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est Arrangement

검색결과 88건 처리시간 0.025초

아까시나무(Robinia pseudoacacia L.) 조림지(造林地)에서 천이(遷移)의 예측(豫測)과 조림학적(造林學的) 제어(制御) (Prediction of Succession and Silvicultural Control in the Black Locust(Robinia pseudoacacia L.) Plantation)

  • 윤충원;오승환;이준혁;주성현;홍성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8권2호
    • /
    • pp.229-239
    • /
    • 1999
  • 아까시나무 조림지(造林地)의 천이(遷移)를 예측(豫測)하고 조림학적(造林學的) 제어(制御)에 필요한 삼림생태학적(森林生態學的) 자료(資料)를 얻기 위하여 아까시나무 조림지(造林地)의 식생단위(植生單位)를 구분(區分)하였고, 아끼시나무 조림지(造林地)에 출현(出現)한 주요(主要) 종(種)의 경쟁(競爭) 및 천이(遷移)를 분석(分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아까시나무 조림지(造林地)의 식생(植生)은 I. 굴참나무군락(群落)(Quercus variabilis community), II. 며느리배꼽군락(群落)(Persicaria perfoliata community), III. 때죽나무군락(群落)(Styrax japonica community), IV. 깨풀군락(群落)(Acalypha australis community), V. 전형군락(典型群落)(Typical community)의 5개 군락(群落)으로 구분(區分)되었고, 이러한 군락수준(群落水準)의 식생단위(植生單位)는 군(群)(group) 또는 소군(小群)(subgroup)의 하급단위(下級單位)로 세분(細分)되었다. 식생단위별(植生單位別) 종다양도지수(種多樣度指數)는 식생단위(植生單位) 상호간(相互間)에 유의(有意)한 차이를 보였다. CCA법(法)에 의해 식분(植分)을 배열한 결과 1축상의 배열은 해발고, 모래함량, 미사함량 및 유효인함량과 2축상의 배열은 질소, 칼슘 및 칼륨함량과 유의한 관계를 나타내었다. 아까시나무 조림지(造林地)에 출현한 주요 종(種)의 경쟁상태(鏡爭狀態)와 천이경향(遷移傾向)을 분석(分析)한 결과(結果) 천이(遷移)의 진행(進行)에 따라 향토수종(鄕土樹種)인 참나무류(類), 단풍나무류(類), 벚나무류(類) 등이 혼재(混在)하는 숲으로 천이(遷移)가 진행(進行)될 것으로 예측(豫測)되었다.

  • PDF

리기다소나무 원목형질 조사 및 구조용집성재 제조 수율 평가 (Visual Log Grading and Evaluation of Lamina Yield for Manufacturing Structural Glued Laminated Timber of Pitch Pine)

  • 심상로;여환명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2권2호
    • /
    • pp.90-95
    • /
    • 2004
  • 우리나라 전역에 사방 및 연료림으로 대량 식재되어 소기의 목적을 달성함과 동시에 치산녹화 성공을 이루는데 크게 기여한 수종인 리기다소나무 제재목의 구조용집성재 라미나로서의 이용가능성을 고찰하였다. 건전한 임분 내에서 평균 흉고직경 32 cm인 리기다소나무를 벌채하여 말구직경 15 cm 이상으로 조재하였을 경우 80% 이상이 2등급 또는 3등급의 원목형질로 구분되어 리기다소나무의 제재목으로서의 이용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되었다. 구조용집성재 라미나용 주제품의 제재수율은 39.9%, 벽판재 수율은 7.2%, 부제품 수율은 8.1%로 총 원목의 55.2%가 판재로 제재되었다. 옹이를 제거하여 핑거가공한 후 제조한 구조용집성재의 제조수율은 15.3%로 평가되어 옹이를 제거하지 않은 판재의 라미나로의 이용을 위한 옹이재의 휨강도와 압축강도 등의 강도적 성능 평가와 더불어 최적의 라미나 배열을 통한 구조용집성재의 강도 감소 최소화를 위한 연구가 앞으로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제재수율과 기타 가공수율 평가는 현재까지 목재산업현장에서 제재목으로의 이용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리기다소나무의 효율적인 생산계획을 수립하는데 사용되어질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한반도 도서지역의 식물사회네트워크 분석 (Analysis of Plants Social Network on Island Area in the Korean Peninsula)

  • 이상철;강현미;박석곤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27-142
    • /
    • 2024
  • 본 연구는 난온대림에 속한 도서지역에서 조사한 대량의 식생 데이터로 식물사회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식물군락의 수종간 상호관계를 파악하고자 했다. 상록활엽수 성숙림에 출현하는 교목성 후박나무·구실잣밤나무·생달나무·광나무, 관목성 돈나무·자금우, 덩굴성 마삭줄·멀꿀이 서로 강한 양성결합(+)을 보였다. 이 수종들은 낙엽활엽수종과는 음성결합(-)하거나 친소관계가 없었는데 이는 입지환경 차이가 크기 때문이다. 식물사회네트워크 소시오그램에서 4개의 그룹으로 묶어 상록활엽수종인 그룹I과 낙활엽수종인 그룹II의 수종간에는 중심성과 연결성이 높게 나타났다. 소시오그램의 수종(노드) 배치와 연결정도(그룹화)는 DCA분석와 같이 환경요인과 식물군집의 특성을 간접적으로 추정 가능한 것으로 분석됐다. 식물사회네트워크상 중심성과 영향력이 큰 수종은 마삭줄·사스레피나무·생강나무·때죽나무 등이었다. 이 수종은 생태적 지위의 범위가 넓은 일반종이면서 숲틈과 훼손지 등에 흔히 출현하는 기회종의 특성과 생존전략을 갖는 것으로 보인다. 이 수종들이 식물군집의 종간 상호작용과 군집의 구조와 기능 변화에 그 역할이 클 것이다. 하지만 실제 식물사회에서 어떤 상호작용을 통해 식물군집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지는 장기적인 연구와 심도 있는 논의가 필요하다.

유가적 수양론으로 본 호남지방 별서형 정자 입지와 배치의 의미해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Traditional Private Garden Pavilion in Honam Province from the Perspective of Confucian Frame of Self-Cultivation by Its Location and Arrangement)

  • 김진수;김윤상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49-63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호남지방 전통 별서형 정자의 입지와 배치계획 범주에서 보이는 건축적 공간체험구조로써의 구별수법에 대한 고찰에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를 통해서 이러한 구별수법들은 거경-궁리, 격물-치지의 수양적개념을 전제하고 있음을 살펴볼 수 있었으며, 자연합일은 참된 가치의 인식과 과거의 좁은 인식적 틀을 벗어난 인식적 의미개방을 전제로 하여 앎의 궁극적 상태로써의 '완상'을 통해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정자권역에서의 인식적 구별개념이 필요하며, 구체적인 정자권역의 구별개념으로는 속계로부터 1) 정자권역을 구별하기 위한 방법으로써의 '탈속적 떼어놓음'과 2) 인식개방을 위한 '관조적 거리둠'의 개념이라는 서로 다른 두 가지 방법이 있음을 본 정자연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별서 정자원림에 적용되어진 구별을 위한 명확한 수법적 고려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간접권역 진입부와 정자직접권역 초입부에서의 구별수법들에 의해서 성취되어지고 있었다. 입지적 선정차원인 정자 간접권역 진입부에서는 1) 언덕-넘음(돌아듬), 2) 물-건넘, 3) 산-높음, 4) 숲-통과, 5) 입구-좁음의 구별수법을 사용하고 있음을 알수 있었으며, 배치적 차원인 정자 직접권역 초입부에서의 구별수법으로는 1) 공간적 거리둠과 2) 물(계류)에 의한 거리둠, 3) 물(연못)과 공간적 거리둠의 조합에 의한 구별수법으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A rare duodichogamous flowering system in monoecious Toona sinensis (Meliaceae)

  • Lee, Hakbong;Kang, Hyesoon;Park, Wan-Geun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2권2호
    • /
    • pp.50-59
    • /
    • 2018
  • Background: Duodichogamy is the rarest form of dichogamy in angiosperms, which is characterized by flowering in the sequence of male${\rightarrow}$female${\rightarrow}$male. Disentangling factors promoting duodichogamy require the discovery of more duodichogamous species in angiosperms. However, extremely limited information on duodichogamous species makes it difficult to make general conclusions. Given the inflorescence morphology and flowering characteristics, the Meliaceae family is highly likely to contain duodichogamous species. Methods: We selected 48 individuals from 20 populations in Korea and investigated their flower morphology, arrangement of flowers by sexual condition within inflorescences, and flowering phases and duration of male and female flowers of Toona sinensis (Meliaceae) for 5 years (2011-2015) to determine if the species shows duodichogamous flowering. Results: Toona sinensis belonging to Meliaceae possessed functionally unisexual flowers with rudimentary parts of the opposite sex. The floral organs in male were larger than those in female, except for ovary length and width. In dichasium, male flowers were observed on primary or lateral branches, whereas female flowers were borne only on lateral branches. Overall, individuals from six different populations flowered in the male${\rightarrow}$female${\rightarrow}$male sequence, thereby male is blooming far longer than female flowers at the level of individual trees (male vs. female = 17-20 days vs. 2-4 days). Conclusions: This is the first study to report a duodichogamously flowering species, T. sinensis, within Meliaceae. Several flowering characteristics observed from T. sinensis may be important clues used to discover additional duodichogamous Meliaceae species. Short flowering period and relatively small number of female flowers, which is analogous to reduced ovule numbers observed in other duodichogamous species, may intensify male-male competition in T. sinensis. This study contributed to narrowing down potential candidates of duodichogamy based on their geographic distributions and flowering time.

전통마을 배치기법에 따른 북서울꿈의숲 설계 (Design of North Seoul Dream Forest Based on Traditional Village Design Methods)

  • 최신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66-72
    • /
    • 2010
  • 서울시가 추진해온 대규모 공원 조성 사업의 일환으로 강북지역의 생활권 공원조성을 위하여 드림랜드 부지를 거대한 녹지의 숲과 공원이 어우러진 공간으로 계획하였다. 공간 구성기법으로 채움보다는 비움의 미학을 통하여 불확실한 도시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잠재성을 부여하였고, 경관구성을 위하여 전통적인 서울의 산악경관 요소를 도입하고 차경하여 조망축을 형성하였는데, 유려하게 펼쳐진 한폭의 산수화 같은 한 그루의 나무, 하늘과 바람, 그리고 물과 흙의 심상이 표현되고 있다. 이것은 도시화의 계획에 배제되어 왔던 자연을 중요한 고려의 대상으로 삼음으로서, 서구도시의 건축적 랜드마크와는 차별화된 우리의 산과 구릉지 모습으로 도시경관의 지배적 랜드마크를 만드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전통의 경관개념과 한국적 공간의 유형에서 추출한 시설배치 기법과 요소를 설계에 적용하여 기존의 도시가로와 마당과 같은 공원의 공간이 전통적 위계를 가지도록 하였으며, 도시의 확장된 오픈 필드(open field)를 통하여 공간경험의 다양성과 잠재성을 추구하여 북서울꿈의숲을 설계하였다.

도시근교형 자연휴양림 이용 행태와 만족도 분석 - 서울 근교를 중심으로 - (Visitor Behavior and Satisfaction in Suburban Recreational Forests - Focused on the suburbs of Seoul -)

  • 서주환;최현상;전형석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57-65
    • /
    • 2003
  • This study researches attributes , behaviors , satisfaction factors and degrees of curiosity of visitors to recreational forests in the suburbs of a large city. It aims to present suggestions for urban forest development and management policy by offering basic data which help to plan, design and manage recreational forests to increase the quality of these environme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attribute, the visiting rate of males is higher than that of females, and the main users are in their thirties and forties. Sixty percent of visitors graduated from university and their rate of employment is evenly distributed. 95 percent of visitors are residents of the metropolitan area. In terms of behavior, major visitors are family units visiting during summer seasons and for overnight stays. 75% are re-visitors. 85% of visitors came to escape the city with families and friends, keep in good health and experience nature. Second, to extract the factors affecting visitor satisfaction in recreational forests, the natural environment, facilities, and management/use systems were identified as independent variables, while subordinate satisfactions were dependent variables. so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hus, the variables affecting the natural environment are quality of water, stream use, biodiversity, fresh air and landscape factors. The variables affecting facilities are puking, convenience, play facilities, sanitary arrangement and camping. Most important among the variables affecting management/use systems are educational facilities and access condition. On the basis of generalizing the study in the existing individual site, we must verify the visiting characteristics in recreational forests in the suburbs of a large city. Since development of recreational forests is understood as a sequence considering a site and a given condition, and since management and improvement must unfold according to these characteristics, a strategy is needed to reveal visitors' opinions about the site. Depending on the facilities and service, satisfaction of recreational forests is generally influenced by social and economic qualities. Also, this study can look into the effect according to use pattern motive and season. As suburban recreational forests have many overnight-users and younger men, programs suitable for these groups are needed. On the basis of variables affecting satisfaction according to natural environment, facilities, and use system, policies which can manage the natural environment and introduce educational programs are needed.

인위적(人爲的)인 결체(結締)에 의해 형성(形成)된 아까시나무 수간(樹幹)의 종양재(腫瘍材)에 관한 조직특성(組織特性) (Histological Characteristics of Tumorous Wood Formed in a Stem of Robinia pseudoacacia L. by Artificial Fastening)

  • 엄영근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0권4호
    • /
    • pp.408-415
    • /
    • 1991
  • 수간(樹幹) 둘레를 철사(鐵絲)로 결체(結締)함에 따라 인위적(人爲的)인 피해(被害)를 받으므로써 형성(形成)된 아까시나무(Robinia pseudoacacia L.) 종양재(腫瘍材)의 조직학적(組織學的) 특성(特性)을 고찰(考察)하고 아울러 정상재(正常材)와의 그 특성(特性) 차이(差異)를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본(本) 연구(硏究)를 실시(實施)하였다. 종양재(腫瘍材)는 일부(一部) 관공(管孔) 및 대부분(大部分)의 목섬유(木纖維)와 방사조직(放射組織)이 정상배열(正常配列)에서 이탈(離脫)된 불규칙적(不規則的)인 배열(配列)을 이루고 있는 점, 횡단면상(橫斷面上)의 관공(管孔)이 다소 방사방향(放射方向)으로 신당(伸張)되어 있는 점, 선단(先端)이 굴곡(屈曲)된 목섬유(木纖維)가 방사단면상(放射斷面上)의 방사조직(放射組織) 사이에서 가끔 관찰(觀察)되는 점, 방사조직(放射組織)의 폭(幅)과 높이가 더 큰 점, 방사단면상(放射斷面上)의 목섬유(木纖維)가 서로 교착배열(交錯配列)을 이루고 있는 점, 추재부(秋材部)의 복합관공(複合管孔) 출현(出現) 빈도(頻度)가 더 큰 점, 젤라틴목섬유(木纖維)의 발달(發達)이 더 일반적(一般的)인 점 및 농색(濃色)의 검(gum)상물질(狀物質)이 국부적(局部的)으로 목섬유(木纖維), 방사조직(放射組織), 축방향유세포(軸方向柔細胞)의 내강(內腔)에 발달(發達)되어 있는 점에 있어서 정상재(正常材)와의 조직(組織) 특성(特性) 차이(差異)를 나타내었다.

  • PDF

Phenological Characteristics of Rhododendron Species in Temperate Mixed Broad-leaved Forests of Arunachal Himalaya, India

  • Paul, Ashish;Khan, Mohamed Latif;Das, Ashesh Kumar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4권6호
    • /
    • pp.435-450
    • /
    • 2018
  • Phenological events of four Rhododendron tree species (viz. R. arboreum, R. arboreum ssp. delavayi var. delavayi, R. barbatum and R. kesangiae) was monitored in temperate mixed broad-leaved forests of Arunachal Pradesh, India. Phenological events like flower bud formation, flowering, fruit setting, fruit maturing, seed dispersal, leaf bud formation, leaf flushing, and leaf shedding were recorded. Indices i.e., phenophase sequence index (PSI), active phenophasic period of the species (APS) and index of reproductive/vegetative activity (RVA) were also calculated. Present study revealed that bark consistency, growth form and leaf pattern of the studied species have showed variations among the species. Rhododendron species exhibited the phenological events overlapping with other phenophases. The peak flower bud formation was observed during the winter; R. arboreum ssp. delavayi var. delavayi start flowering from December, while the flowering in rest three species exhibited during February to April. Fruit setting occurred during summer to autumn while fruit maturation revealed peak during November. Leaf bud formation illustrated two peaks in April and May, leaf flushing exhibited peak in June, while leaf shedding peaked during October to November. Active phenophasic period of the species were found 12 months, which revealed that species engage in various phenophase activities throughout the year. Phenophase sequence index ranged between 0.8 to 0.9 (PSI ${\geq}0.6$), signifies that species have a sequential arrangement of phenophases. Index of reproductive/vegetative activity of the species exemplified >1, indicate that the reproductive phenophases were dominance over vegetative phenophases. The study have provided substantial insight on the life cycle events of Rhododendron species and ecological approaches for further scientific study with recent climate change and effective management and conservation.

Characterization of the first mitogenomes of the smallest fish in the world, Paedocypris progenetica, from peat swamp of Peninsular Malaysia, Selangor, and Perak

  • Hussin, NorJasmin;Azmir, Izzati Adilah;Esa, Yuzine;Ahmad, Amirrudin;Salleh, Faezah Mohd;Jahari, Puteri Nur Syahzanani;Munian, Kaviarasu;Gan, Han Ming
    • Genomics & Informatics
    • /
    • 제20권1호
    • /
    • pp.12.1-12.7
    • /
    • 2022
  • The two complete mitochondrial genomes (mitogenomes) of Paedocypris progenetica, the smallest fish in the world which belonged to the Cyprinidae family, were sequenced and assembled. The circular DNA molecules of mitogenomes P1-P. progenetica and S3-P. progenetica were 16,827 and 16,616 bp in length, respectively, and encoded 13 protein-coding genes, 22 transfer RNA genes, two ribosomal RNA genes, and one control region. The gene arrangements of P. progenetica were identical to those of other Paedocypris species. BLAST and phylogenetic analyses revealed variations in the mitogenome sequences of two Paedocypris species from Perak and Selangor. The circular DNA molecule of P. progenetica yield a standard vertebrate gene arrangement and an overall nucleotide composition of A 33.0%, T 27.2%, C 23.5%, and G 15.5%. The overall AT content of this species was consistent with that of other species in other genera. The negative GC-skew and positive AT-skew of the control region in P. progenetica indicated rich genetic variability and AT nucleotide bias,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genomic variation information and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mitogenome of P. progenetica. They could later deliver highly valuable new insight into data for phylogenetic analysis and population gene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