴참나무군락은 굴참나무가 상대적으로 높은 출현율을 보이는 지역부터 점차 상록활엽수림으로 천이가 이루질 것으로 예측된다.

지구상(地球上)의 잠재삼림면적(潜在森林面積)을 추정(推定)하기 위한 적정(適定) 식생도제작(植生圖製作) 시스템의 선발(選拔) (Selection of the Optimum Global Natural Vegetation Mapping System for Estimating Potential Forest Area)

  • 차경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6권1호
    • /
    • pp.25-34
    • /
    • 1997
  • 지구상의 잠재삼림면적을 추정하기 위한 일련의 단계로서, 적정한 식생도제작(Global Natural Vegetation Mapping, GNVM) 시스템을 선발하기 위해, Light Climatic Dataset(LCD)에 지형을 고려하지 않은 단순 시스템, LCD에 지형을 고려한 시스템, Heavy Climatic Dataset(HCD)에 지형을 고려한 시스템을 구축하고 상호 비교하였다. 3종류의 GNVM시스템은, 세계에서 관찰된 기후데이타를 구면보간법에 의해 지구면 전체의 $1^{\circ}{\times}1^{\circ}$의 격자점에 대하여 이것을 추정하고, 그 추정치로부터 식생을 구분하며, 구분의 결과를 가지고 잠재자연식생도의 출력 및 잠재자연식생의 면적을 산출한다. 3종류의 GNVM시스템을 비교한 결과, LCD에 지형을 고려한 GNVM 시스템이 잠재자연식생의 분포를 가장 잘 표현하였으며, 단순 시스템은 지형을 고려한 시스템들에 비해 온난한 지역을 과대평가하고 한랭지 및 사막지역을 과소평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한편, 측후소의 수에 따른 시스템간에 있어서는 HCD에 지형을 고려한 시스템이 측후소의 과밀분포로 인해 LCD에 지형을 고려한 시스템보다 습윤지역의 과대평가와 건조지역의 과소평가를 나타냈다.

  • PDF

한반도 하록 참나무류의 분포 특이성 (Distributional Uniqueness of Deciduous Oaks(Quercus L.) in the Korean Peninsula)

  • 김윤하;김종원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37-59
    • /
    • 2017
  • The Korean peninsula belongs to the temperate forest biome dominated by many deciduous oaks. We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studied vertical and horizontal distributions and habitat characteristics on the major oak species such as Quercus mongolica, Q. serrata, Q. variabilis, Q. dentata, Q. aliena and Q. acutissima. A total of 5,278 samples were analyzed with a species coverage and 6 principal environmental variables extracted from public database of nationwide natural environment survey. Correlation analysis was accomplished by the CANOCO using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 and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using PASW Statistics. The hierarchical distribution tendency of six oaks was finalized using the Goodman-Kruskal lambda coefficient of 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 by SYN-TAX 2000. The utmost factor on the distributional segregation of oak species was the elevation, i.e. temperature. Q. serrata and Q. mongolica show clearly a diametrical distribution patterns with zonal distribution. Q. variabilis was determined as a thermophilic and xerophilous species that is a component of not only natural pseudo-climax forest but also secondary forest. The highest frequency of the dominant forest was found Q. mongolica. Whereas, Q. serrata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of individual tree but the relatively lower frequency of dominant forest, which is resulted from the original habitat loss. By the benefit of the traditional Soopjeong-E, Q. acutissima dominant forests were remained rather largely. Individuals of Q. dentata occurred horizontally nationwide, but its dominant forest was the poorest. Dominant forest of Q. aliena, which is a natural vegetation, was the most rare due to a limited potential habitat.

地球 溫暖化에 따른 韓半島의 純一次生産力과 潛在自然植生의 變化 推定 (Estimation for Changes of Net Primary Productivity and Potential Natural Vegetation in the Korean Peninsula by the Global Warming)

  • Kim, Jeong-Un;Kil, Bong-Seop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9권1호
    • /
    • pp.1-7
    • /
    • 1996
  • The net primary productivity and potential natural vegetation in the Korean peninsula in the 21st century were estimated by the Miami model and thermal climate, respectively, based on 148 meteorological data sets. In the 21st century, the distribution range of the net primary produtivity in the Korean peninsula was estimated as 1,050 g $DM{\cdot}m^{-2}{\cdot}yr^{-1}~2,050g\;DM\cdot m^-2\cdot yr^{-1}.\; These\; values\; increased\; by\; 200g\; DM\cdot m^{-2}\cdot yr^{-1}\;on\;northern\;part\;and\;400g\; DM\cdot m^{-2}\cdot yr^{-1}$ on southern part compared with that of the present century. The potential natural vegetation in the Korean peninsula in the 21st century will change into the followings:coniferous forest on Mt. Paektu area, deciduous broadleaf forest on northern part, and evergreen broadleaf forset on southern part.

  • PDF

The Classification of Forest Communities by Cluster Analysis in Mt. Seokbyung Experimental Forest of Gangwon-Do

  • Chung, Sang-Hoon;Kim, Ji-Hong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5호
    • /
    • pp.736-743
    • /
    • 2010
  • This study examined the ecological attributes of classified forest community by cluster analysis in the mixed forest of Mt. Seokbyung Experimental Forest of Gangwon-Do. The vegetation data were collected in randomly established 51 sample plots (2.04 ha) and analysis adopted the cluster analysis, importance value index, and Shannon's diversity index.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study area was classified into 4 clusters (A, B, C and D). 2) The cluster A was dominated by Pinus densiflora with an importance value of 71.6%. The most dominant species in the cluster B and cluster C were Larix leptolepis (57.1%) and Quercus mongolica (40.2%), respectively. Finally, The cluster D was dominated by P. densiflora (30.6%) and Q. mongolica (31.0%) with the mixed forest. 3) In the P. densiflora community (cluster A), distribution of DBH class showed a reverse J-shaped curve. In the L. leptolepis community (cluster B), individuals of dominant species had the bell-shaped distribution. Oak species indicated uniform distribution of DBH class (under 25 cm) in the mixed P. densiflora - Q. mongolica community (cluster D). 4) The species diversity index of the communities in descending order were: Pinus densiflora - Q. mongolica community > Larix leptolepis community > Pinus densiflora community > Quercus mongolica community.

울진지역 산불피해지의 산림피복형별 식생구조의 초기 변화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Early Changes in Vegetation Structure by Forest Cover Type after Forest Fire Damage in Uljin region)

  • 김태운;한영섭;이성호;임채영;허태철;임창균;길민경;박준형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18
    • /
    • 2024
  • The study aims to establish a direction for forest ecological restoration by classifying forest types and understanding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Uljin forest area damaged by a large fire in 2022.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and indicator species analysis were conducted on 78 survey plots located in the forest fire-affected area, and four forest cover types were derived: P. densiflora pure forests, P. densiflora dominant forests, mixed broad-leaved forests, and Q. variabilis dominant forests. As a result of visually comparing changes in forest types before and after forest fire damage, by classifying data according to whether or not upper dead trees are included, it was confirmed that pine forests, which have a high proportion of pine trees, spread widely due to forest fire damage. However, broad-leaved mixed forests and oyster oak dominant forests showed characteristics of maintaining concentration, indicating that pine forests were severely damaged. As a result of the important value analysis, during the process of natural recovery after a forest fire, the species that appear early in the lower layer are the sprouts of existing species such as Quercus mongolica Fisch. ex Ledeb., Quercus variabilis Blume, Fraxinus sieboldiana Blume, Rhododendron mucronulatum Turcz. The distribution of diameter at breast height by forest cover type showed that among areas with extreme forest fire damage, the proportion of dead trees was relatively high and structural changes were large in P. densiflora pure forests and P. densiflora dominant forests where pine trees had a high distribution ratio. However, if continuous monitoring is carried out in the future with reference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plant data is collected and analyzed from a mid- to long-term perspective, it is believed that it will be used as useful data to promote forest ecological restoration projects in forest fire-affected areas.

장도 습지보호지역의 식생 분포 특성 (A Characteristic of Vegetation Distribution in Jangdo Wetland)

  • 안경환;임정철;이율경
    • 환경생물
    • /
    • 제33권1호
    • /
    • pp.63-74
    • /
    • 2015
  • 본 연구는 습지보호지역인 장도습지에 대한 식생의 다양성과 공간적 분포 특성 파악을 통해 습지의 보전 및 복원 방안 마련의 기초자료 제공을 위해 이루어졌다. 종조성을 기반으로 하는 Z.-M. 학파의 식물사회학적 연구 방법에 의한 식생 조사 및 버드나무의 매목 조사, 좌표결정법에 의한 식물군락과 환경요소들 간의 관계 규명이 이루어졌다. 총 88종으로 이루어진 7개의 식물군락이 분류되었으며 습생식생과 건생식생으로 대분류되었다. 식물군락의 공간적 분포는 일차적으로 토양 수분조건에 의해 결정되고, 이차적으로 유기물 양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드러났다. 습지식생 면적은 $7,337m^2$로서 습지보호지역의 약 8%이며, 습지보호지역 이외의 공간에도 분포하고 있어 보호지역 경계 재조정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버드나무의 분포 확산은 1990년대 이후 휴경과 가축 방목이 통제 되면서 습지 가장자리부터 중앙부로 확장된 것으로 드러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들을 토대로 보호지역 보전 및 복원 방안이 제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