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est Resource

검색결과 666건 처리시간 0.041초

GIS와 항공정사사진을 이용한 산림정보 관리시스템 구축 (Constructing Fores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GIS and Aerial Orthophoto)

  • 김준범;조명희;권태호;김인호;조윤원;신동호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57-68
    • /
    • 2004
  • 우리나라 산림행정 업무의 대부분은 서류 및 대장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으로 신속, 정확하고 다양한 업무 처리를 위해서는 첨단의 공간정보기술을 이용한 과학적인 산림정보 관리시스템의 개발이 시급하다. 특히 지리정보시스템(GIS)과 항공사진 활용기술의 도입은 산림이용기본계획이나 산지개발, 산림자원 관리 및 산림보호 정책 등의 의사결정지원에 효율적으로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GIS와 항공사진(1998년도 촬영)을 기반으로 주요 산림정보인 수치지도, 수치임상도, 임야도 및 관련 속성데이터 등을 가공하여 DBMS(data base management system) 내에 저장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세부 응용시스템인 지번별 임야정보 검색, 산지이용개발 정보관리, 법정제한림 정보관리, 산림자원 정보검색 등의 인터페이스를 개발함으로써 산림 관련 실무자가 산림정보의 종합적인 공간분석 및 질의 검색이 가능한 산림정보 관리시스템을 구축하였다. 본 시스템의 구축으로 산림의 효율적 관리는 물론 경제적인 산림자원 및 임산업 육성과 쾌적한 산림환경을 조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관련 부서들 간의 표준화된 공간 자료 공유와 과학적인 정보체계의 연동으로 산림자원 관리를 위한 집약된 공간 및 전자 정보화 인프라 구축의 기반을 마련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Enzymatic Hydrolysate from Non-pretreated Biomass of Yellow Poplar (Liriodendron tulipifera) is an Alternative Resource for Bioethanol Production

  • Jung, Ji-Young;Choi, Myung-Suk;Kim, Ji-Su;Jeong, Mi-Jin;Kim, Young-Wun;Woon, Byeng-Tae;Yeo, Jin-Ki;Shin, Han-Na;Goo, Young-Bon;Ryu, Keun-Ok;Karigar, Chandrakant S.;Yang, Jae-Kyung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5호
    • /
    • pp.744-749
    • /
    • 2010
  • Enzymatic hydrolysate from non pre-treated biomass of yellow poplar (Liriodendron tulipifera) was prepared and used as resource for bioethanol production. Fresh branch (1 year old) of yellow poplar biomass was found to be a good resource for achieving high saccharification yields and bioethanol production. Chemical composition of yellow poplar varied significantly depending upon age of tree. Cellulose content in fresh branch and log (12 years old) of yellow poplar was 44.7 and 46.7% respectively. Enzymatic hydrolysis of raw biomass was carried out with commercial enzymes. Fresh branch of yellow poplar hydrolyzed more easily than log of yellow poplar tree. After 72 h of enzyme treatment the glucose concentration from Fresh branch of yellow poplar was 1.46 g/L and for the same treatment period log of yellow poplar produced 1.23 g/L of glucose. Saccharomyces cerevisiae KCTC 7296 fermented the enzyme hydrolysate to ethanol, however ethanol production was similar (~1.4 g/L) from both fresh branch and log yellow poplar hydrolysates after 96 h.

GIS기반 국내 대나무 자원 평가 인벤토리 구축과 활용 방안 (Application of Inventory Construction for GIS-based Bamboo Resource Assessment)

  • 유병오;박준형;박용배;정수영;이광수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77-88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대나무 자원의 평가를 위하여 GIS 기반의 인벤토리를 구축하고 활용 방안을 제안하였다. 대나무 자원의 일반현황, 임황 및 지황 정보, 입지토양 정보 등의 인자를 추출하고 현지표본점 조사를 통해 획득한 자료를 활용하여 면적 및 축적량을 산출하여 통합하였다. 구축된 인벤토리는 방치되어 있는 대나무 자원의 건강성 및 지속성 확보는 물론 대나무의 기능 증진을 위한 장기적인 목표와 방향을 설정할 수 있는 의사결정 도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우리나라 산림 바이오매스 자원량 평가 및 지도화 (Mapping and Assessment of Forest Biomass Resources in Korea)

  • 손영모;이선정;김소원;황정순;김래현;박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3권3호
    • /
    • pp.431-438
    • /
    • 2014
  • 본 연구는 탄소흡수원이며 재생가능한 자원인 산림 바이오매스 자원량 및 에너지로서의 잠재량을 산정하고, 이를 지도화 및 프로그램화 하고자 하였다. 2010년말 기준 우리나라 전체 산림의 총 바이오매스 자원은 804백만톤이며, 이 중 임상별로는 침엽수 265백만톤, 활엽수 282백만톤, 혼효림 257백만톤이 점유하고 있었고, 지역별로는 산림축적량에 비례하여 강원도가 가장 많은 바이오매스 양을, 다음이 경상북도, 경상남도 순이었다. 우리나라 산림에서 매년 상업적으로 벌채하여 제재목 등으로 이용되고 남은 목질부 바이오매스는 707천톤/년 정도가 되며, 숲가꾸기를 하여 원목으로 이용되는 양을 제외한 바이오매스 양은 592천톤/년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 연간 시장으로 공급 가능한 산림 바이오매스 자원은 약 1,300천톤/년 정도가 될 것으로 추정된다. 이를 석유환산량으로 전환하면 약 585천 toe/년이 된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바이오매스 자원 지도 프로그램을 만들었다. 프로그램 개발하기 위해 사용된 시스템은 Microsoft Office Excel, Microsoft Office Access ArcGIS, Microsoft Visual Basic 6.0 이었으며, 공간정보를 활용할 수 있도록 ESRI MapObjects2.1 개발 도구를 이용하였다. 바이오매스 자원 지도(BiomassMap V2.0) 프로그램은 축적, 바이오매스 총 저장량, 시업지 연간 바이오매스 생장량, 상업적 벌채에 의한 바이오매스 생산량, 숲가꾸기에 의한 바이오매스 생산량 등을 지도로 나타내고, 이들 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바이오매스 자원 지도는 시도별, 임상별도로 확인할 수 있으며 이용자의 사용 목적에 따라 작성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향후 본 바이오매스 지도는 산림이용 관리자들에게 유익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휴양 적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자연휴양림의 자원특성 (Resource Characteristics Affecting Recreation Suitability of Natural Recreation Forest)

  • 장병문;서정희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13-22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resource characteristics affecting the overall recreation suitability of natural recreation forest. On the basis of resource-based approach, we had constructed a conceptual framework for this research and found one dependent variable of the overall recreation suitability and eight independent variables, representing characteristics of recreation resource. After questionnaire surveying of 690 visitors from 10 among 72 natural recreation forests in Korea. We have analyzed the data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method. We have found that 1) physical factor of recreation resources turned out to be statistically insignificant and the direction of relationship between independent variable and dependent variable is the same as that of dependent variable, 2) noise, sound and smell turned out to be the most important variable in terms of magnitude of independent variable and wild life turned out to be the next important variable, and 3) noise, sound and smell turned out to have aboutn 3.3 times greater thant that of landscape, judging from the absolute value of standardized regression coefficient. The research findings can be used for planning and designing of natural recreation forests based on recreation suitability of forest resources, and will provide pertinent guidelines for management of recreation resources of natural recreation forests. The approach and method of evaluating recreation suitability employed in this research provide us valid and reliable results and will be highly useful in other resource-based recreation development. We suggest that the differences in recreation suitability between private and public recreation forest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user-satisfaction and recreation suitability of natural recreation forests must be examined in the future research.

  • PDF

백합나무의 인공교배 방법에 따른 교배 효율성 비교 (Comparison of Pollination Efficiency on Different Pollination Methods in Yellow poplar (Liriodendron tulipifera))

  • 유근옥;권해연;최형순;김인식;조도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8권6호
    • /
    • pp.696-702
    • /
    • 2009
  • 본 연구는 충매화인 백합나무의 구조적 생리적 특성을 활용하여 인공교배 시 교배봉투 설치 과정의 생략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1) 자연 상태(open-pollination)의 비교구, 2) 생식기관(꽃잎, 수술)을 제거하지 않고 교배봉투만 설치(self-pollination), 3) 생식기관만 제거하고 방치, 4) 생식기관 제거 및 인공수분을 실시 후 교배봉투 설치, 5) 생식기관 제거 및 인공수분 실시 후 교배봉투를 씌우지 않는 5 가지의 교배처리를 하였다. 시험결과, 생식기관을 제거하지 않고 교배봉투만 설치한 2번 처리구에서는 충실종자가 전혀 만들어지지 않아 자연 상태에서 자가수분에 의해 종자가 결실될 확률은 매우 낮은 것으로 보인다. 생식기관만 제거하고 교배봉투를 씌우지 않은 3번 처리구의 충실종자 결실률은 0.2%로 통상적인 대규모 인공교배 시의 발생하는 오차수준 보다 매우 낮은 미미한 수준이었다. 생식기관을 제거하고 인공수분을 실시한 후 교배봉투를 씌운 4번 처리구와 씌우지 않은 5번 처리구 종자 충실률은 각각 27.9%와 24.0%로 나타나 인공수분 후 교배봉투를 씌우지 않아도 외부 화분의 유입에 의한 종자 결실률의 증가는 없는 것으로 보인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백합나무에서는 대규모 인공교배 시 인공수분 후 교배봉투를 씌우는 과정을 생략해도 큰 무리가 없을 것으로 생각된다.

Interpretation of Real Information-missing Patch of Remote Sensing Image with Kriging Interpolation of Spatial Statistics

  • Yiming, Feng;Xiangdong, Lei;Yuanchang, Lu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ACRS 2003 ISRS
    • /
    • pp.1479-1481
    • /
    • 2003
  • The aim of this paper was mainly to interpret the real information-missing patch of image by using the kriging interpolation technology of spatial statistics. The TM Image of the Jingouling Forest Farm of Wangqing Forestry Bureau of Northeast China on 1 July 1997 was used as the tested material in this paper. Based on the classification for the TM image, the information pixel-missing patch of image was interpolated by the kriging interpolation technology of spatial statistics theory under the image treatment software-ERDAS and th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software-Arc/Info. The interpolation results were already passed precise examination. This paper would provide a method and means for interpreting the information-missing patch of image.

  • PDF

드론을 이용한 산림자원 정보관리를 위한 DB 설계 (Database Design for Management of Forest Resources using a Drone)

  • 오선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3호
    • /
    • pp.251-256
    • /
    • 2019
  • 현대사회가 급속히 발전하면서 자연과 환경의 중요성에 대한 관심이 주요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 특별히 최근 빠른 산업화로 극심한 환경오염과 미세먼지로 인한 사람들의 건강이 크게 위협을 받으면서 자연보호와 산림자원 관리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하지만 잦은 화재나 풍수해 및 난개발 등으로 인해 소중한 산림자원이 제대로 관리 되지 못하고 헛되이 소실되어 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산림자원의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조성과 관리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산림을 구성하는 나무 정보와 산의 지형 정보 및 생태계 정보를 아우르는 정확하고 구체적인 산림자원 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이 절실히 요구된다. 본 연구는 드론 기술을 이용하여 촬영된 산림자원 이미지를 기반으로 특정 지역 위치기반 산림 자원의 생태에 대한 정보와 그 위치 지역의 지형 정보를 기반으로 효율적인 산림자원 관리와 벌목 대상이 되는 수목 의사결정 그리고 향후 조성할 산림 조림사업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산림자원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설계하고 구축하고자 한다.

GIS를 이용한 산림 바이오매스 자원량 및 수확비용 예측 (Prediction of Forest Biomass Resources and Harvesting Cost Using GIS)

  • 이진아;오재헌;차두송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9권1호
    • /
    • pp.81-89
    • /
    • 2013
  • Nowadays, excessive using of fossil fuel contributes to global warming. Also, this phenomenon increases steadily. Therefore forest biomass from logging residues has received attention.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sustainability and economic feasibility of forest-biomass energy source. Accordingly, forest biomass resource was calculated, and harvesting and transporting machines which can be used in investing area were chosen, when using forest biomass as energy source. And then through these data, the harvesting cost was decided. The forest biomass resource calculated, thinned trees and logging residues, was 37,330.23 $m^3$ and 14,073.60 ton, respectively. When harvesting timber in each sub-compartment, the average thinned trees yield was 120.73 $m^3$, and tree logging residues was 402.80 ton. The use of tower yarder as harvesting and transporting equipments in study area was 85.4% and 66.7%, respectively, in up hill and down hill yarding. The average harvesting cost of biomass in the possibility area of timber yarding operation was expensive as 81,757 won/$m^3$, 85,434 won/m3 and 50,003 won/ton, respectively, in thinned trees and logging residue. If using data from this research analysis, tree could be felled by choosing sub-compartment.

국내외 산림자원관리 현황 조사 및 레이저 스캐닝 기술의 산림적용 방안 분석 (Investigation of Domestic and Foreign Forest Resource Management Status and Analysis of Laser Scanning Technology Application)

  • 박준규;이근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1호
    • /
    • pp.391-396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주요 산림 선진국인 오스트리아, 일본, 뉴질랜드, 인도네시아의 산림 정책 및 레이저 스캐닝 기술을 활용한 산림자원조사 사례를 조사하고, 레이저 스캐닝을 통해 취득되는 포인트클라우드 데이터의 산림자원조사 적용 가능성을 파악하였다. 연구를 통해 선진국의 산림정책은 지속 가능한 산림의 보전 및 관리와 일자리 창출, 목재 생산성 향상을 목적으로 추진되고 있으며, 새로운 기술 연구 및 실제 사업에서의 적용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우리나라는 주요 산림 선진국과 비교했을 때 국토면적에 비해 높은 산림 비율을 가지고 있지만 임목축적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나 임목축적의 향상을 위한 과학적인 산림관리가 필요한 시점이라 할 수 있다. 레이저 스캐닝 기술의 적용 가능성 파악을 위해 포인트클라우드 데이터를 이용한 산림자원조사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흉고직경, 수고, 단위면적당 본수를 산출하고, 수관의 형태를 파악하였다. 향후 다양한 레이저 스캐닝 기술을 적용한 현장 실험과 정확도 평가가 이루어진다면 포일트클라우드를 이용한 산림자원조사의 정량적인 업무 개선정도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