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od-borne pathogens

검색결과 221건 처리시간 0.031초

자몽종자추출물과 폴리리신혼합물의 식품부패균에 대한 항균효과 (Antimicrobial Activity of Grapefruit Seed Extracts and Polylysine Mixture Against Food-borne Pathogens)

  • 최원균;노용철;황성연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9-15
    • /
    • 200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grapefruit extracts and polylysine mixture against food-borne pathogens. The mixture was showed a potent and quick antibacterial activity for 5 major bacteria causing food poisoning i.e. Escherichia coli, Escherichia coli O-157, Salmonella typhi, Staphylococcus aureus, Vibrio cholerae. The antibacterial effect of the mixture on the ordinary bacteria inhibiting on the surface of lettuce was lasted even 6 hrs after the treatment, however the mixture was non-effective on the color, smell and taste of lettuce. The treatment with 10% mixture solution of the foods such as fish, meat, rice and bread suppressed the growth of the bacteria and kept the foods more freshly than the untreated foods.

  • PDF

Antagonistic Potentiality of Trichoderma harzianum Towards Seed-Borne Fungal Pathogens of Winter Wheat cv. Protiva In Vitro and In Vivo

  • Hasan, M.M.;Rahman, S.M.E.;Kim, Gwang-Hee;Abdallah, Elgorban;Oh, Deog-Hwa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2권5호
    • /
    • pp.585-591
    • /
    • 2012
  • The antagonistic effect of Trichoderma harzianum on a range of seed-borne fungal pathogens of wheat (viz. Fusarium graminearum, Bipolaris sorokiniana, Aspergillus spp., and Penicillium spp.) was assessed. The potential of T. harzianum as a biocontrol agent was tested in vitro and under field conditions. Coculture of the pathogens and Trichoderma under laboratory conditions clearly showed dominance of T. harzianum. Under natural conditions, biocontrol effects were also obtained against the test fungi. One month after sowing, field emergence (plant stand) was increased by 15.93% over that obtained with the control treatment, and seedling infection was reduced significantly. Leaf blight severity was decreased from 22 to 11 at the heading stage, 35 to 31 at the flowering stage, and 86 to 74 at the grain filling stage. At harvest, the number of tillers per plant was increased by 50%, the yield was increased by 31.58%, and the 1,000-seed weight was increased by 21%.

Antimicrobial Properties of Cold-Tolerant Eucalyptus Species against Phytopathogenic Fungi and Food-Borne Bacterial Pathogens

  • Hur, Jae-Seoun;Ahn, Sam-Young;Koh, Young-Jin;Lee, Choong-Il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16권5호
    • /
    • pp.286-289
    • /
    • 2000
  • Mechanol extracts of three cold-tolerant eucalyptus trees-Eucalyptus darlympleana, E. gunnii and E. unigera were screened for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twenty two phyto-pathogenic fungi and six food-borne bacterial pathogens. E. unigera showed the antagonistic activity against all the tested pathogens. Among the tested fungal pathogens, Pythium species were highly sensitive to the leaf extracts. Especially, P. vanterpoolii, a causal agent of leaf blight in creeping bentgrass (Agrostis palustris), was completely inhibited by the extracts. The eucalyptus extracts were also effective in inhibiting the fungal growth of Botrytis cinerea and Phomopsis sp. isolated from the lesions of kiwifruit soft rot during post-harvest storage. Escherichia coli O-157 was less sensitive to the inhibition than the other bacterial pathogens tested. It was likely that Gram positive bacteria-Bacillus subtilis and Streptococcus mutans were more sensitive to the eucalyptus extracts than Gram negative bacteria-Escherichia coli, Salmonella enteritidis and Pseudomonas aeruginosa. Our findings suggest that the cold-tolerant eucalyptus species have antimicrobial properties that can serve the development of novel fungitoxic agents or food preservatives.

  • PDF

Antimicrobial Activity of Trifoliate Orange (Poncirus trifoliate) Seed Extracts on Gram-Negative Food-borne Pathogens

  • Kim, Seong-Yeong;Shin, Kwang-Soo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7권3호
    • /
    • pp.228-233
    • /
    • 2012
  • Trifoliate orange seed extracts (TSEs) were prepared from different solvents, water (TW), ethanol (TE), and n-hexane (TH), and assessed for their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six gram-negative food-borne pathogens (Escherichia coli KCTC 1039, Escherichia coli O157:H7 ATCC 43895, Salmonella Enteritidis ATCC 3311, Salmonella Typhimurium KCCM 11862, Shigella sonnei KCTC 2518, and Vibrio parahaemolyticus ATCC 17802). Among the tested TSEs, TE and TH showed a slight inhibition activity on V. parahaemolyticus ATCC 17802, but a good growth inhibition activity on Sal. Typhimurium KCCM 11862. TH and TE showed steady growth inhibition activity with increasing growth time after 6 hr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p<0.05). From these results, we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TH and TE as antimicrobial materials.

자소엽 추출물이 식중독 유발세균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erilla frutescens Extract on The Growth of Food-Borne Pathogens)

  • 김선애;서지은;배지현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472-478
    • /
    • 2004
  • In this study, Perilla frutescens wh~ch has been used as a folk remedy was investigated its antimicrobial activity. First, the Perilla frutescens was extracted with methanol at room temperatures, and fractionation of the methanol extracts from Perilla frutescens was carried out by using petroleum ether, chloroform, and ethyl acetate, respectively.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Perilla frutescens extracts was determined using a paper disc method and the growth inhibition curve was determined using methanol extracts of Perilla frutescens against Salmonella enteritidis and Bacillus cereus. The methanol extract of Perilla frutescens showed strong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Bacillus cereus at the concentration of 1.000 ppm. The 4,000 ppm of methanol extract from Perilla frutescens. retarded the growth of S. enteritidis and Bacillus cereus up to 72 hours.

  • PDF

신선 농산물내 식중독균 검출 방법의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Detection Methods for Food-borne Pathogens in Fresh-cut Agricultural Materials)

  • 장혜정;김혜정;박지인;유선녕;박보배;하강자;안순철;김동섭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0-16
    • /
    • 2021
  • 건강에 대한 관심 증대와 1인 가구 증가라는 사회구조적인 변화로 이용하기 편리한 농산물에 대한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 대부분의 신선 농산물은 가열하지 않고 섭취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식품 매개 병원체에 쉽게 노출될 수 있어 세계적으로 과채류가 원인인 식중독 사고의 보고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신선 농산물의 미생물학적 품질을 평가하고 식중독균 검출 방법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신선 농산물 중 채소류 129건을 구입하여 배양기반 방법으로 식중독균을 분석한 결과, non-pathogenic Escherichia coli (3.9%), Bacillus cereus (31.8%), Clostridium perfringens (5.4%), Yersinia enterocolitica (0.8%), enterohemorrhagic E. coli (0.8%)가 검출되었다. 이러한 식중독균의 분석에는 증균 배양과정이 중요하게 작용을 하며 균주의 순수 분리 및 확인 동정에까지 상대적으로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된다. 따라서 증균 배양의 과정 없이 식중독균을 신속하게 검출 할 수 있는 PCR-DGGE를 수행하여 배양 기반의 분석법과 비교하였다. 비병원성 대장균은 배양 기반 방법에서 검출되지 않았음에도 PCR-DGGE에서는 검출된 경우가 2건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대장균 정량 분석방법은 시료를 10배 희석한 후 배양하는 과정에서 시료의 손실 가능성과 검출 한계가 높은 단점으로 PCR-DGGE가 균종의 확인에 더욱 용이할 것으로 보였다. 저위해성 식중독균은 배양 기반 방법보다 PCR-DGGE에서 검출 한계가 높은 것으로 보였다. 고위해성 식중독균은 배양 기반 방법보다 PCR-DGGE (10 CFU/g)에서 검출 한계가 낮아 균종 확인과 검출에 용이하다고 판단되었고 이를 통해 채소류에서 고위해성 식중독균의 잠재적 위험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신선 농산물의 미생물 위해 평가와 기준 설정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신선 농산물 관련 식중독균 검출 방법의 개선과 식중독 발생 예방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온천수에서 식중독 및 병원성 미생물의 생존 양상 (Survival of Food-borne and Pathogenic Microorganisms in Hot Spring Water)

  • 쩡찌옌삔;안용선;정도영;김용석;신동화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36-40
    • /
    • 2006
  • 온천수에는 각종 무기물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으며 특히 2가 이온들이 많이 들어있고 살균력을 갖춘 유황 성분이 있어, 식중독 및 병원성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온천수의 식중독 및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억제 효과를 시험하기 위하여 식중독 미생물인 Bacillus cereus, Staphylococcus aureus 및 Escherichia coli, 피부병 원인균인 Candida albicans와 Trichophyton mentogrophytes, 위장병 원인균인 Helicobacter pylori을 대상으로 시험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한 온천수는 먹는물 수질기준에 따라 분석한 결과 불소함량이 기준치 1.5mg/L보다 높은 14.1 mg/L로 먹는물 수질기준에 적합하지 않으나 그 외 항목은 먹는물 수질기준에 적합하였다. 몇 가지 식중독 미생물이 온천수에서 생존하는 양상을 관찰한 결과 S. aureus 및 E. coli의 생존에 대해서는 별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B. cereus의 균수는 감소시키는데 이는 온천수의 온도($41^{\circ}C$와 관계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C. albicans와 T. mentagrophytes등 피부병균과 위염 원인균(H. pylori)에 대해서도 온천수는 뚜렷한 증식 억제효과를 보이지 않으나 T. mentagrophytes는 온도에 영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온천수는 식중독균이나 피부질환 혹은 위염 원인균에 뚜렷한 억제 효과는 나타나지 않으나 일부 고온($41^{\circ}C$)에 의한 균수의 감소 효과는 인정 되었다.

식중독 유발세균의 증식에 미치는 금은화 추출물의 항균효과 (Antimicrobial Effect of Lonicerae Flos Extracts on Food-borne Pathogens)

  • 배지현;김미순;강은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642-647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식중독 유발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이 우수한 천연 항균성 물질을 검색하기 위해 예로부터 민간과 한방에서 널리 이용되어 온 금은화를 각종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식중독 유발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해 보았다. 금은화를 petroleum ether, chloroform, ethly acetate, methanol를 이용하여 실온에서 각각 용매별로 계통 분획하고, 열수추출물을 얻은 후, 9종의 식중독 유발세균(Staphylococcus aureus, Staphylococcus epidermidis, Salmonella paratyphimurium, Shigella flexneri, Escherichia coli, Salmonella Typhimurium, Shigella dysenteriae, Pseudomonas aeruginosa, Shigella sonnei)에 대하여 항균효과를 조사하였다. 금은화 추출물의 농도별 항균 활성 검색에서는 금은화의 ethyl acetate 추출물이 가장 큰 항균 효과를 보였으며 Shigella dysenteriae가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균주였다. 금은화의 ethyl acetate 추출물과 인진쑥의 ethyl acetate 추출물을 혼합하여 항균력을 측정해 본 결과, 두 추출물을 섞어 첨가했을 경우가 단독으로 사용했을 시 보다 상승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금은화의 ethyl acetate 추출물이 식중독 유발세균의 성자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Staphylococcus epidermidis 및 Shigella dysenteriae의 배양액에 금은화의 ethyl acetate 추출물을 각각 3,000ppm 농도로 첨가했을 시, Staphylococcus epidermidis의 생육이 12시간까지 억제됨을 관찰할 수 있었고, Shigella dysenteriae의 생육도 12시간까지 지연시킬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 금은화의 ethyl acetate 추출물은 Staphylococcus epidermidis와 Shigella dysenteriae의 성장을 억제시킴을 알 수 있었다.

연교 추출물의 항균활성 검색 및 일부 식중독균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 (Antimicrobial Effect of Forsythiae Fructus Extracts on Several Food-Borne Pathogens)

  • 배지현;김홍연;장지연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19-325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식중독 유발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이 우수한 천연 항균성 물질을 검색하기 위해 예로부터 민간과 한방에서 널리 이용되어 온 연교를 각종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식중독 유발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해 보았다. 연교를 petroleum ether, chloroform, ethly acetate, methanol를 이용하여 실온에서 각각 용매별로 계통 분획하고, 열수추출물을 얻은 후, 9종의 식중독 유발세균 (Staphylococcus aureus, Staphylococcus epidermidis, Salmonella paratyphimurium, Shigella flexneri, Escherichia coli, Salmonella typhimurium, Shigella dysenteriae, Pseudomonas aeruginosa, Shigella sonnei)에 대하여 항균효과를 조사하였다. 연교 추출물의 농도별 항균 활성 검색에서는 연교의 열수 추출물이 가장 큰 항균 효과를 보였으며 Staphylococcus epidermidis와 Shigella flexneri가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균주였다. 연교의 열수 추출물과 느릅나무의 methanol 추출물을 혼합하여 항균력을 측정해 본 결과 두 추출물을 섞어 첨가했을 경우가 단독으로 사용했을 시 보다 상승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연교의 열수 추출물이 식중독 유발세균의 성장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Staphylococcus epidermidis 및 Shigella flexneri의 배양액에 연교의 열수 추출물을 각각 10,000 ppm 농도로 첨가했을 시, Staphylococcus epidermidis의 생육이 12시간 이상까지 억제됨을 관찰할 수 있었고, Shigella flexneri의 생육도 24시간까지 지연시킬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 연교의 열수 추출물은 S. epidermidis와 Shigella flexneri의 성장을 효과적으로 억제시킴을 알 수 있었다.

식중독유발 세균의 증식에 미치는 천초근 추출물의 영향 (Antimicrobial Effect of Rubia akane Nakai Extract on Food-Borne Pathogens)

  • 배지현;장혜정;정정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389-394
    • /
    • 2005
  • 약리실험 결과 강심작용, 지혈촉진작용, 항균작용, 항암작용 등이 밝혀진바 있는 천초근을 이용하여 항균성 및 천연 식품보존제로서의 이용가능성을 검색하여 보았다. 먼저 천초근의 뿌리성분을 petroleum ether, chloroform, ethylaetate, methanol 및 증류수를 이용하여 항균성분을 추출하여 9종의 식중독균(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cereus, Salmonella Enteritidis, Shigella flexner, Escherichia coil, Salmonella Typhi, Shigella dysenteriae, Pseudomonas aeruginosa, Shigella sonnei)에 추출물의 농도를 250ppm, 500 ppm, 1,000ppm으로 달리하여 disc method로 실험한 결과 Salmonella Typhimurium애서 아주 약한 clear zone이 형성되긴 하였으나 거의 모든 균에서 항균작용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큰 clear zone이 형성된 균은 Pseudomonas aeruginosa였고 추출물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비례하여 항균효과가 크게 드러났다. 또 methanol 추출물에서 항균활성이 가장 잘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ethylacetate, chloroform, petroleum ether, 증류수 순이었다. 항균활성이 가장 잘 나타난 천초근의 methanol 추출물과 또 다른 겨우살이 추출물을 사용한 상승효과 여부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결과 그람 양성균인 Bacillus cereus와 그람 음성균인 Pseudomonas aeruginosa에 대해 상승적인 항균효과를 나타내었다. 천초근의 methanol 추출물이 Bacillus cereus와 Pseudomonas aeruginosa균의 성장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해 본 바 천초근 추출물의 농도가 진해짐에 따라 균의 증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Pseudomonas aeruginosa에서 더 두드러지게 증식이 억제되었다. 또 72시간 동안 그 성장 억제 효과가 지속됨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