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est Management Planning

검색결과 281건 처리시간 0.023초

안면도 식물상 조사를 통한 산림관리에 관한 기초연구 (A Study on the Management Planning of the Forest for the Vegetation Survey - Case Study of Anmyundo -)

  • 방광자;이동근;강현경;김정연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권4호
    • /
    • pp.27-34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vegetation structure and management plan of forests at Anmyundo. Sixteen plot were established in the forests and surveyed. The plant communiti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community type, which were Pinus densiflora-Quercus serrata community, Pinus densiflora community, Quercus variabilis community. It was hypothesized that Pinus densiflora-Quercus serrata community will be changed to Quercus Spp. community. The vegetation management for successional controls on long-term basis was suggested. Dominant trees were mid-size trees(21~30year-old and DBH 18~28cm), and large trees(over DBH 30cm) appeared only at the Recreation Forest and Kuksabong. Anmyundo forests should be managed with a priority given to Pinus densifolra. Forest trees should be planted in consideration of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Pinus densifolra densities.

  • PDF

산림휴양계획(山林休養計劃)을 위한 지리정보체계(地理情報體系)의 이용(利用)에 관한 소개(紹介) (Introduction of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GIS) for Forest Recreation Planning)

  • 김성일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9권2호
    • /
    • pp.205-215
    • /
    • 1990
  • 임업 내에서 산림휴양(山林休養)의 중요성이 최근들어 인식되어지고 있고 앞으로도 빠른 속도로 고조되리라 예상된다. 국가차원에서 산림휴양 계획/개발의 효율성 증진을 위해 전산정보기술(電算情報技術)의 도입이 시급히 요구된다. 대단위 지역의 공간적(空間的) 관련성이 부여된 다양한 자료를 관리 및 분석할 수 있는 지리정보체계(地理情報體系)(GIS)가 위의 요구를 충족할 대안으로 부각된다. 이 글은 GIS의 개념, 구성요소, 및 계획을 위한 예를 제시함으로 적용가능성을 보이고자 한다. 산림휴양 계획을 위한 적절한 정보체계의 개발에 응용가능한 GIS와 기타 관련 데이타베이스의 통합정보체계(統合情報體系)의 구조도 제안된다.

  • PDF

임도시설에 관한 관리자 집단 간의 의식성향 분석 (Preference Analysis between Two Administrator Groups on Forest Road Facilities)

  • 지병윤;권형근;황진성;정도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5권4호
    • /
    • pp.449-455
    • /
    • 2016
  • 본 연구는 임도사업의 계획과 유지관리 단계에서 임도 관리자 집단의 의식성향을 파악하여 체계적인 임도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임도의 계획과 유지관리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임도 노선의 계획시 고려사항으로는 육림작업, 산지재해 예방, 목재수확 등의 항목에서 높은 중요도를 보였으며, 간선임도에 대한 선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임도 유지관리 작업의 적절성에 대해서는 두 집단 모두 인력 및 예산부족으로 인한 어려움(92.9%)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임도의 개설로 우려되는 주요 피해형태로는 사면붕괴로 인한 인명피해, 사유지 통행에 대한 분쟁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현재 실행하고 있는 임도 유지 관리작업의 주요 내용으로는 배수시설의 정비와 노면정비가 높게 나타났다. 임도시설에 대한 주요 보완사항으로는 배수시설, 비탈면 녹화와 안정에 대한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퍼지 다목표(多目標) 선형계획법(線型計劃法)에 의한 산림자원(山林資源)의 다목적(多目的) 경영계획(經營計劃) (Multiple-Use Management Planning of Forest Resources Using Fuzzy Multiobjective Linear Programming)

  • 우종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5권2호
    • /
    • pp.172-179
    • /
    • 1996
  • 본 연구는 산림자원(山林資源)의 다목적(多目的) 이용(利用) 문제에 합리적으로 접근하기 위하여 퍼지 다목표(多目標) 선형계획법(線型計劃法)을 삼림경영계획에 응용하고자 시도되었다. 산림이 가지고 있는 두 가지 기능 즉, 목재생산기능(木材生産機能)과 공익기능(公益機熊)이 지역별로 적절히 발휘되면서 조화를 이룰때 산림자원의 다목적 이용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여기에서는 공익기능 중에서 휴양기능(休養機能)이 발휘되고 있는 자연휴양림(自然休養林)을 대상으로 목재생산기능과 휴양기능이 합목적적(合目的的)으로 조합을 이룰 수 있는 모델을 개발하였다.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조성된 유명산 자연휴양림 지역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퍼지 다목표(多目標) 선형계획(線型計劃)모델을 구성하였다. 그리고 이 모델의 계산을 통해 얻어진 결과가 기존의 휴양림 경영계획서상의 자료와 비교 검토되었다. 이때 유명산 자연휴양림 면적 829ha를 대상으로 퍼지 다목표(多目標) 선형계획(線型計劃)모델을 적용한 결과 4분기(分期) 동안 수확경신(收穫更新) 가능한 면적이 410.8ha로 나타났고 이 때의 수확재적은 $57,904m^3$ 였으며, 이 휴양림(休養林)을 찾는 방문객수는 약 860만명 정도로 추정되었다. 퍼지 목표(多目標) 선형계획(線型計劃)모델에 의해서 목재생산계획(木材生産計劃)과 휴양계획(休養計劃)이 동시에 최적화(最適化) 될때의 최대구성함수(最大構成函數)값 ${\lambda}$는 0.29로 나타났다.

  • PDF

산림수확 시뮬레이터 HARVEST 응용에 의한 벌채지 공간배치 사례연구 (A Case Study of Spatial Allocation of Cut Blocks Using a Timber Harvest Simulator HARVEST)

  • 송정은;장광민;한희;설아라;정우담;정주상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1권1호
    • /
    • pp.96-103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산림수확계획 수립에 있어 벌채지 선정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수확분배시뮬레이션 모델의 도입을 위한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Gustafson과 Crow가 개발한 HARVEST를 산림수확 공간분배 모델로 선정하고 국립산림과학원의 광릉시험림을 대상으로 벌채구획의 면적제한, 벌채지 선정방법, 및 벌채지 연접제한과 같은 기본적인 산림수확 경영방침을 적용하여 모델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벌채 구획의 면적제한 조건의 경우 허용벌채면적이 커질수록 벌채구획의 수는 적어지고 벌채구획간의 거리는 멀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임의산개형, 군상형 군상택벌형 및 영급순 등 벌채임분의 선정방법을 달리하여 수확 시뮬레이션에 적용한 경우 군상택벌형을 제외하고 벌채구획의 크기와 개소 수는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벌채지간 거리에서 차이를 나타내었다. 벌채지의 연접제한은 이미 벌채된 임분 주변에서의 벌채를 제한하므로 벌채구획의 수를 증가시키는 효과를 나타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한 결과 HARVEST는 산림수확을 수행하는데 있어 다양한 경영목표에 따라 벌채구획의 수와 공간분포의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적인 도구로 평가되었다.

복원사업 후 마을비보숲의 장기 식생 변화 - 완주군 두방 마을비보숲을 사례로 - (Long-term Vegetation Change of the Complementary Village Forest after Restoration Project - Centered on the Village Complementary Forest of Wanju Dubang Village -)

  • 박재철;두은
    • 농촌계획
    • /
    • 제25권3호
    • /
    • pp.129-139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onitor the long-term vegetation change of the village complementary forest after restoration. Based on the monitoring in 2010, six years after the restoration project in 2004, the monitoring of the complementary forest in Dubang village in 2019 after 9 years was conducted. This study identifies the change of species diversity and structure, growth, vegetation coverage, structural quality etc. and succession through long-term monitoring. For this, field survey was conducted in 2003 and 2010, 2019. The results demonstrate significant increase of species diversity and multi-layer structure and progress of natural succession. Overall, Part I is considered to be a quasi-natural complementary village forest, which has a natural balance between natural vegetation that have remained in nature for a long time and anthropogenic vegetation, revealing the coexistence of nature and humanity. It means ecological structure and function have improved. Part II should be restored to the lost part and adaptive management rather than excessive management should be carried out to leave natural succession.

조류.포유류의 분포와 산림면적, 토지피복과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the Birds.Mammals' Distribution and Forest area, Land cover)

  • 이동근;김보미;송원경
    • 농촌계획
    • /
    • 제15권2호
    • /
    • pp.19-26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uild Island biogeography in the basic concept of landscape ecology in South Korea by draw relationship between the species side of quantitative habitats and forest area surveyed in the national database based on investigation of the 2nd natural environment. In addition, try to present criterion of habitats character category after understanding habitats character of emergence area side of quality habitats based on the type of formatting. Species and forest area relationship analyzed using correlation analysis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Also habitat character limited composition ratio of neighboring land cover and analyzed using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to classify type of habitat. As a result, we found that forest area is correlated with number of species, forests which is bigger than 100ha are more important of increase in species' population. And according to land cover composition ratio, bird's classified types of forest inner species, forest edge species, forest outer species and mammal's classified types of forest inner species, forest general species, forest edge species. We suggest that study of species-forest area relationship and emergence habitat character be used as some management plans of species' conservation, protection and restoration.

다목적(多目的) 산림경영계획(山林經營計劃)을 위한 선형계획법(線型計劃法)의 응용(應用) (An Application of Linear Programming to Multiple-Use Forest Management Planning)

  • 박은식;정주상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8권2호
    • /
    • pp.273-281
    • /
    • 1999
  • 이 연구에서는 춘천국유림관리소 관할인 가리산 일대의 산림을 대상으로 다목적 산림경영을 추구하기 위하여 최적수확계획의 수립에 선형계획법을 적용하였다. 지리적 특성에 따라 연구대상지역을 4개의 경영단위 또는 유역으로 구분하였으며, 비감소수확, 현존 임분의 갱신시기, % 수확면적, 토사유출량, 목재생산량, 탄소저장량을 조절하기 위한 제약조건을 포함하였으며, 계획기간말의 임상구조 및 임분 갱신을 위한 수종선택 조건을 경영단위별로 적용하였다. 선형계획문제의 수식화에는 모델 I과 모델 II를 적용하였으며, 수식모형과 경영대안에 따라 최적해들을 비교검토하였다.

  • PDF

인천광역시 산지형 도시녹지의 식생구조 및 관리계획: 육지지역을 중심으로 (Vegetation Structure and Management Planning of Mountain Type Urban Green Space in Inchon, Korea : a case study of land area)

  • 조우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5-27
    • /
    • 1998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vegetation structure and present management planning of mountain type green space using the green space changes during the 20 years, actual vegetation, and plant community structure in land area of Inchon, Korea. The actual vegetation area in survey sites was consisted of Quercus acutissima community, Robinia pseudoacacia forest, Pinus rigida forest, Q. mongolica-Pinus rigida community, P. rigida-Q. mongolica community, Q. monogolica community and so on.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by TWINSPAN, 61 survey plots were divided into 9 groups; Q. mongolica-Alnus japonica-R. pseudoacacia-P. densiflora, R. pseudoacacia-Styrax japonica, P. rigida-R. pseudoacacia-Q. mongolica, R. pseudoacacia-P. rigida-Q. mongolica-A. hirusta, Q. mongolica-P. thunbergii, and prunus sargentii-Zelkova serrata community. From this result, ecological succession trend of vegetation seems to be change from artificial result, ecological succession trend of vegetation seems to be change from artificial planting forest to native plant community which was dominated by Quercus spp.. This study area need to manage for the increase of biodiversity through the restoration of naturalness by ecological management of artificial planting forest and ecological planting of injured green space.

  • PDF

삼림경영계획(森林經營計劃)모델의 적용성연구(適用性硏究) -Model I 대 Model II- (The Application of Various Forest Resource Planning Models to Forest Management in Korea -Model I vs. Model II-)

  • 권오복;장철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7권4호
    • /
    • pp.389-400
    • /
    • 1988
  • 삼림경영계획(森林經營計劃) 모델들의 발전과정을 연대순으로 살펴 볼 때 독립적인 기능별계획(機能別計劃) 모델에서 종합적(綜合的)인 다목적이용계획(多目的利用計劃) 모델로 발전돼 가고 있으며 모델의 수학적구조(數學的構造)도 Model I 이나 Model II의 어느 한 쪽을 사용하는 단일구조(單一構造)에서 두 Model을 겸용하는 복수구조(複數構造)로 변해가고 있다. Model I과 Model II의 일반적 특성(特性), 계획상(計劃上) 차이(差異), 분석상(分析上)의 차이(差異)는 L.P.모델을 통하여 잘 설명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공통적(共通的)인 계획자료(計劃資料)를 사용하여 L.P.문제를 수식화(數式化)해 가면서 그들의 차이점(差異點)을 비교 검토하고 Model II가 삼림(森林)의 변화(變化)를 표현하는데 있어서나 문제를 분석하는데 있어서 Model I 보다 더 간편하다는 사실을 재확인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