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age Mineral

검색결과 137건 처리시간 0.02초

산지경사도(山地傾斜度) 및 3요소(要素) 시용수준(施用水準)이 초지토양(草地土壤) 및 목초중(牧草中) 무기양분(無機養分)의 상호균형(相互均衡)과 Grass Tetany 위험성(危險性)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Different Levels of Hilly Inclination and Nitrogen, Phosphorus and Potassium Application Rate on the Mutual Balances of Mineral Nutrients in Pasture Soils and Mixed Forages, and the Grass Tetany Hazard in a Mixed Grass-Clover Sward)

  • 정연규;이종열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31-238
    • /
    • 1986
  • 산지(山地)의 경사도(傾斜度)($10^{\circ}$, $20^{\circ}$, $30^{\circ}$) 및 3요소(要素) $N-P_2O_5-K_2O$ (0-0-0, 14-10-10, 28-25-25, 42-40-40kg/10a) 수준(水準)이 겉뿌림 산지초지(山地草地)(orchardgrass, tall fescue, redtop, ladino clover 혼파(混播))의 조성(造成), 생산성, 식생(植生) 및 목초품질등(牧草品質等)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하였다. 본교(本橋)에서는 토양(土壤) 및 목초중(牧草中) 무기양분(無機養分)의 함량(含量) 및 상호비율(相互比率)을 grass tetany 발생위험성(發生危驗性)과 연관(聯關)하여 검토(檢討)하였다. 1. 토양중(土壤中) 치환성(置換性) Mg 함량(含量)이 낮고, CEC, K, Ca에 대한 Mg 비율(比率)이 부적합(不適合)하여 목초(牧草)의 정상생육(正常生育)에 불리(不利)하였고, tetany 발생(發生) 가능도(可能度)를 높여주는 조건(條件)이였다. 이는 경사도(傾斜度) 및 3요소시용수준(要素施用水準)이 증가(增加)된 토양(土壤)일수록 더욱 불량(不良)한 조건(條件)이 되었다. 2. tetany발생(發生)이 가능(可能)한 조건(條件)(목초중(牧草中) Mg 함량(含量) < 0.2%, K > 2.5%, K/(Ca+Mg)당량비(當量比) > 2.2)과 비교(比較)할때 Mg함량(含量)은 0.09~0.14%, 3요소(要素) 보비수준시(普肥水準時) K 함량(含量) 2.6% 및 K/Ca+Mg 당량비(當量比) 2.5를 보였다. 일반적(一般的)으로 경사도(傾斜度) 및 3요소(要素) 시용수준(施用水準)이 증가(增加)할수록 tetany 발생(發生) 위험성(危驗性)이 높아지는 불리(不利)한 지성(持性)을 나타내었다. 3. 산지초지(山地草地)의 토양(土壤) 및 목초중(牧草中) Mg 함량(含量) 및 염기간(鹽基間)의 상대비(相對比)가 목초생육(牧草生育) 뿐만 아니라 가축건강유지(家畜健康維持)에 부족(不足)한 수준(水準)이었으며 경사도(傾斜度) 및 3요소(要素) 시용수준(施用水準)이 증가(增加)할수록 Mg 시비(施肥)와 방목우(放牧牛)에 별도(別途)의 Mg 염(鹽)의 공급(供給)이 필요(必要)하였다. 4. 목초중(牧草中) Ca/P비율(比率)은 경사도별(傾斜度別) 차이(差異)는 없으나 3요소(要素) 시용수준(施用水準)이 증가(增加)할수록 낮아지며 그 범위(範圍)는 평균(平均) 1.0~2.0을 나타내었다.

  • PDF

논토양에서 재배한 청보리 품종의 사료가치 비교 연구 (Study on Nutritive Values of Whole Crop Barley Varieties Grown in a Paddy Field)

  • 이상무;김은중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30-38
    • /
    • 2013
  • 본 연구는 국내에서 많이 재배되고 있는 청보리 품종을 논토양에 재배한 후, 생육특성, 화학적 특성, 무기물함량 및 영양수량을 검토하여 사료적 가치를 파악하고 이용에 유리한 품종을 선발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실험설계는 5품종(유연, 영양, 우호, 다미, 소만)을 3반복으로 하여 2009년 10월 21일 파종하고 이듬해 5월 21일 전 품종이 유숙기에 도달하였을 때 수확하였다. 건물수량은 영양과 다미가 높게 나타난 반면 유연이 낮은 생산량을 나타냈다(p<0.05). 일반성분에 있어서 조단백질, 조지방, 조회분, ADF 및 TDN 함량은 품종들 간 유의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조섬유 함량은 다미(36.0%)가 가장 높게, 영양 (31.4%)이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p<0.05), NDF 함량은 우호 > 다미 > 소만 > 유연 > 영양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총 무기물 함량은 영양 > 우호 > 다미 > 소만 > 유연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그리고 총 아미노산 함량은 우호 > 영양 > 소만 > 유연 > 다미 순으로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었으나 유의적이 차이는 없었다. 영양수량에 있어서 조단백질 생산량은 우호가 가장 높게(p<0.05), 무기물, 구성아미노산, 유리당 및 TDN 수량은 영양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영양과 우호 품종이 생산성 및 사료가치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논 토양에서 사일리지용 옥수수 재배시 배토시기가 생육특성 및 영양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idging Times on Agronomic Characteristics, Yield and Feed Value of Corn Hybrid for Silage in Paddy Field Cultivation)

  • 이상무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65-274
    • /
    • 2012
  • 본 연구는 사일리지용 옥수수를 파종 한 후 7엽기, 8엽기, 9엽기 및 10엽기에 각각 배토작업을 실시하여 무배토 처리구와 생육특성, 수량성 및 화학적 특성을 비교 검토하여 배토 효과 및 배토처리 시기에 따른 증수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배토처리구들(T1, T2, T3 및 T4)은 무배토구(C)에 비하여 건물수량, TDN 수량이 증수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p<0.01), 배토시기(T1, T2, T3 및 T4)에 따라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배토구들은 무배토구에 비하여 조단백질 함량은 증가하고 NDF 함량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무기물 및 구성아미노산 함량에 있어서도 무배토구에 비하여 배토를 실시한 구에서 높게 나타났다(p<0.05, p<0.01). 그러나 무기물에 있어서는 배토시기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구성아미노산에 있어서는 7엽기에 배토를 실시한 T1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건물수량, TDN수량, 단백질함량, 무기물함량 및 구성아미노산 함량을 종합해 볼때, 무배토에 비하여 배토처리가 증수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배토시기에 있어서는 10엽기에 배토를 실시한 T4구가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근적외선분광법을 이용한 수입건초의 Ca과 P 함량 예측 (Predicting Calcium and Phosphorus Concentrations in Imported Hay by near Infrared Reflectance Spectroscopy)

  • 이배훈;김지혜;오미래;이기원;박형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29-34
    • /
    • 2021
  • 본 연구는 근적외선분광법을 활용한 조사료의 Ca과 P 함량의 분석 가능성을 검토하고 예측 정확성이 높은 검량식을 개발하기 위하여 전국 건초 수입상, TMR 회사와 축산 농가에서 수집한 수입 화본과와 두과 목건초 392점 중에서 무작위로 126점을 선택하여 검량식 개발에 이용하였다. 선택된 시료는 시료측정 전처리 방법을 생시료 처리와 건조분쇄 처리구로 나누어 근적외선 스펙트라를 측정하고 근적외선 파장대역을 가시영역, 근적외선, 전파장영역으로 구분하여 검량식을 개발하여 예측 정확성을 평가하였다. 수입건초의 Ca과 P 함량에 대한 예측 정확성은 시료 전처리 방법과 파장대역별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시료전처리 방법은 건조하여 분쇄하는 방법과 파장대역별로는 근적외선 파장(1,100~2,500 nm)대역에서 예측 정확성이 높게 나타났다. 수입건초의 Ca 함량 예측 정확성은 근적외선 파장대역에서 건조분쇄 측정이 SEC 292.3 mg/kg(R2=0.99)와 SECV 468.6 mg/kg(R2=0.98)로 가장 정확한 예측능력을 나타냈다. 수입건초의 P 함량은 근적외선 파장대역에서 건조분쇄 측정이 SEC 204.4 mg/kg(R2=0.91)과 SECV 224.7 mg/kg(R2=0.89)로 가장 정확한 예측능력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근적외선분광법을 이용하여 조사료의 주요 광물질인 Ca과 P 함량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분석이 가능하였으며, 시료 측정시 건조하여 분쇄하는 전처리 방법과 근적외선 파장대역에서 검량식을 개발하는 것이 예측 정확성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방목 초지에서 우분퇴비 시용이 목초의 무기성분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attle Manure Application on Mineral Contents of Glazing Pasture)

  • 황경준;박형수;박남건;정하연;고문석;김문철;송상택;김대운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37-42
    • /
    • 2009
  • 본 시험은 2003년부터 2005년까지 방목 혼파 초지에 우분퇴비 시용에 따른 사초의 무기성분 함량변화를 구명하기 위하여 난지농업연구소 조사료포장에서 수행되었다. T1) 화학비료 100 %, T2) 화학비료 50%+퇴비 50%, T3) 화학비료 25%+퇴비 75%, T4) 퇴비 100%, T5) 퇴비100% (1년차) +화학비료 100% (2년차) +퇴비 100%(3년차), 76) 퇴비 100%(1년차)+화학비료 100%(2년차)+화학비료 100%(3년차)로 처리를 두어 우분퇴비 시용이 혼파초지의 다량무기 성분 함량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연간 총 건물수량을 비교해보면 시험1년차에는 T1 처리구가 11,342kg/ha, 시험2년차에는 T5 처리구가 13,468kg/ha, 3년차는 T6 처리구가 10,724kg/ha로 가장 높은 수량을 보였으며 시험기간 동안 평균 건물수량은 화학비료구가 11,486kg/ha으로 가장 높은 건물생산성을 보였지만 처리 간 유의성은 없었다. 식물체의 다량무기물 함량은 목초의 K 함량에서 T4(우분획비 100%구) 처리구에서 높았으며(p<0.05), 년차가 진행될수록 함량이 다소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식물체의 Ca 함량도 T3 (화학비료 25% +우분퇴비 75%구) 처리구에서 3년 모두 일정하게 다른 처리보다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 차가 인정되었다(p<0.05). 목초의 Ca 및 Mg 함량은 모든 처리 일정하게 조사기간 3년 동안 2003년에 가장 높았고 2005년, 2004년 순으로 함량이 감소되었다. 목초의 Na 함량은 모든 처리 일정하게 Ca과 Mg 함량과 반대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우분퇴비의 시용은 목초내 다량무기성분에 있어서 결핍이나 과다함유되지 않았으며, 가축이 섭취하는 데 있어 안전하다고 사료된다.

방목이용과 채초이용시 나타나는 목초중 칼리 및 마그네슘 함량의 계절변화 (Seasonal Variation of Potassium and Magnaesium Contents of Forage Plant Grown in Grazing Pasture and Meadow)

  • 김상덕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27-35
    • /
    • 1990
  • 초지에 있어서 칼리(K)의 동태 및 반구동물의 마마그네슘(Mg) 출납에 관한 연구의 한 부분으로서, 목초중 칼리 및 마그네슘 함량의 수절에 따른 변화를 알아보기 위한 시험을 봄부터 가을(4월-11월)의 기간동안 방목지와 방목지내 채초이초지(이하 채초지)에서 실시했다. 년간 2회에 걸쳐 가축의 방목을 행한 방목지에서 월별로 시료를 취한 뒤 초종별로 나누지 않고서 전 직물체(목초 및 야초)의 칼리와 마그네슘함량을 조사했으며(시험 1), 채초지에서는 방목지보다 많은 양의 칼리 사료를 사용하여 년간 5회에 걸쳐서 시험구의 실물체를 모두 예취한 후 구성초종별로 나누어서 초종별 우점도 및 칼리와 마그네슘함량을 조사했는데(시험 2), 얻어진결과는 다음과 같다. 1.오차드그라스(Dactylis glomerata L.) 가 우점된 방초지(오차드그라스 방목시)에서의 직물체중 칼리 함량은 봄에 가장 높았으며, 칼리함량의 계절별화(1.5-5.8%)도 돌페스큐(Festuca arundinacea S촉듀.) 방목지에서의 계절변화(3.0-3.8%)보다 뚜렷했다. 2. 오차드그라스 방목지에서의 식물체중마그네슘 함량은 4월-7월에는 건물 1g당 2.0mg보다 낮았으나 그 이후 2.0mg보다 높아졌으며 시험기간중 함량변화의 범위는 1.5-3.1mg이었다. 톨페스큐 방목지에서의 함량의 계절변화는 오차드그라스에서와 비슷하여 봄에 가장 낮고 차츰 높아졌으나 그 범용는 2.0-3.8mg으로 오차드그라스 방목지보다 높은 값을 나타냈다.(시험 1). 3. 오차드그라스 채초시에서는 파종된 목장종인 오차드그라스가 7월까지 우점하였으나 이름 (7월)부터는 야초가 많이 나타나서 가을(10월)에는 바랭이 독 야초(Digitaria adscendens H.) 및 개피(Echi-nochloa crus-galli (L.) B.)가 우점초종으로되었다. 4. 오차드그라스의 칼리함량은 건물량 기준으로 3.9-5.9%이었으며 계절별로는 봄(5월)과 가을(10월)에 높았다. 돌페스큐는 3.8-4.8%, 와이트클로버(Trifolium repen L.)는 3.6-5.0%이었으며 이탈리안 라이그라스(Lolium multiflorum Lam.)는 2.7-3.5% 이었다. 5. 목초중 마그네슘함량은 계절별로는 봄철에 가장 낮고 여름에 높은 경향이었으며, 초종별로는 화이트 클로버가 건물 1g당 2.9-3.7mg로 높았고 돌페스큐가 2.0-3.3mg 오차드그라스가 1.6-2.8mg이었으며 이탈리안 라이그라스는 1.3-1.9mg으로 가장 낮았다. 6. 야초중 칼리함량의 수절변화는 건물량 기준으로 1.7-6.3%의 범위였으며 마그네슘함량의 변화는 건물 1g당 1.6-10.1mg의 범위였다. 바랭이독 야초와 개피중 칼리함량은 가을 (10월, 11월)에 목초보다 낮아 1.7-3.9%의 범위였으나 마그네슘함량은 목초보다 높아 3.2-10.1mg의 범위였다(시험 2) 이상의 결과로부터 목초의 칼리함량은 생육단계가 낮을 때 놓았으며, 수절별로는 봄과 가을에 높았다. 목초의 마그네슘함량은 봄철에 낮아 이 시기에 무기물의 불균형이나 그라스테타니의 발생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생각되어졌으며, 시험에 공시된 초종중에서는 높은 칼리함량 또는 낮은 마그네슘함량을 갖고 있는 오차드그라스와 이탈리안 라이그라스가 돌페슈큐보다 그 발생 기능성이 높은 것으로 생각되어졌다; 한편 초지에서 가을에 목초보다 우점도가 높은 바랭이독 야초 및 개피는 칼리함량이 낮고 마그네슘함량이 높았으므로, 그 시기에 발생되는 무기물 불균형을 야기시킬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되어졌다.

  • PDF

Evaluating the effects of finishing diet and feeding location on sheep performance, carcass characteristics, and internal parasites

  • Ragen, Devon L;Butler, Molly R;Boles, Jane A;Layton, William A;Craig, Thomas M;Hatfield, Patrick G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3권3호
    • /
    • pp.545-562
    • /
    • 2021
  • A 3 yr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diet and feeding location on animal performance, carcass characteristics, whole blood counts, and internal parasite burden of lambs assigned to 1 of 4 treatments: 1) confinement fed 71% alfalfa, 18% barley pellet, 5% molasses, 0.013% Bovatec, 6.1% vitamin/mineral package diet (CALF), 2) confinement fed 60% barley, 26% alfalfa pellet, 4% molasses, 2.5% soybean-hi pro, 0.016% Bovatec, 7.4% vitamin/mineral package diet (CBAR), 3) field fed 71% alfalfa, 18% barley pellet, 5% molasses, 0.013% Bovatec, 6.1% vitamin/mineral package diet (FALF), and 4) field fed 60% barley, 26% alfalfa pellet, 4% molasses, 2.5% soybean-hi pro, 0.016% Bovatec, 7.4% vitamin/mineral package diet (FBAR). A year × location interaction was detected for ending body weight (BW), average daily gain (ADG), and dry matter intake (DMI); therefore results are presented by year. In all years, cost of gain and DMI were greater for CALF and FALF than for CBAR and FBAR feed treatments (p ≤ 0.03). In yr 2 and 3 field treatments had greater ending BW and ADG than confinement treatments. For all years, diet did not affect ending BW or ADG. In yr 1 dressing percent and rib eye area were greater for field finished lambs than confinement finished (p ≤ 0.02) and Warner-Bratzler shear force was greater for CALF and FALF (p = 0.03). In yr 2 lambs in FALF and FBAR treatments had greater leg scores and conformation than CALF and CBAR (p = 0.09). In yr 1, FALF had a greater small intestine total worm count than all other treatments. In yr 1, ending Trichostrongyle type egg counts were greater for FALF (p = 0.05). In yr 2, ending Nematodirus spp. egg counts were greater for FALF and lowest for CBAR (p < 0.01). Abomasum Teladorsagia circumcinta worm burden was greater in CALF than all other treatments (p = 0.07) in yr 2. While field finishing lambs with a grain- or forage-based diet we conclude that it is possible to produce a quality lamb product without adverse effects to animal performance, carcass quality or increasing parasite burdens.

Alfalfa-Grass 혼파초지에 대한 3요소 시비 연구 I. 질소질비료의 시용수준이 alfalfa-grass 혼파초지의 건물 및 양분수량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N , $P_2O_5$ and $K_2O$-Application in the Mixed Sward of Alfalfa-Grass I. Effect of nitrogen fertilization on dry mixed sward of alfalfa-grasses)

  • 박근제;최기준;이필상;김영진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69-174
    • /
    • 1995
  • 알팔파 혼파초지에 대한 질소비료의 시비수준이 목초의 건물 및 양분수량과 질소비료의 이용효솔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코자 시비수준을 0, 70, 140, 210 및 280kg/ha의 4처리를 난괴법 3반복으로 포장배치하여 1990년 9월부터 1993년 2월까지 축산시험장에서 시험하였다. 2년 평균 건물수량은 질소 시비수준에 따라 증가하였으나(P<0.01) N 210kg/ha 시용품의 건물수량은 10,233kg/ha로서 N 280kg/ha 시용품의 10,845kg/ha과 유의차가 없었다. 조단백질및 에너지 생산량은 질소시비수준에 따라 현저히 증가하였으며 N 140kg과 210kg/harks에서 증가폭이 더욱 컸다. 그러나 목초의 무기물 함량은 질소시비수준에 따라 인은 감소하고 마그네슘은 증가하며, K/CA+Mg당량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그 외는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질소의 이용효솔은 N 210kg/ha 시용품에서 N 1kg당 건물 21.6kg, 정미에너지(NEL) 129.3MJ, 전분당량12.3kStE 및 가소화양분총량(TDN)14.5kg로서 처리구중 가장 높았다.

  • PDF

유휴지에서 조사료 생산을 위한 적정 가축분뇨의 시용에 관한 연구 I. 액상구비의 시용시기와 무기태 질소의 첨가가 Orchardgrass의 건물수량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Optimum Rate of Cattle Slurry Application for Forage Production using Idled Arable Land. I. The effect of applying time of cattle slurry and fertilization added mineral nitrogen on dry matter yield in Orchardgrass)

  • 조익환
    • 유기물자원화
    • /
    • 제2권2호
    • /
    • pp.65-75
    • /
    • 1994
  • 본 연구는 점차 확대되어 가는 유휴지에 Orchardgrass를 재배하였을 때, 액상구비의 시용시기와 무기태 질소추가시비가 건물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연간 ha 당 120kg의 질소에 해당하는 액상구비 ($30m^3/ha$)를 2회 분할 시용으로 연간 5.62~6.67 톤(평균 6.15 ton/ha) 의 건물수량을 얻어 무비구 및 인산과 칼리시용구 보다 0.60~1.65 및 0.16 톤의 증수를 보였다. 무기태 질소를 ha당 120kg 시비하였을 때 대조구에 대한 연간 상대건물수량은 142~146%를 나타낸 반면에, 액상구비의 시용으로는 무비구에 대한 상대건물수량이 112~133%를 기록하였다. 한편 질소시용에 따른 건물생산효율 (kg DM/kg N) 은 액상구비의 시용시에 5.0~13.8의 건물을 생산하였고, 동일한 양(120kg N/ha)의 무기태 질소수준에서는 21.3~23.1kg DM/kg N을 나타내었다. 본 실험의 조건에서 화학비료를 최소화하면서 Orchardgrass 의 잠재생산성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액상구비를 시용한 후 무기태 질소를 추가시비한 경우로서, 이때 무기태 질소의 경제적 시비수준은 119.4~133.3kg/ha의 범위였고 경제적 한계수량은 8.48~8.63ton/ha 를 얻었으며 한계시비수준은 202.8kg/ha 에서 8.98ton/ha 의 최대건물수량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Supplementation of Dairy Cows with Nitrogen Molasses Mineral Blocks and Molasses Urea Mix during the Dry Season

  • Plaizier, J.C.B.;Nkya, R.;Shem, M.N.;Urio, N.A.;McBride, B.W.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2권5호
    • /
    • pp.735-741
    • /
    • 1999
  • The effects of supplementation with nitrogen molasses mineral blocks and molasses urea mix during and immediately prior to the dry season on the production of dairy cows were studied on-station and on-farm near Morogoro, Tanzania. Supplementation of blocks to on-station cows also receiving ad libitum grass hay and 6 kg/d of maize bran increased milk production from 6.7 L/d to 11.2 L/d (p<0.05), increased dry matter intake from 10.1 kg/d to 12.0 kg/d (p<0.05), but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milk composition, intake of hay, and live weight changes. This increase in milk yield is mainly explained by increased intakes of energy and nitrogen. Supplementation with the molasses urea mix increased daily milk yield from 6.7 L/d to 8.8 L/d (p<0.05), but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other measured production parameters. The on-farm supplementation of the blocks increased daily milk yield by 1.5 L/d in the dry season (p<0.05). This supplementation did not increase milk yields prior to the dry season, since quality forage was still available. Taking the production costs into account, supplementation with the blocks and supplementation with mix were cost effective if milk yields increased by 0.7 L/d. Hence supplementation with blocks and supplementation with mix were effective on-station, and supplementation with blocks was cost effective on-farm during the dry seas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