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Footprint

검색결과 432건 처리시간 0.038초

결정질 실리콘 태양광시스템의 물 발자국 산정에 대한 연구 (Analysis on the Water Footprint of Crystalline Silicon PV System)

  • 나원철;김영환;김경남;이관영
    • 청정기술
    • /
    • 제20권4호
    • /
    • pp.449-456
    • /
    • 2014
  • 기후변화로 인한 국지적인 이상가뭄 빈발 및 물수지 관련 불확실성 증가 등으로 각국에서는 사용가능한 담수량 확보, 즉 물안보 문제가 크게 대두되고 있다. 사용가능한 담수량 중 상당부분이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 분야에도 사용되기 때문에 그 중요성이 점차 증대하고 있다. 신재생에너지원인 태양광발전은 설비제조, 설치 및 운전의 전 과정(life cycle)에서 수자원을 소비하지만 전통적인 에너지원인 화력발전이나 원자력발전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수자원을 적게 사용한다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태양광시스템의 원료채취부터 운영발전까지 물 사용량을 알아보기 위해 전 과정의 물 발자국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분석했다. 물 발자국 산정결과 태양광시스템의 전체 물 발자국은 $0.989m^3/MWh$이며, 폴리실리콘과 태양전지 공정에서 물 발자국이 높게 나타났다. 폴리실리콘 공정은 에너지 다소비 공정이기 때문에 냉각수 사용량이 많았고 태양전지 공정에서는 고효율 결정질 실리콘 세척을 위한 탈 이온수(deionized water) 사용량이 많았기 때문에 물 발자국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태양광발전은 기존 에너지원보다 물 사용량이 적은 발전원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에너지 분야의 물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는 가치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향후 에너지정책 결정에 있어서 신재생에너지의 부가적인 가치로서 물 발자국 개념의 도입이 중요하다.

주요 농작물 생산과정에서의 탄소배출량 산정 및 무기화학비료의 기여도 분석 (Estimation of Carbon Footprint for Production of Main Crops and Contribution Analysis of Inorganic Chemical Fertilizers)

  • 정순철;정재우;허진호;이덕배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1279-1285
    • /
    • 2011
  • 본 연구를 통하여 우리나라 대표적인 농작물 47개의 탄소배출량을 산정하였다. 또한 농작물 생산 시 주요 요소로 투입되는 무기화학비료의 기여도 분석을 통하여 무기화학비료가 차지하는 탄소배출량을 정확하게 파악하였다. 농작물 중 시설감귤의 탄소배출량이 $5.78E+00kg\;CO_2\;eq.\;kg^{-1}$으로 47개 작물 중 가장 높았으며 시설포도 $4.61E+00kg\;CO_2\;eq.\;kg^{-1}$, 착색단고추 $4.34E+00kg\;CO_2\;eq.\;kg^{-1}$, 인삼 $4.23E+00kg\;CO_2\;eq.\;kg^{-1}$, 시설고추 $4.04E+00kg\;CO_2\;eq.\;kg^{-1}$ 순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농작물 1 kg 생산 시 발생하는 탄소배출량 중 무기화학비료의 기여도는 생산단계, 사용단계를 모두 포함하여 평균 25.19%를 차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정부의 정책, 정부 및 기업의 연구 개발을 통한 고품질 저탄소 비료 생산 보급과 같은 노력이 함께 이루어진다면 농업분야의 온실가스 감축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SDGs 연계 교육에서 예비교사들의 탄소 발자국 인식 (Carbon Footprint Awareness on Education in Connection with SDGs of the Pre-service Teachers)

  • 김윤지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46-158
    • /
    • 2021
  • 사범대학에 개설된 교양 강의를 통해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와 연계하여 지속가능발전교육(ESD)을 실시한 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SDGs 13번 목표인 '기후변화 대응'과 연계하여 설계된 수업에서 42명의 예비교사들이 표출한 탄소 발자국(carbon footprint)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였다. 예비교사들은 일상생활에서 탄소를 배출하는 실천 정도에 대한 체크리스트인 탄소 다이어트 다이어리를 작성하고, 탄소 발자국 그리기 활동을 통해 자신이 배출하는 탄소의 출처와 비율을 자유롭게 표현하였다. 전기 사용, 대중교통 이용, 쓰레기 처리 항목에서는 긍정적인 실천 정도를 나타내었으나, 수도 사용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방향으로 분석되었다. 탄소 발자국을 2-3가지 항목으로 표현한 예비교사들이 과반수에 달하여 자신의 일상생활에서 탄소 배출 상황을 인식하는데 한계를 나타내었다. 예비교사들은 학교현장에서 지구의 환경문제를 교육하는 주체가 될 것이며, 예비교사들의 탄소 소양(carbon literacy)은 학생들에게 직간접적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17가지 SDGs와 연계되는 다양한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교육현장에 적용되어 지속가능한 지구환경교육에 기여하기를 바란다.

Water-Environment-Economic nexus analysis of household food waste impacts: A case study of Korean households

  • Adelodun, Bashir;Cho, Gun Ho;Kim, Sang Hyun;Odey, Golden;Choi, Kyung Sook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1년도 학술발표회
    • /
    • pp.148-149
    • /
    • 2021
  • Food waste has increasingly become a global issue of concern among the researchers and policymakers due to its significant environmental and economic impacts, and other associated unsustainable use of resources, including water resources. While food wastage occurs at each stage of the supply chain with food loss at the upstream and food waste at the downstream, the impacts of food waste occurring at the consumption side are enormous due to the accumulated added values. In this study, the embedded water resources, greenhouse gas emissions, and economic loss of household food waste were investigated. The primary granular data of household food waste was collected through direct sampling from 218 selected households of the Buk-gu community in Daegu, South Korea from July 2019 to May 2020. The water footprint, which was based on the water footprint concept, i.e., indirect water use, and GHG emission potential factor for each of the food items were adopted from the literature, while the retail prices and disposal cost were used to assess the economic cost of wasted food items. The water footprint, GHG emission associated with environmental impacts, and the economic cost of 42 major identified wasted food items were conducted. The findings showed that an average of 0.73 ± 0.06 kg/household/day edible food waste was generated among the sampled households, with leafy vegetable, watermelon, and rice responsible for 10, 9, and 4%, respectively, of the total weight of the 42 food wasted items. The water footprint and environmental impact of the household food waste resulted in 0.46 ± 0.04 m3 and 0.71±0.05 kg CO2eq, respectively. Beef, pork, poultry, and rice accounted for 52, 9, 5, and 4% of the total water footprint, while beef, pork, rice, tofu/cheese had 52, 8, 6, and 6% of the total emissions, respectively, embedded in the food wasted. Furthermore, the average estimated economic cost associated with wasted food items was 3855.93±527.27 Korean won, with beef, fish, and leafy vegetable responsible for 21, 13, and 10%, respectively, of the total economic cost. A combined assessment using water-environmental-economic nexus indicated that animal-based food had the highest footprint impacts, with beef, pork, and poultry indicating high indices of 0.3, 0.08, and 0.06 respectively, on a scale of 0 to 1, compared to corn and lettuce with lowest impacts of 0.02. Other food items had moderate impact values ranging from 0.03 to 0.05. This study, therefore, provides insight into the enormity of environmental and economic implications of household food waste among Korean households.

  • PDF

물발자국의 국제표준화와 국내 도입 방안 (Method of Introduce for International Standards for Water Footprint Calculations)

  • 박성제;이영근;유시생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5년도 학술발표회
    • /
    • pp.267-267
    • /
    • 2015
  • 가상수의 흐름을 보다 가시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대두된 개념이 물발자국(water footprint)이다. 이는 흔히 사용되고 있는 생태발자국(ecological footprint)이나 탄소발자국(carbon footprint)에 착안하여 도입된 개념으로 한 국가의 물발자국은 직 간접적으로 물건이나 재화를 생산하는데 국민이 소비하는 물의 총량으로 정의된다. 물발자국을 내적/외적으로 단순히 구분하여 산정하는 방식이 진화하여 1단위의 생산에서 유통 및 서비스까지 확대하여 그 전 과정을 모두 포함하는 물발자국 산정방식이 도입된 것은 최근의 일이다. 직접적인 물사용과 간접적인 물사용을 구분하여 물발자국을 산정하고, 그 위에 물의 성질에 따라 green water, blue water, 그리고 grey water로 각각 개념을 상세화하여 물발자국을 산정하는 방안이 도입되었다. 2009년 물발자국 산정의 표준화를 위한 스위스의 제안이 ISO에 제출되었고, 각 국가들에 의한 투표가 진행되어 2010년 물발자국 국제표준안이 채택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국제기구에 의한 일련의 국제표준화 작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2014년 ISO/TC 207 국제총회가 개최되어 환경경영시스템(SC1), 환경감사(SC2), 환경 라벨링(SC3), 환경성과평가(SC4), 전과정평가(SC5), 온실가스관리(SC7)의 6개 분과위원회(Sub-Committees)가 구성되어 세부논의가 진행되었으며, 이러한 과정을 분석함으로서 물발자국 국제표준(ISO 14046)과 향후 우리나라의 대응방안을 고찰하였다. 물발자국 국제표준(ISO 14046) 제정을 통해 물발자국의 필요성 및 중요성에 대한 국가 간 합의는 도출되었으나, 적용시기 및 세부적인 방법론 등에 대한 이견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ISO 14046의 실질적 적용에 필요한 세부사항과 관련된 기술보고서 작업초안(WD 14073)은 작업반(SC5/WG8)에서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물발자국 국제표준이 국가 간 무역장벽이나 특정국의 진입을 막는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는 점 등 실질적으로 국제표준의 도입에 따른 문제점 역시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국제표준의 도입 방안을 통하여 가상수무역의 국제적 선점효과를 기대함과 동시에 수자원의 유효한 활용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BioRescue의 측정자내와 측정자간 신뢰도 (Intra- and Inter-rater Reliability of BioRescue)

  • 김진홍;최보람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348-352
    • /
    • 2018
  • BioRescue($RMIng{\acute{e}}nierie$, Marseille, France)는 대상자가 일어서거나 앉을 때 동적과 정적인 균형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하는 장비이다. 이전부터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지만 이 장비에 대한 명확한 신뢰도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상태이다. 본 논문은 균형 능력 측정을 위한 BioRescue의 측정자내와 측정자간 신뢰도를 측정했다. 이 연구의 대상자는 34명의 건강한 대상자들과 2명의 물리치료사 평가자들로 구성되었다. BioRescue는 발지표(면적과 압력), 롬버그 검사, 안정성 검사로 구성되어 있다. 발지표의 면적과 안정성 검사는 모든 방향에서 ICC값이 0.60 이상으로 나왔다. 하지만 발지표의 압력과 롬버그 검사는 모든 방향에서 ICC값이 0.60 이하로 나왔다. BioRescue는 균형검사 시 발지표의 면적과 안정성 검사에서 높은 신뢰도를 나타냈다. 하지만, 발지표의 압력과 롬버그 검사의 수치에서 숙련자와 비숙련자의 차이를 보이기 때문에 장비의 정확성을 위해 숙련이 필요하다.

Minimal Ablation of the Tibial Stump Using Bony Landmarks Improved Stability and Synovial Coverage Following Double-Bundle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 Kodama, Yuya;Furumatsu, Takayuki;Hino, Tomohito;Kamatsuki, Yusuke;Ozaki, Toshifumi
    • Knee surgery & related research
    • /
    • 제30권4호
    • /
    • pp.348-355
    • /
    • 2018
  • Purpose: To evaluate the clinical effects of using anatomical bony landmarks (Parsons' knob and the medial intercondylar ridge) and minimal ablation of the tibial footprint to improve knee anterior instability and synovial graft coverage after double-bundle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Materials and Methods: We performed a retrospective comparison of outcomes between patients who underwent reconstruction with minimal ablation of the tibial footprint, using an anatomical tibial bony landmark technique, and those who underwent reconstruction with wide ablation of the tibial footpri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were evaluated using second-look arthroscopy, radiological assessment of the tunnel position, postoperative anterior knee joint laxity, and clinical outcomes. Results: Use of the anatomical reference and minimal ablation of the tibial footprint resulted in a more anterior positioning of the tibial tunnel, with greater synovial coverage of the graft postoperatively (p=0.01), and improved anterior stability of the knee on second-look arthroscopy. Both groups had comparable clinical outcomes. Conclusions: Use of anatomical tibial bony landmarks that resulted in a more anteromedial tibial tunnel position improved anterior knee laxity, and minimal ablation improved synovial coverage of the graft; however, it did not significantly improve subjective and functional short-term outcomes.

Rotating Arm Internally Can Change the Arthroscopic Diagnosis of a Partial-thickness Tear of the Subscapularis

  • Kim, Hyungsuk;Song, Hyun Seok;Kang, Seung Gu;Han, Sung Bin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22권3호
    • /
    • pp.135-138
    • /
    • 2019
  • Background: The aims of this study were (1) to examine the footprint of the subscapularis tendon using the traditional posterior portal and $30^{\circ}$ arthroscope by simple internal rotation of the arm during surgery, and (2) to classify the pattern of a subscapularis partial-thickness tear. Methods: This study analyzed a total of 231 patients with a partial-thickness subscapularis tear from 550 consecutive patients undergoing an arthroscopic operation who had a visualization of the subscapularis tendon footprint by internal rotation of the arm. First, the patients wer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according to the tear pattern: (1) stable lamination, (2) unstable lamination, (3) avulsion, and (4) laminated avulsion. Randomized arthroscopic videos were reviewed blindly by two independent orthopedic surgeons. The pattern of the tear of the subscapularis at the neutral position and after internal rotating the arm were assessed and compared with the treatment decision (level IV case series). Results: Stable lamination, unstable lamination, avulsion, and laminated avulsion were observed in 9.1% (n=21), 20.8% (n=48), 41.1% (n=95), and 29.0% (n=67) of cases, respectively. In 145 out of 231 cases (62.8%), the decision was changed after inspecting the footprint after internal rotation of the arm, and the treatment method was changed in 116 (50.2%) cases. Conclusions: In a subscapularis tendon partial-thickness tear, inspecting the footprint of the subscapularis tendon is essential to diagnosing and deciding on the appropriate treatment. In addition, simply internal rotating the arm during surgery when using the traditional posterior portal and $30^{\circ}$ arthroscope can be a valuable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