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ced displacement

검색결과 134건 처리시간 0.03초

알루미늄 폼으로 된 Mode III 형의 접합된 DCB 시험편에 대한 파괴 연구 (A Fracture Study on the Bonded DCB Specimen of the Mode III Type with Aluminum Foam)

  • 이정호;조재웅;전성식
    • Composites Research
    • /
    • 제28권4호
    • /
    • pp.191-196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접착제로 체결된 구조물의 접착 조인트에서의 파괴인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알루미늄 폼으로 제작한 Mode III 형 DCB 시험편들에 대하여 정적 해석 및 실험을 수행하였다. 정적 해석에서의 경우, 각 시험편 모델들은 강제 변위가 약 5 mm 진행되었을 때 최대 반력을 보였으며, 이 때 각 시험편 모델들의 최대 반력은 두께가 35 mm인 모델이 약 0.25 kN, 두께가 45 mm인 모델이 약 0.28 kN, 두께가 55 mm인 모델이 약 0.5 kN으로 나타났다. 이 해석 결과들을 입증하기 위하여 정적 실험의 경우에서 두 개의 시험편들을 택하였다. 정적 실험에서의 경우, 각 시험편들은 강제 변위가 약 5~6 mm 진행되었을 때 최대 반력을 보였으며, 각 시험편들의 최대 반력은 두께가 35 mm인 시험편이 약 0.22 kN, 두께가 45 mm인 시험편이 약 0.3 kN으로 나타났다. 도출된 결과값들을 비교하였을 때 해석과 실험의 데이터들 간에 큰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고, 따라서 별도의 실험과정 없이 해석을 통해서도 그 연구 데이터들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Mode III 형 DCB 접합구조물에서의 기계적 특성들을 체계적으로 분석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둔턱 진행 차량의 주파수응답 분석 (FRF Analysis of a Vehicle Passing the Bump Barrier)

  • 김종도;윤문철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151-157
    • /
    • 2022
  • 차량의 진행을 근사화한 외부 가진력을 고려한 강제 진동에서의 주파수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고, 다양한 가진 진폭과 주파수를 갖는 외력이 작용하면서 차량이 둔턱을 넘어갈 때에 차량에서 일어나는 주파수 영역의 진동특성을 분석하였다. 응답은 수치해석을 통하여 변위, 속도 및 가속도 등의 응답을 구하였고 이들을 FFT 처리하여 각 시간 응답의 FRF(Frequency response function) 주파수 특성을 분석하였다. 특히, 차량 고유모드와 외부 가진 모드의 발생 위치를 확실하게 비교하여 밝혔고 외부 가진력에 의한 강제진동 모델에서 변위, 속도 및 가속도의 거동과 주파수 응답함수에서의 고유모드의 위치와 주변의 가진 모드 분포 및 파워 스펙트럼, 실수부와 허수부의 FRF도 나타났으며 각 FRF에서 근접 모드 특성도 분석하였다. 외부 가진력으로 정현파의 가진력과 임펄스 가진력에 의한 둔턱 주파수를 고려하여 가정한 근사 모델에서 발생 모드를 구별할 수 있었다. 상당하는 질량, 감쇠 및 강성을 변화하는 여러 시스템에서 강제진동의 응답특성을 체계적으로 다루었다.

교량의 변위응답 추정을 위한 가속도 신호의 수치처리에 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Numerical Process of the Acceleration Signal for the Estimation of the Displacement Response of Bridges.)

  • 정진환;계만수;제순모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1999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75-282
    • /
    • 1999
  • In this study, the algorithm which can estimate displacements from the acceleration data is developed. For proving the validity of this study, the calculated displacements are compared with the measured displacements through the forced vibration tests in the laboratory. So the sampling frequency and filtering range for the estimation of the displacements are proposed. Finally, these results are applied to estimate displacements from the acceleration data obtained from the real bridge.

  • PDF

Dynamic System Analysis of Machine Tool Spindles with Magnet Coupling

  • Kim, Seong-Keol
    • International Journal of Precision Engineering and Manufacturing
    • /
    • 제3권4호
    • /
    • pp.87-93
    • /
    • 2002
  • In this study, basic concepts of magnet were introduced, and dynamic characteristics of magnet coupling were explored.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it was proposed how to analyze transverse and torsional vibrations of a spindle system with magnet coupling. Proposed theoretical approaches were applied to a precision power transmission system machined for this study, and the transverse and torsional vibrations were simulated. The force on magnet coupling was shown as a form of nonlinear function of the gap and the eccentricity. Also, the form of torque transmitted by magnet coupling was considered as a sinusoidal function. Main spindle connected to a coupling of a follower part was assumed to be a rigid body. Nonlinear partial differential equation was derived to be as a function of angular displacement. By using the equation, torsional vibration analysis of a spindle system with magnet coupling was performed. Free and forced vibration analyses of a spindle system with magnetic coupling were explored by using FEM.

강제공냉 차동식 형상기억합금 액츄에이터의 동작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ynamic behavior of bidirectional SMA Actuator with forced-cooling)

  • 정상화;김현욱;차경래
    • 한국공작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공작기계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7-52
    • /
    • 2003
  • In the recent years, as the research and the development of micro and precision machinery become active, the interest of micro actuators using SMA(Shape Memory Alloy) has been increased. The dynamic characteristic analysis of SMA is necessary for actuator application and many common researches report the material characteristics of SMA sufficiently. However, the research on dynamic characteristics is very deficient. In this paper, the helical spring are fabricated with NiTi SMA wire of high resistivity. The force, response speed, temperature, and displacement are measured by digital force gauge, infrared thermometer, and laser displacement sensor so that the dynamic characteristics of this SMA is analyzed. Also, bidirectional actuator was fabricated and experimented fir its performance.

  • PDF

광 파이버 변위 센서를 이용한 주축 모니터링 시 나타나는 런아웃 특성에 대한 실험적 고찰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Runout Characteristics of Spindle State Monitoring Using an Optical Fiber Displacement Sensor)

  • 신우철;박찬규;정택구;홍준희;이동주
    • 한국공작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공작기계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72-477
    • /
    • 2003
  • Spindle state monitoring is getting more and more important according to the technology trend of spindle that is accurate and automated. Spindle state monitoring is to measure the state of rotation vibrations. The spindle rotation error motion detected by sensing device includes rotation object's unbalance, external forced vibrations, shape error of spindle, as well as measuring error of monitoring device. In this paper, we have inspected the runout characteristics. Also, we introduce the way to exclude the runout element that appear while you monitor a spindle state.

  • PDF

Seismic response control of irregular asymmetric structure with voided slabs by distributed tuned rotary mass damper devices

  • Shujin Li;Irakoze Jean Paula;Ling Mao
    • Earthquakes and Structures
    • /
    • 제25권6호
    • /
    • pp.455-467
    • /
    • 2023
  • This study focuses on demonstrating the effectiveness of vibration control of tuned rotary mass damper (TRMD) for reducing the bidirectional and torsional response of the irregular asymmetric structure with voided slabs under earthquake excitations. The TRMD arranged in plane of one-story eccentric structure is proposed as a distributed tuned rotary mass damper (DTRMD) system. Lagrange's equation is used to derive the equations of motion of the controlled system. The optimum position and number of TRMD are numerically investigated under harmonic excitation and the control effects of different distributions are discussed. Furthermore, a shaking table test is conducted under different excitation cases, including free vibration, forced vibration and seismic wave to investigate the absorption performance of the device. The numerical simulations of different distributions of the TRMDs show that the DTRMDs are more effective in reduction of the displacement response of the asymmetric structure under the same mass ratio, even when the degree of eccentricity becomes large. However, with small degree of eccentricity, the unreasonable asymmetrical arrangement may cause the increase of the peak value of the rotational angular displacement. Finally, the experimental investigations exhibit similar results of translational displacement of the structure. It is concluded that the vibration of the irregular asymmetric structure can be controlled more economically and effectively by reducing the mass ratio through reducing the quantity of TRMDs at the high stiffness end.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지반 공동 및 이완영역 모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imulation of Cavity and Relaxation Zone Using Finite Element Method)

  • 유승경;김주봉;한중근;홍기권;윤중만;이강일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6권4호
    • /
    • pp.67-74
    • /
    • 2017
  • 지반 공동 발생으로 인한 지반함몰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서는 발생된 공동 주변 지반의 이완영역에 대한 역학적 특성 평가와 더불어 이에 상응하는 적합한 보강 대책을 신속히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지중 공동 주변의 이완영역 발생에 대한 메커니즘 분석을 위해 유한요소 수치해석을 실시하였다. 수치해석에서는 지중 공동과 이완영역을 모사하기 위해 강제변위법을 적용하였으며, 수치해석 결과는 실내모형실험을 수행한 기존 연구 결과를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유한요소 수치해석 결과로부터 토사 유실로 인한 공동 주변 지반의 간극비 분포 특성을 파악하였으며, 전단응력 감소 특성을 분석하여 이완영역의 범위를 정량적으로 제시하였다.

하수관거 파손폭과 토피고를 고려한 지중 공동 및 이완영역 발생 규모에 관한 수치해석적 연구 (A Numerical Study on the Occurrence Scope of Underground Cavity and Relaxation Zone Considering Sewerage Damage Width and Soil Depth)

  • 유승경;안희철;김영호;한중근;홍기권;박정준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5권1호
    • /
    • pp.43-53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하수관거 파손에 따른 토사 유실로 인해 발생되는 지중 공동 및 이완영역의 규모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하수관거 파손 폭과 하수관거 상부의 토피고 변화를 고려한 유한요소 수치해석을 실시하였다. 수치해석에서는 선행 연구에서 검증된 역학모델을 적용하였으며, 강제변위법을 이용하여 토사 유실에 따른 하수관거 파손부 주변지반의 역학적 거동을 모사하였다. 수치해석 결과로부터 파손 폭 및 토피고 변화에 따른 모형지반의 간극비 분포, 지표면 침하, 전단응력 분포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지중의 전단응력 감소 특성을 분석하여 지중 공동 및 이완영역의 경계를 결정하였으며, 파손 폭과 토피고 변화에 따른 공동 및 이완영역의 발생 규모를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