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eign language learning

검색결과 272건 처리시간 0.023초

워드프로세서의 영어문장 어법오류 인식개선을 통한 영어구문작성 향상방안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English writing by applying error indication function in word processor)

  • 이재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2호
    • /
    • pp.285-290
    • /
    • 2020
  • 본 연구는 워드프로세서를 사용하여 영어텍스트구문을 작성하는 사용자들의 영어작문능력을 개선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컴퓨터와 IT기술의 발달로 영어작문능력 향상을 위한 컴퓨터보조언어학습이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기존의 프로그램들은 일부 단어의 철자, 접속사의 필요성, 주어-동사의 수일치 등과 같은 몇몇 문법오류사항을 인식하여 표시해주는 기능이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작성한 영어문장의 적절성에 대한 소수의 오류사항을 알려주고 있지만 영어문장에서 가장 흔하게 사용되고 있는 명사구성립의 적법성에 대한 오류인식은 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 워드프로세서의 문장오류인식 프로세스에 명사구성립인식 기능을 추가하여 더 나은 오류인식기능을 갖추도록 개선하여 사용자 편의성 및 문장적법성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제시한다. 제안 방법은 문장 내에 사용된 명사를 추적하여 해당 명사가 문장요소로 사용되기 위한 최소단위인 명사구성립 여부를 확인하고 그에 따라 오류표기를 하여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해준다. 사용자는 오류사항에 대한 인식을 통해 자신이 작성한 텍스트의 문장 적법성을 확인하고 수정하면서 문장작성 능력 및 적절한 어법의 사용에 대한 이해도가 증가할 것이라 판단된다.

국내 AI활용교육 연구동향 (Domestic Research Trends of Learning with AI)

  • 허미선;배윤주;석희진;이정민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5권6호
    • /
    • pp.973-985
    • /
    • 2021
  • 본 연구는 교육 분야에서 AI를 활용한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여 향후 AI활용교육의 방향성과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9년부터 2021년 7월까지 최근 3년간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중 검토를 통해 최종 78편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3개년 중에서는 2020년에 게재된 논문이, 연구방법으로는 질적연구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또한, 연구대상별 분석에 따르면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고 대학·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뒤를 이었다. 교과목별 분석에서는 외국어 교육과 관련된 연구가 가장 많았고, AI 테크놀로지 유형은 챗봇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마지막으로 교수학습 및 평가영역에서는 실행 단계가, AI활용교육 시스템 유형으로는 학생 지원이 과반수를 차지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AI활용교육의 방향성과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전체적인 관점에서 국내 AI활용교육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였고, 교수자-학습자와 교수학습설계과정을 중심으로 AI활용교육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조현병 환자 간호 시뮬레이션 교육에 관한 융합연구 : 체계적 문헌고찰 (Convergence Study of Nursing Simulation Training for Patient with Schizophrenia: A Systematic Review)

  • 김선경;엄미란;김외남
    • 산업융합연구
    • /
    • 제17권2호
    • /
    • pp.45-52
    • /
    • 2019
  • 본 연구는 조현병 환자 간호 시뮬레이션 교육 중재 연구들에 대한 문헌고찰을 통해 중재의 구체적 내용을 알아보고 그들의 융합적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4개의 데이터베이스 검색을 통해 확인된 226편의 문헌 중 선정기준에 부합하는 11편을 최종 선택하였다. 5편의 질적연구, 5편의 양적연구, 1편의 혼합설계가 포함되었다. 시뮬레이션에 표준화환자, 역할극, 시뮬레이터, 가상현실 기술이 활용되었고 대부분의 연구에서(63.6%) 표준화환자를 활용한 시뮬레이션이 이루어졌다. 효과평가에 연구마다 다른 변수가 측정되었으며 자신감, 지식, 학습자기효능감, 교육만족도, 자기주도학습이 측정되었다. 향후 조현병환자간호의 고난도와 복잡성을 고려한 결과변수의 선정 및 측정을 통해 시뮬레이션 교육의 효과성을 입증할 수 있도록 잘 설계된 연구가 지속 되어야 할 것이다.

간호학과 만학도의 전공 과정 경험 연구 (A study on the Experience of Nursing Department Mature-age students Major Course)

  • 김미화;조은하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4호
    • /
    • pp.19-26
    • /
    • 2022
  • 본 연구는 만학도 간호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대학생활에 관해 학업수행과정 문제점의 본질적인 의미를 탐색해 보는 질적 연구이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경상북도 K시 일개 대학 4학년의 만학도 대학생으로 학업에 대한 열정을 갖추고 이에 대한 인식을 갖춘 15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은 만학도의 생활과 관련된 경험을 한 학생으로 질문에 대해 48시간 내에 면담과 자기 보고서를 통하여 작성하도록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Krippendorff의 현상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만학도 간호학생의 경험을 분석한 결과 4개 범주, 14개 주제, 34개 의미 있는 진술로 도출되었다. 4개의 범주는 '끝이 없는 힘듦', '만학도 그들과 함께 함이 이유', '서서히 찾아가는 자신감', '학문과정에서 인생을 배우다'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결과 만학도 간호학생들의 안정적이고 원활한 대학 적응과 추후 건강한 간호전문직을 양성하는데 유용한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한국어 작문과 영어 작문에 대한 개념 비교 - 미국에 거주하는 한국인들을 중심으로 - (Comparison of Views on Korean and English Writing: Focusing on Bicultural Koreans in the United States)

  • 조수경
    • 비교교육연구
    • /
    • 제28권2호
    • /
    • pp.97-121
    • /
    • 2018
  • 미국에서 한국 이민자들의 수가 계속적으로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이들의 문해력 발달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다 (Cole, Maddox, Lim, & Notari-Syverson, 2002; Scarcellar & Chin, 1993; Shin, 1994; Skilton-Sylvester, 2001; Yu, 1994). 또한 이러한 연구들 조차 한국어 문해력과 영어 문해력 사이의 뗄 수 없는 관계에 주목 하는 경우는 드물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인의 한국어 작문과 영어 작문에 대한 인식을 비교 연구함으로써 이들의 다언어간 문해력 발달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다양한 연령대의 한국인들을 대상으로 모국어와 영어 작문을 어떻게 배웠는가에 대해 면담을 진행하였다. 특히 어떤 기관과 사람들, 그리고 어떤 동기로 작문을 배웠는가에 집중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의 피실험자들은 각각 한국적 상황에서 터득한 작문에 대한 개념을 미국적 상황에 맞추어 재정립하는 과정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다언어간 작문에 대한 연구는 학습자들이 작문에 대해 부여하는 가치와 개념을 연구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통해 교육자들은 문해력 발달이라고 하는 것이 인생 전반에 걸쳐져 연장선 상에 위치하고 있음을 인식할 필요가 있겠다.

독일의 상호문화교육 사례에 대한 연구 : 베를린 EU학교의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ase of Inter-cultural Education in Germany: Focus on the Curriculum of SESB)

  • 오영훈;방현희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6권11호
    • /
    • pp.81-90
    • /
    • 2016
  • 본 연구는 베를린 국립유럽학교(SESB)의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독일의 이주민 사회통합 정책에 따른 상호문화교육에 대하여 이중언어교육을 중심으로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베를린 국립유럽학교 중에서 Joan-Miró 초등학교와 Finow 초등학교을 사례로 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독일에서는 이주가정의 학생이 자신이 속한 문화적 공동체의 언어 및 정체성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독일사회에 통합할 수 있는 다문화교육 정책을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이주자들의 모국어 사용능력 유지와 이주학생들의 독일어습득이 독일의 사회통합 정책의 중심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베를린 국립유럽학교는 학생들의 언어능력뿐만 아니라, 다양한 문화적 배경의 학생들을 위한 상호문화교육 환경 조성을 위하여 설립된 일반 공립학교이다. 베를린의 국립유럽학교는 이주가정 출신의 학생들이 그들의 언어와 문화정체성을 유지하는 것과 동시에 독일사회에 통합할 수 있도록 하는 상호문화교육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Joan-Miró 초등학교에서는 학생들의 미래 지식사회를 위한 준비와 함께 상호문화 능력 및 이중언어 능력을 장려하고, 학생들로 하여금 독립적 생활과 자기주도적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Finow 초등학교에서는 학생들에게 미래 유럽의 지식사회에서 요구하는 시민으로서의 역량을 강화시킬 수 있는 기본능력 이외에 상호문화적 역량 및 언어적 역량, 그리고 지향성 역량을 장려하고 있다. 한국 학교의 외국어교육에서도 독일의 국립 유럽학교와 같이 실용적으로 다변화할 필요가 있다. 이와 함께 학생들의 이중언어능력의 개선, 학생 각각의 개인별 특성에 맞는 능력개발, 그리고 상호문화이해역량을 증진할 수 있도록 교육환경의 개선이 필요하다.

Comparison of Cognitive Loads between Koreans and Foreigners in the Reading Process

  • Im, Jung Nam;Min, Seung Nam;Cho, Sung Moon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93-305
    • /
    • 2016
  • Objective: This study aims to measure cognitive load levels by analyzing the EEG of Koreans and foreigners, when they read a Korean text with care selected by level from the grammar and vocabulary aspects, and compare the cognitive load levels through quantitative values. The study results can be utilized as basic data for more scientific approach, when Korean texts or books are developed, and an evaluation method is built, when the foreigners encounter them for learning or an assignment. Background: Based on 2014, the number of the foreign students studying in Korea was 84,801, and they increase annually. Most of them are from Asian region, and they come to Korea to enter a university or a graduate school in Korea. Because those foreign students aim to learn within Universities in Korea, they receive Korean education from their preparation for study in Korea. To enter a university in Korea, they must acquire grade 4 or higher level in the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TOPIK), or they need to complete a certain educational program at each university's affiliated language institution. In such a program, the learners of the Korean language receive Korean education based on texts, except speaking domain, and the comprehension of texts can determine their academic achievements in studying after they enter their desired schools (Jeon, 2004). However, many foreigners, who finish a language course for the short-term, and need to start university study, cannot properly catch up with university classes requiring expertise with the vocabulary and grammar levels learned during the language course. Therefore, reading education, centered on a strategy to understand university textbooks regarded as top level reading texts to the foreigners, is necessary (Kim and Shin, 2015). This study carried out an experiment from a perspective that quantitative data on the readers of the main player of reading education and teaching materials need to be secured to back up the need for reading education for university study learners, and scientifically approach educational design. Namely, this study grasped the difficulty level of reading through the measurement of cognitive loads indicated in the reading activity of each text by dividing the difficulty of a teaching material (book) into eight levels, and the main player of reading into Koreans and foreigners. Method: To identify cognitive loads indicated upon reading Korean texts with care by Koreans and foreigners, this study recruited 16 participants (eight Koreans and eight foreigners). The foreigners were limited to the language course students studying the intermediate level Korean course at university-affiliated language institutions within Seoul Metropolitan Area. To identify cognitive load, as they read a text by level selected from the Korean books (difficulty: eight levels) published by King Sejong Institute (Sejonghakdang.org), the EEG sensor was attached to the frontal love (Fz) and occipital lobe (Oz). After the experiment, this study carried out a questionnaire survey to measure subjective evaluation, and identified the comprehension and difficulty on grammar and words. To find out the effects on schema that may affect text comprehension, this study controlled the Korean texts, and measured EEG and subjective satisfaction. Results: To identify brain's cognitive load, beta band was extracted. As a result, interactions (Fz: p =0.48; Oz: p =0.00) were revealed according to Koreans and foreigners, and difficulty of the text. The cognitive loads of Koreans, the readers whose mother tongue is Korean, were lower in reading Korean texts than those of the foreigners, and the foreigners' cognitive loads became higher gradually according to the difficulty of the texts. From the text four, which is intermediate level in difficulty, remarkable differences started to appear in comparison of the Koreans and foreigners in the beginner's level text. In the subjective evaluation, interactions were revealed according to the Koreans and foreigners and text difficulty (p =0.00), and satisfaction was lower, as the difficulty of the text became higher. Conclusion: When there was background knowledge in reading, namely schema was formed, the comprehension and satisfaction of the texts were higher, although higher levels of vocabulary and grammar were included in the texts than those of the readers. In the case of a text in which the difficulty of grammar was felt high in the subjective evaluation, foreigners' cognitive loads were also high, which shows the result of the loads' going up higher in proportion to the increase of difficulty. This means that the grammar factor functions as a stress factor to the foreigners' reading comprehension. Application: This study quantitatively evaluated the cognitive loads of Koreans and foreigners through EEG, based on readers and the text difficulty, when they read Korean text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for making Korean teaching materials or Korean education content and topic selection for foreigners. If research scope is expanded to reading process using an eye-tracker, the reading education program and evaluation method for foreigners can be developed on the basis of quantitative values.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알고리즘을 활용한 음성신호 중 비음성 구간 탐지 모델 연구 (A Study on a Non-Voice Section Detection Model among Speech Signals using CNN Algorithm)

  • 이후영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33-39
    • /
    • 2021
  • 음성인식 기술은 딥러닝과 결합되며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특히 음성인식 서비스가 인공지능 스피커, 차량용 음성인식, 스마트폰 등의 각종 기기와 연결되며 음성인식 기술이 산업의 특정 분야가 아닌 다양한 곳에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해당 기술에 대한 높은 기대 수준을 맞추기 위한 연구 역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중에서 자연어처리(NLP, Natural Language Processing)분야에서 음성인식 인식률에 많은 영향을 주는 주변의 소음이나 불필요한 음성신호를 제거하는 분야에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이미 많은 국내외 기업에서 이러한 연구를 위해 최신의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고 있다. 그중에서 합성곱신경망 알고리즘(CNN)을 활용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합성곱 신경망을 통해서 사용자의 발화구간에서 비음성 구간을 판별하는 것으로 5명의 발화자의 음성파일(wav)을 수집하여 학습용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합성곱신경망을 활용하여 음성 구간과 비음성 구간을 판별하는 분류 모델을 생성하였다. 이후 생성된 모델을 통해 비음성 구간을 탐지하는 실험을 진행한 결과 94%의 정확도를 얻었다.

이러닝 활용 다문화교육에 대한 결혼이민자의 수요 분석 및 지원 방안 (Support plan and analysis of demand for multicultural education using e-learning by marriage immigrants)

  • 안성훈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131-142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학력이 낮은 결혼이민자들에게 이러닝을 통하여 학력을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였다. 현재 한국은 남아 선호 사상에 따른 성비 불균형과 한국 여성들의 농.산.어촌 생활 기피로 외국인과 결혼하는 한국 남성들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한국 정부에서는 결혼이민자에게 한국어교육과 직업교육을 비롯한 다양한 사회 적응 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나 결혼이민자의 대부분은 가정 및 직장 생활의 부담 때문에 제대로 교육을 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결혼이민자들에게 이러닝을 통해 한국어교육과 직업교육을 실시하는 방안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결혼이민자들의 이러닝을 통한 다문화교육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결혼이민자들은 대부분 이러닝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출신 국적과 거주지역에 따라 원하는 교육내용에 대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이러닝 교육과정을 국적별로 편성하고 지역의 실정에 맞게 운영할 수 있는 방안, 이러닝 교육내용을 한국어교육 중심으로 편성하는 방안, 결혼이민자들의 장점을 살릴 수 있는 직업교육 마련 방안 등의 결혼이민자에 대한 이러닝 지원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와 같은 본 연구의 결과는 결혼이민자들이 우리 사회의 소외계층으로 전락하지 않고 당당한 일원으로 정착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한국인 영어 학습자의 작업 기억 용량과 영어 어휘 수준 및 듣기 능력 관계 연구 (A Relationship Between Korean EFL Learners' Working Memory Capacity, English Vocabulary Size, and Listening Competence)

  • 이고은;최선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365-370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EFL 학습자의 작업 기억과 영어 어휘 및 듣기 능력의 관계를 조사하는 것이다. 한국의 한 대학교에 재학 중인 30명의 영어 교육 전공자들이 본 연구에 참여했다. 참가자의 작업 용량을 측정하기 위해 거꾸로 숫자 폭 과업과 작업 폭 과업을 사용하였으며, 이들의 영어 어휘 수준 및 듣기 능력은 '듣기 어휘 수준 시험(LVLT)'과 '미시건 영어 시험(MET)'을 각각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데이터 분석 결과, 대학생 참가자들의 작업 기억 저장 용량은 매우 다양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작업 기억 저장 용량이 클수록 영어 입력 정보를 더 잘 처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작은 규모의 동질적인 연구 참가자들의 특성으로 인해 작업 기억 용량, 영어 어휘 수준, 그리고 영어 듣기 능력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는 발견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