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est Field

검색결과 1,481건 처리시간 0.029초

Differences in Density and Body Condition of Small Rodent Populations on Different Distance from Road

  • Hur, Wee-Haeng;Lee, Woo-Shin;Choi, Chang-Yong;Park, Young-Su;Lee, Chang-Bae;Rhim, Shin-Jae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4권2호통권159호
    • /
    • pp.108-111
    • /
    • 200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road effect on small rodent populations within fragmented forest areas around the road from June to September 2002, in 9 study sites of Baekdugdaegan mountains, Korea. Two species of small rodents, Korean field mouse Apodemus peninsulae and striped field mouse Apodemus agrarius, were captured in this study. Korean field mouse preferred forest area, and striped field mouse generally has been found edge area around road. Mean body weight of Korean field mous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ut that of striped field mouse was not between both distance from road. Korean field mouse is forest-dwelling species and their distribution is limited in forest area. In contrast, striped field mouse has wide distributional range around road. The effects of road is different in each small rodent species and their habitat preferences.

수치임상도 제작을 위한 영상탑재 현장조사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the Field Investigation System (FIS) loading Image Data for Digital Forest Type Mapping)

  • 유병오;권수덕;김성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7권4호
    • /
    • pp.445-451
    • /
    • 2008
  • 본 연구는 Tablet PC를 기반으로 정밀수치임상도 제작을 위한 현장조사용 맞춤형 시스템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FIS의 주요 개발내용 및 특징은 다음과 같다. FIS는 GPS에서 수신한 정보를 바탕으로 다양한 공간 Data에서 위치정보를 쉽게 파악할 수 있어 정보의 접근성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임상편집 뿐만 아니라 메모 및 야장도구를 통해 여러 가지 정보들을 현장에서 손쉽게 기록하고 관리할 수 있으며, 간단한 측정도구로 거리와 면적을 쉽게 산출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시스템을 활용하여 효율적인 현장조사가 가능하므로 현장에서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현장작업의 생산력이 향상될 것이다.

비탈면 안정을 위한 참싸리 뿌리의 토양보강 효과 (Analysis on Soil Reinforcement by Lespedeza cyrtobotrya Roots for Slope Stability)

  • 황진성;지병윤;오재헌;차두송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0권1호
    • /
    • pp.113-119
    • /
    • 2014
  • To examine the soil reinforcement by the shrub with shallow root systems for slope stability, we developed insitu apparatus for direct shear test and conducted the insitu field tests for Lespedeza cyrtobotrya, a representative revegetation species for artificial hillslopes. The insitu field tests were conducted for two different soil conditions (the rooted soils and non-rooted soils) and we then compared the experimental values with those calculated from the Wu model.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oil reinforcement derived from the insitu field tests ranged from 0.01525 to 0.1438 $kgf/cm^2$ while the one calculated from the Wu model ranged from 0.1952 to 0.2696 $kgf/cm^2$. Our finding suggests more field tests are needed to collect the related parameters in the model application thereby predicting the reliable soil reinforcement by the shrub root systems.

토지(土地) 이용(利用) 형태(形態)의 변화(變化)와 토양(土壤) 내(內) 탄소(炭素)와 질소(窒素의 관계(關係) (Relationship between Land-Use Change and Soil Carbon and Nitrogen)

  • 손요환;이숙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0권3호
    • /
    • pp.242-248
    • /
    • 2001
  • 토지 이용 변화는 토양 내 유기물과 양분 상태에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광주군 검단산 일대에서 과거 논으로 이용되다가 현재는 버드나무-신나무 우점의 산림으로 변한 지역, 밭에서 잣나무 인공조림지로 변한 지역, 그리고 과거부터 지속적으로 참나무류가 우점하고 있는 산림 지역 등 세 가지 토지 이용 형태를 선정하고 여기에서 토양 내 탄소와 질소의 농도, 토양 호흡, 그리고 질소 유효도 등을 측정, 비교하였다. 경작지의 휴경 후 20년이 경과한 다음, 토양 내 탄소와 질소의 농도는 토양 깊이 0-10cm, 10-20cm에서 과거 논이었던 지역이 다른 지역에 비하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반적으로 탄소와 질소의 농도는 표층에서 높고 토양 깊이가 증가할수록 점차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것은 유기물의 유입과 분해의 차이로 인한 축적량이 과거 논이었던 지역에서 가장 많기 때문이며, 탄소와 질소의 증가는 주로 표층에 국한한데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토양 발생 이산화탄소량은 논에서 산림으로 변한 지역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토양 내 높은 탄소 농도와 습윤한 수분 조건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이온교환수지봉지법으로 측정한 토양 내 질소 유효도는 토지 이용 형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는데, 무기태 질소 $NH_4{^+}+NO_3{^-}$)의 유효도와 암모니움태 질소의 농도는 산림지역에서 가장 높고, 밭에서 산림으로 변한 지역, 논에서 산림으로 변한 지역의 순으로 점차 감소하였다.

  • PDF

Generation of Forest Leaf Area Index (LAI) Map Using Multispectral Satellite Data and Field Measurements

  • Lee, Kyu-Sung;Kim, Sun-Hwa;Park, Yoon-Il;Jang, Ki-Chang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371-380
    • /
    • 2003
  •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uitable methodology to generate forest leaf area index (LAI) map at regional and local scales. To build empirical models, we collected the LAI values at 30 sample plots over the forest within the kyongan watershed area by the field measurements using an optical instrument. Landsat-7 ETM+ multispectral data obtained at the same growing season with the field LAI measurement were used. Three datasets of remote sensing signal were prepared for analyzing the relationship with the field measured LAI value and they include raw DN, atmospherically corrected reflectance, and topographically corrected reflectance. From the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model development, we found that the radiometric correction of topographic effects was very critical step to increase the sensitivity of the multispectral reflectance to LAI. In addition, the empirical model to generate forest LAI map should be separately developed for each of coniferous and deciduous forest.

국내 산양삼과 인삼 종자의 형태적 형질과 안정성 동위원소 비교 (Comparison of Morphological Characters and Stable Isotopes of Seeds between Wild Simulated Ginseng and Cultivated Field Ginseng)

  • 최명섭;김선희;박찬열;김남영;신진섭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7권4호
    • /
    • pp.357-362
    • /
    • 2008
  • 국내 산양삼과 인삼 종자의 형태적 형질과 안정성 동위원소를 비교하였다. 산양삼 10개 산지와 인삼 2개 산지에서 종자를 채집하여 종자의 길이, 폭, 두께, 그램당 립수를 측정하였으며, 탄소, 질소 안정성 동위원소비를 분석하였다. 산양삼 종자의 형태적 형질과 안정성 동위원소비는 지역간에 중복되는 변이를 나타냈다. 금산지역의 산양삼과 인삼을 비교한 결과, 산양삼 종자는 인삼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크기가 작고 무게가 가벼웠으며, 질소 동위원소비는 산양삼 종자에서 낮았다. 유사한 지역 환경에서 산양삼과 인삼 종자는 형태적으로 구분할 수 있었고, 산양삼 종자의 질소 동위원소비는 경작 유형을 반영하였으나, 지역간 절대적 비교는 할 수 없었다.

데이터 마이닝을 활용한 북한 산림과학 연구 동향 분석(1962~2016) (Trend Analysis of North Korean Forest Science Research (1962-2016) by Data Mining)

  • 임중빈;김경민;김명길;이종민;박진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9권1호
    • /
    • pp.81-98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남북한 산림과학기술협력에 대비하여 북한의 산림과학 관련 학술지 분석을 통해 북한 산림과학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북한과학기술네트워크(NKtech)의 소장 논문을 대상으로 우리나라 국가과학기술표준분류체계를 토대로 임학 관련 주제어를 검색하여 분석 대상 논문을 수집하였다. 총1,389편의 논문을 수집하였으며 북한 산림업 계획 지표를 토대로 산림조성, 보호 및 이용 분야로 분류하여 각 분야별 북한 산림과학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2012년 김정은 집권 이후 산림조성 분야에서는 나무모 기르기(양묘)와 임농복합경영 분야의 연구 활동이 활발하였으며 사름률(활착률)을 강조하고 있었다. 산림보호 분야에서는 산림병해충에 대한 노력이 크며 임농복합경영과 풀뚝다락밭을 통해 토양침식을 감소시키려는 노력을 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산림이용 분야에서는 주로 펄프/종이와 버섯 분야에서 연구가 활발함을 확인하였다. 산림경영 분야에서는 '생태정보' 분야의 활동이 눈에 띄게 나타났으며 탄소감축 노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북한 산림과학 동향을 살펴본 결과 북한의 산림에 대한 관점이 기존의 '자연 개조' 대상에서 '자연 보호'를 함께 수반하는 관리의 대상으로 변화되었다고 보여 진다. 향후 세부 분야별 남북 산림과학 기술 비교 연구와 시기별 북한의 정책방향이 연구 방향에 미친 영향에 대한 분석을 진행할 계획이다. 특히, 남북산림협력사업을 원할히 하기 위해서 남북산림용어사전 편찬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Differences in Field Sign Abundance of Mammal Species Around the Roads in Baekdudaegan Mountains

  • Hur, Wee-Haeng;Lee, Woo-Shin;Choi, Chang-Yong;Park, Young-Su;Lee, Chang-Bae;Rhim, Shin-Jae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4권2호통권159호
    • /
    • pp.112-116
    • /
    • 200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tain the information of distribution, protection and management for mammal species in fragmented forest areas around the road from June 2002 to May 2003 in 9 study sites of Baekdugdaegan mountains, Korea. Field signs of twelve mammals, moles Molera robusta, Korean hares Lepus coreanus, Manchurian chipmunk Tamias sibiricus, red squirrels Sciurus vulgaris, Korean racoon dogs Nyctereutes procyonoides, Siberian weasels Mustela sibirica, badgers Meles meles, otters Lutra lutra, Bengal cats Felis bengalensis, wild boars Sus scrofa, water deer Hydropotes inermis and roe deer Capreolus pygargus were recorded in this study.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otal number of species between 50 m areas and 50-100 m areas from road in snow and non-snow season. Number of mammals' field signs were different in non-snow season between both areas. Red squirrels and Siberian weasels were more abundant in 50 m areas, and Korean hares and Manchurian chipmunks were in 50-100 m areas. Habitat using pattern of mammal species may be affected by the road. Reasonable road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would be needed for protection and management of wildlife and their habitats.

인삼 임간재배시 병해충 발생율 및 생육 특성 (Growth Characteristics and Occurrence Rate of Disease and Pest According to the Forest Field in Panax ginseng C. A. Meyer)

  • 정성수;박종숙;양재춘;류정;김희준;임주락;김동원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261-265
    • /
    • 2007
  • 인삼재배가 가능한 임간의 기후적 특성과 임간재배지내에서의 병해충 발생상황 및 생육상황을 관행재배지와 비교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 임간재배지의 온도는 관행재배지보다 $1^{\circ}C$ 정도 낮고 습도는 2% 정도 높았으며 토양온도는 $1.9^{\circ}C$ 낮고 토양수분도 11.8%가 낮았다. 임간재배지의 풍속은 관행재배지보다 3배 정도 늦었으며 결로시간은 3.3시간 긴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일사량은 현저히 부족하였고 강우량도 약간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큰 차이는 없었다. 나. 2003년이 2004년과 2005년보다 병해의 발생이 많았고 임간재배지에서의 병해발생이 관행재배지보다 심하였다. 때문에 8월 중순경에 지상부가 거의 다 고사되었다. 임간재배지의 주요 병해충으로는 탄저병, 점무늬병 및 뿌리썩음병이었고, 관행재배지는 위의 병해와 잿빛곰팡이병의 발생이 주를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충으로는 잎별레와 나방류가 가해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3년근의 생육상황을 비교한 결과 임간재배지에서 자란 인삼의 생육상황이 전반적으로 50% 이상 불량하였고 특히 근중은 87.2% 정도 가벼운 것으로 나타났다.

A Comparison of Systematic Sampling Designs for Forest Inventory

  • Yim, Jong Su;Kleinn, Christoph;Kim, Sung Ho;Jeong, Jin-Hyun;Shin, Man Yong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8권2호
    • /
    • pp.133-141
    • /
    • 200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pport for determining an efficient sampling design for forest resources assessments in South Korea with respect to statistical efficiency. For this objective, different systematic sampling designs were simulated and compared based on an artificial forest population that had been built from field sample data and satellite data in Yang-Pyeong County, Korea. Using the k-NN technique, two thematic maps (growing stock and forest cover type per pixel unit) across the test area were generated; field data (n=191) and Landsat ETM+ were used as source data. Four sampling designs (systematic sampling, systematic sampling for post-stratification, systematic cluster sampling, and stratified systematic sampling) were employed as optimum sampling design candidates. In order to compute error variance, the Monte Carlo simulation was used (k=1,000). Then, sampling error and relative efficiency were compared. When the objective of an inventory was to obtain estimations for the entire population, systematic cluster sampling was superior to the other sampling designs. If its objective is to obtain estimations for each sub-population, post-stratification gave a better estimation. In order to successfully perform this procedure, it requires clear definitions of strata of interest per field observation unit for efficient stratif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