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age crop

검색결과 659건 처리시간 0.038초

남부지역 논에서 사료맥류, 조생종 벼 및 하파귀리를 활용한 삼모작 작부체계 연구 (Study of the Use of Winter Forage Crops, Early Maturing Rice and Summer Oats in Triple Cropping Systems at Paddy Field in Southern Region)

  • 송태화;박태일;박형호;조상균;오영진;장윤우;노재환;박광근;강현중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227-233
    • /
    • 2014
  • 이 연구는 남부지역 논에서 동계 사료맥류, 하계 조생종 벼, 추계 하파귀리 등 삼모작 재배기술을 확립하기 위해실시하였다. 월동 사료작물을 조생종 벼인 조평벼의 이앙시기에 맞춰 4월 30일 1차 수확한 처리구와 사료맥류의 수확기인 5월 30일에 수확한 처리구 모두 곡우호밀이 각각 생초수량 32.0톤/ha과 42.3톤/ha, 건물수량이 5.8톤/ha과 16.5톤/ha로 다른 작물에 비해 높은 수량을 보였다. 하계 조평벼는 5월 6일에 1차 이앙한 처리구보다 6월 4일에 2차 이앙한 처리구에서 등숙비율이 떨어지고 수량도 약 22% 감소하여 조기 이앙이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틈새작물로 재배한 하이스피드 귀리는 8월 28일에 1차 파종한 귀리는 10월 10일에 출수하였지만 9월 2일에 입모중으로 2차 파종한 귀리는 출수도 하지 못하였으며 1차 파종에 비해 건물수량과 TDN 수량 모두 50%를 못 미치는 결과를 나타내어 파종이 빠를수록 유리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남부지역에서 삼모작을 하기 위해서는 호밀을 재배하여 4월 30일 전에 수확한 후 조평벼의 조기 이앙과 하이스피드 귀리의 적기 파종이 쌀 수량과 조사료 수량 확보에 유리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동계사료작물 사일리지를 첨가한 TMR 급여가 흑염소의 사료섭취량, 영양소 소화율 및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eding Total Mixed Rations Containing Different Winter Forage Crop Silages on Feed Intake, Nutrient Digestibility and Blood Characteristics in Korean Black Goats)

  • 정기웅;조익환;황보순;이성훈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89-398
    • /
    • 2009
  • 본 연구는 동계사료작물 사일리지를 첨가한 TMR을 급여하였을 때, 흑염소의 사료 섭취량, 일당 증체량, 영양소 소화율 및 질소 축적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흑염소에 대한 동계사료작물의 사료가치 평가의 자료로 이용하고자 실시하였다. 공시가축은 흑염소 12두(♂)를 4처리구(T1: 청보리 사일리지 첨가구, T2: 유채사일리지 첨가구, T3: 호밀 사일리지 첨가구 및 T4: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사일리지 첨가구)로 나누어 처리구당 3두씩 개체별 대사케이지 에 라틴방각법으로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일 두당 건물, 유기물 및 조단백질 섭취량은 유채 사일리지 첨가구가 가장 높았고, 청보리 사일리지 첨가구가 가장 낮았다(p<0.05). 조단백질 및 ADF 가소화 섭취량 또한 유채 사일리지 첨가구가 가장 높았다(p<0.05). 1일 증체량은 유채 사일리지 첨가구, 호밀 사일리지 첨가구 및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사일리지 첨가구가 청보리 사일리지 첨가구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건물, 조단백질 및 섬유소 소화율은 청보리 사일리지 첨가구가 가장 높았으며, 유채 사일리지 첨가구가 유의하게 낮았다(p<0.05). 질소섭취량과 질소축적율은 유채 사일리지 첨가구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청보리 사일리지 첨가구가 가장 낮았다(p<0.05). 이러한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동계사료작물 중 유채 사일리지 첨가시 사료 섭취량 및 질소 축적율 증가로 인해 흑염소의 생산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Effect of Harvesting Time on Hay and Haylage Feed Value and Quality of Triticale (X Triticosecale Wittmack)

  • Jisuk Kim;Kyungyoon Rha;Myoung Ryoul Park;Yul-Ho Kim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22-322
    • /
    • 2022
  • Hay and haylage as forage are increasing in preference for cattle feed. Triticale (X Triticosecale Wittmack) is growing up as a forage crop due to its high production and feed value in South Korea.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the harvesting stage of triticale for producing hay or haylage with the highest forage value and quality because feed and nutritional value by growth stages of triticale were not known in South Korea yet. In this study, we analyzed forage values, pH, and contents of organic acid, to confirm feed value and quality by growth stages of triticale. The triticale 'Joseong' was sown in the spring of 2022. The sample was prepared in 5 stages: seedling stage, booting stage, heading stage, 10 days after heading, and 20 days after heading. The triticale was dried under 10% and to about 50% moisture for hay and haylage respectively, and then both triticales were fermented anaerobically at room temperature for 40 days. The pH value in all hay and haylage became lower as the triticale was grown up, although the pH value of all triticale hays and haylages ranged between 7.05-5.68. The content of lactic acid in all triticale hays was almost meaningless. The contents in the haylage of the seedling stage were the highest (2.39%) among the haylages, even though those of 20 days after the heading stage (1.67%) were the lowest, which showed a similar tendency with pH value. Conclusionally, the results implied that the feed value and quality of triticale haylage were affected by harvesting time but not hay.

  • PDF

Effects of Sowing and Harvesting Time on Feed Value and Quality of Triticale (X Triticosecale Wittmack)

  • Jisuk Kim;Kyungyoon Rha;Myoung Ryoul Park;Yul-Ho Kim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44-144
    • /
    • 2022
  • The amount of required forage is increasing by 20% every year in South Korea, but the cultivation area for forage production is limited. The yield ability of triticale forage is the highest among the winter forage crops including rye and the crop has cold tolerance within the average low temperature of -10℃ in January.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effects of sowing and harvesting times on feed value and quality for efficiently using and supplying triticale as livestock feed. Seed of the triticales, 'Joseong' was sown in 2021 fall (October) and 2022 spring (March). The triticales were harvested according to growth stages: seedling stage, booting stage, heading stage, 10 days after heading, and 20 days after heading. Moisture contents of each harvested triticales were adjusted to about 60%, and then the triticales were fermented for 40 days at room temperature under anaerobic conditions as silage. We have analyzed pH and organic acid to determine the feed value and quality of each silage. The contents of lactic acid in silage ofthe triticale harvested at the seedling stage of both fall and spring-sown (1.61%, 1.63%) were the highest among all of the silages; the booting stage (0.75%, 1.33%), the heading stage (0.50%, 0.69%), 10 days after the heading stage (0.31%, 0.42%), and 20 days after heading stage (0.22%, 0.40%). Such as the contents of lactic acid in the silages, and the pH value of the silages The pH value in both the fall- and spring-sown became lower as the triticale was grown up: seedling stage (7.05, 6.85), booting stage (6.21, 6.75), heading stage (6.18, 6.28), 10 days after heading stage (6.22, 6.17), and 20 days after heading stage (6.15, 5.81). Taken together,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eed value and quality of triticale silage were more affected by harvesting time than sowing time.

  • PDF

2002년 사료작물 수입적응성 인증품종의 생육기성 및 수동성 1. 조숙 양질 다수성 사료작물 옥수수 교잡종 “DK 537” (Characteristics and Yield of Recommended Cultivars by Imported Forage Crop Regional Yield Trials in 2002 I. Early Maturing, Good Qualify, and High Yield of Forage Corn Hybrid, “DK 537)

  • 성병렬;최기준;임용우;임영철;박근제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47-252
    • /
    • 2002
  • “DK 537”has been selected by forage crop breeding team at the National Livestock Research Institute(NLRI), RDA and has been determined by the Deliberative Council of the National Agricultural Cooperative Federation(NACF) in 2002, as a new recommended hybrid which is early maturing, good quality and hi호 yield of corn for silage. The characteristics of this hybrid are as follows ; 1. The seed coat is yellow and the mean of tasseling date is 5th of July, included in early maturing hybrid which is one day delayed than check cultivar, DK 501. The culm length is 246cm. It is resistant to lodging because of its low height from surface to ear. 2. DK 537 shows resistance to H. maydis and Maize Black-Streaked Dwarf Virus(MBSDV). It also shows strength to corn borer as much as DK 501 does. 3. Fresh yield. dry matter yield. and TDN per a ha are 50 tons, 16.9 tons, and 11.4 tons respectively. which are almost same yielding level of DK 501. Its percent ear to total dry matter is 50.8% at the same time. Through all these tests, we could make sure at DK 537 hybrid will be recommended as good forage crop.

Effect of Lactic Acid Bacteria Inoculation o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Whole Crop Barley Silage

  • Srigopalram, Srisesharam;Ilavenil, Soundharrajan;Vijayakumar, Mayakrishnan;Park, Hyung Soo;Lee, Kyung Dong;Choi, Ki Choon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01-206
    • /
    • 2015
  • An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homofermentative activity of Lactobacillus plantarum KCC-10 and KCC-19 on the ensiling of whole crop barley (WCB). The crude protein in the silages was slightly higher in the KCC-10 and KCC-19 treatments compared to the control,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inoculant-treated silages. Nutrient parameters such as acid detergent fiber, neutral detergent fiber and in vitro dry matter digestibility in L. plantarum KCC-10 and KCC-19 treated silages did not differ from those in the control silage. The lactic acid content increased in KCC-10 and KCC-19 treated silage when compared with the control silage but the contents of acetic acid and butyric acid produced in KCC-10 and KCC-19 treated silages were similar with the control silage. Further, the number of lactic acid bacteria (LAB) in KCC-10 treated silage demonstrated a significant increase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Especially, KCC-19 treated silage showed greater lactic acid bacterial growth potential. Other microbes such as yeast and fungi were not detected in KCC-10 and KCC-19 treated WCB silages. Henc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addition of L. Plantarum KCC-10 and KCC-19 to the WCB silage can improve fermentation quality for the production of high-quality silage.

강원 영서지역에서 겨울 및 여름 사료작물 이모작 시 생산성 (Double Cropping Productivity of Winter and Summer Forage Crops in Yeongseo of Gangwon Province)

  • 손범영;원용재;김성국;김민태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71-76
    • /
    • 2021
  • 본 시험은 강원 영서지역에서 겨울사료작물(IRG 및 트리티케일)과 여름사료작물(사료용 벼) 이모작 시 양질 조사료의 최대 수량 생산 작목조합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하였다. 겨울사료작물의 건물률은 IRG '코윈어리'가 평균 29.6%로 트리티케일 '조성'의 평균 35.5%보다 낮았다. 평균 생체수량은 '코윈어리'가 2,662kg/10a, '조성'이 2,836kg/10a로 두 작목 간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평균 건물수량은 트리티케일 '조성(996kg/10a)'이 IRG '코윈어리'(696kg/10a)보다 많았다. 여름사료작물인 사료용 벼의 건물률은 '조농'이 평균 34.5%, '조우'가 평균 35.0%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평균 생체수량은 '조우'가 5,367kg/10a로 '조농'의 3,966kg/10a보다 많았다. 또한 평균 건물수량도 '조우(1,936kg/10a)'가 '조농(1,433kg/10a)'보다 많았다. 겨울사료작물인 트리티케일 '조성'을 10월 중순에 파종하여 이듬해 5월 하순에 수확한 후 여름사료작물인 사료용 벼 '조우'를 6월 상순에 이앙하는 조합으로 2,982kg/10a의 최대 건물 생산량을 얻을 수 있었다.

수확이 빠른 조숙성 조사료용 월동귀리 '하이어리' ('Hi-early', Early Heading and Harvestable Winter Forage Oats Cultivar)

  • 박태일;김양길;박형호;오영진;박종철;강천식;박종호;정영근;김경호;최규환;홍기흥;채현석;구자환;안종웅;한옥규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6-22
    • /
    • 2018
  • '하이어리'는 월동이 가능하면서 수확이 빨라 답리작 재배가 가능한 조숙성 귀리 품종을 개발하기 위해서 2016년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에서 육성되었다. 잡종은 2004년 '517 A2-121(IT133383)'에 'CI7604(IT133379)'을 인공 교배하여 작성되었으며, 집단 및 계통 선발에 우량계통인 'SO2004015-B-B-23-1-3-7'을 선발하였다. 이 계통은 2012년부터 2013년까지 2년간 생산력검정시험을 실시하였으며, 월동재배가 가능한 조사료용 귀리로 우수한 계통으로 판명되어 '귀리92호'로 계통명을 부여하고 지역적응시험에 상정하였다. 지역적응시험은 2014년부터 2016년까지 3년간 제주, 예산, 익산, 전주 등 4개 지역에서 실시하였다. 이 계통은 2016년 9월 신품종으로 선정되었으며, 그 특성은 다음과 같다. 귀리 품종 '하이어리'는 녹색 잎, 갈색의 종실을 가졌다. 출수기는 전국 평균 4월 26일로 표준품종인 '삼한'보다 9일 빨랐다. '하이어리'의 내한성은 '삼한'과 대등하였고, 도복은 약간 약했다. 건물수량은 ha당 평균 14.2톤으로 14톤인 '삼한'에 비해 약간 많았다. '하이어리'는 조단백질 함량이 6.2 %, 가소화양분총량(TDN)이 61.0 %로 '삼한'(각각 7.0 %, 62.5 %)에 비해 다소 낮았으나 TDN 수량은 ha당 7.91톤으로 7.64톤인 '삼한'보다 0.27톤 많았다. '하이어리'의 적응지역은 1월 최저평균기온이 $-6^{\circ}C$ 이상인 지역이면 전국 어느 곳에서나 재배가 가능하며, 특히 겨울작물의 조기수확이 필요한 벼 이모작 지대에서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