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od-borne pathogens

검색결과 221건 처리시간 0.027초

표고버섯(Lentinus edodes)추출물의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y of Lentinus edodes Extract)

  • 김용두;김경제;조덕봉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89-93
    • /
    • 2003
  • 표고버섯을 새로운 형태의 식품으로 개발하기 위한 기초 자료와 천연보존료로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물과 에탄올로 항균성 물질을 추출하여 몇 종의 병원균, 식중독균, 식품과 관련이 있는 세균 및 효모등 10균주에 대하여 항균성 여부와 추출물의 최소저해 농도를 밝히고, 표고버섯추출물을 용매 계통 분획하여 항균활성을 살펴보았다. 항균성 검색에 사용된 물과 에탄을 추출물 모두에서 대부분의 세균은 항균활성이 나타났으나, 효모와 젖산균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에탄을 추출물이 물 추출물보다 더 강한 활성을 보였으며 대보다는 갓에서 항균활성이 다소 강하게 나타났다. 표고버섯의 항균활성을 균주별로 보면 E. coli에서 첨가농도가 0.5 mg/mL로 가장 낮아 높은 활성을 나타냈고, 젖산균과 효모등의 균주에서는 1.5 mg/mL 이상의 농도에서도 항균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표고버섯 에탄을 추출물중의 항균활성 물질은 121$^{\circ}C$에서 15분간 가열한 후에도 활성이 유지되었으며, pH의 변화에도 영향을 받지 않았다. 표고버섯 에탄을 추출물을 핵산,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및 물로 용매계통 분획하여 얻은 각 분획물의 항균활성은 세균의 경우 젖산균을 제외한 그람양성균과 그람음성균 모두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현저한 생육 억제효과가 나타났으며, 에테르와 핵산 분획물에서도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보다는 낮지만 대부분의 균주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보였다. 그러나 젖산균과 효모에서는 모든 분획물에서 항균효과가 거의 없었다.

약용식물 추출물에 대한 항미생물 활성 검색과 폴리페놀 함량 (Antimicrobial Effect of Methanol Extracts from Some Medicinal Herbs and the Content of Phenolic Compounds)

  • 문지숙;김선재;박윤미;황인식;김의형;박정욱;박인배;김상욱;강성국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207-213
    • /
    • 2004
  • 다양한 기능성을 갖는 생약재 32종을 대상으로 천연보존료 개발의 일환으로 메탄올로 추출한 항균활성 물질을 몇 종의 병원균과 식중독균, 식품과 관련이 있는 세균, 젖산균 및 효모 등 12종의 균주 B. subtilis, M. luteus, Sta aureus, Sta. epidermidis, Strep. mutans, E. coli, Pse. aeruginosa, Sal. typhimurium, V. vulnificus, Lac. brevis, Leu. mesenteroides, Sacch. cerevisiae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검색하였으며, 항균력이 강한 생약재 추출물은 최소저해농도(MIC)를 측정하였다. 검색한 결과 계피, 목단, 적양, 정향, 팔각향 등의 메탄올 추출물은 12균주 중 세균에 대하여 항균활성이 강하였으나, 젖산균 및 효모에 대해서는 낮은 항균활성을 보였다. 최소저해농도는 B. subtilis에 대해 강한 증식억제효과를 보였고, Sta. epidermidis나 Pse. aeruginosa에 대해서도 거의 모든 추출물이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하지만 항균활성 측정시 거의 저해가 없었던 Lue. mesenteroides도 대부분의 추출물에서 억제 효과를 나타내 항균성과는 약간 다른 결과를 보였다. 생약재 중 강한 항균력을 보인 녹차, 정향, 적양, 인진호 등은 폴리페놀 함량이 약 7 mg/g 이상으로 높아 이들 페놀성 물질들이 항균활성에 많은 영향을 준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여러 미생물에 의해 변패될 수 있는 식품에서 천연보존료로의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유통 중인 어린잎채소의 미생물 오염도 조사 (Investigation of Hazardous Microorganisms in Baby Leafy Vegetables Collected from a Korean Market and Distribution Company)

  • 김세리;추현진;이승원;장윤정;심원보;웅웬바오훙;김원일;김현주;류경열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526-533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시판 중인 신선편이 어린잎채소의 식중독세균 오염도를 조사하고 신선편이 어린잎채소에 사용되는 원료를 재배방법별(토양재배, 상토재배)로 채취하여 재배방법이 어린잎채소의 안전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시판 중인 어린잎채소 상품 181점과 어린잎채소 상품 원료를 재배방법별로 구분하여 117점을 채취하여 위생지표세균(대장균군, E. coli)와 병원성미생물(E. coli O157:H7, Salmonella spp., S. aureus)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시판 중 어린잎채소의 대장균군은 봄철과 여름철에 각각 3.60±2.53 log CFU/g, 5.59±1.18 log CFU/g로 여름철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또한 E. coli의 경우, 봄철에는 A마트에서 수집된 시료 1점에서 검출되었으나 여름철에는 수집된 시료의 42.2%(43/102)점에서 검출되었다. S. aureus의 경우는 봄철에 1점에서만 검출되었고, E. coli O157:H7과 Salmonella spp.는 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어린잎채소 원료의 대장균군의 오염도는 토양 재배한 경우 봄철에 1.15±1.95 log CFU/g, 여름철에는 4.09±2.52 log CFU/g 수준이었다. 한편 상토 재배한 경우는 계절에 관계없이 5.0 log CFU/g이상이었다. E. coli는 토양 재배한 어린잎채소의 경우 봄철에는 적청경채 1점에서 검출 되었으나 여름철에는 44.4%의 시료에서 E. coli가 검출되어 계절적인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상토 재배한 어린잎채소의 경우 봄철과 여름철에 수집된 시료의 33%, 19%에서 각각 검출되어 시기에 관계없이 지속적으로 검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S. aureus의 경우, 봄철 상토 재배한 어린잎채소 1점에서 검출되었으며 E. coli O157:H7과 Salmonella spp.는 검출되지 않았다. 따라서 어린잎채소 상품의 안전성은 원료의 안전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원료의 안전성을 확보를 위해서는 농업생산환경 위생관리 기술 개발과 보급이 필요하다.

젓갈류에서의 위생지표 미생물 및 식중독균 모니터링을 통한 미생물학적 연구 (Microbiological Study using Monitoring of Microorganism in Salt-Fermented Fishery Products)

  • 이선미;임종미;김기현;조수열;박건상;신영민;정지연;조준일;유현정;김규헌;조대현;임철주;김옥희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98-205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현 식품공전에 기준규격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젓갈, 양념젓갈, 식해류 등 총 554건(젓갈 102건, 양념젓갈 448건, 식해류 3건)에 대해 위생지표 미생물인 대장균군, 대장균, 일반세균 및 식중독 원인균인 황색포도상구균과 장염비브리오균을 모니터링 검사하였다. 국내에서 제조 및 유통되고 있는 젓갈류에 대해 대장균군은 전체시료의 31.9%가 $0{\sim}20,000$ CFU/g의 범위로 검출되었고, 평균 2.3 logCFU/g를 보였다. 유형별로는 양념젓갈에서 시료의 37.7%가 검출되었는데, 이는 젓갈에서 대장균군의 검출률 5.9%와 검출량 1.4 logCFU/g에 비해 검출률에서 6배가, 검출량에서는 2배가 더 높은 값이었다. 미생물 한도시험법에 따라 실시한 대장균은 총 9건에서 검출되었는데, 이는 모두 양념젓갈에서 검출된 것으로 오징어젓, 낙지젓, 명란젓, 밴댕이젓, 갈치순태젓 등이었으며 일반세균은 $0{\sim}8.9{\times}10^8CFU/g$까지 넓은 범위로 검출되었다. 염도에 따라 분류해 본 결과, 염도변화에 따른 대장균군의 정량변화는 크지 않았지만, 대장균은 모두 식염도 10% 미만의 저염젓갈 시료에서 검출되었고, 일반세균수 역시 염도가 높아질수록 $5.5{\sim}3.6$ logCFU/g 까지 단계별로 8배, 10배씩 검출량이 낮아졌다(Table 4). 식중독균으로 분류한 황색포도상구균 및 장염비브리오균의 경우는 식품공전상의 정성시험법과 2배 희석시료를 사용한 정량방법으로부터 한 건도 검출되지 않아 이들 식중독균에 의한 오염에 대해 젓갈류는 다소 안전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이번 연구를 통하여 최근 젓갈의 저염화에 따라 대두되었던 미생물학적 안전성을 확인 점검하는 기회가 되었으며 궁극적으로 위생적이고 안전한 젓갈의 생산 및 관리를 위한 기준 규격 개정안을 마련하는 성과를 이룰 수 있었다.

Characterisation of Phenotypic and Genotypic Antibiotic Resistance Profile of Enterococci from Cheeses in Turkey

  • Kurekci, Cemil;Onen, Sevda Pehlivanlar;Yipel, Mustafa;Aslantas, Ozkan;Gundogdu, Aycan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352-358
    • /
    • 2016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prevalence of enterococci in cheese samples and to characterize their antimicrobial resistance profiles as well as the associated resistance genes. A total of 139 enterococci were isolated from 99 cheese samples, the isolates were identified as E. faecalis (61.2%), E. faecium (15.1%), E. gallinarum (12.9%), E. durans (5.0%), E. casseliflavis (2.9%) and E. avium (2.9%). The most frequent antimicrobial resistance observed in enterococci isolates was to lincomycin (88.5%), followed by kanamycin (84.2%), gentamycin (low level, 51.1%), rifampin (46.8%) and tetracycline (33.8%). Among the isolates, the frequencies of high level gentamycin and streptomycin resistant enterococci strains were 2.2% and 5.8%, respectively. Apart from the mentioned antibiotics, low levels of resistance to ciprofloxacin, erythromycin and chloramphenicol were found. Moreover no resistance was observed against penicillin and ampicillin. The antimicrobial resistance genes including tetM, tetL, ermB, cat, aph(3’)-IIIa, ant(6)-Ia and aac(6’)-Ieaph(2”)-Ia were found in enterococci from Turkish cheese samples. In the current study, we provided data for antibiotic resistance and the occurrence of resistance genes among enterococci. Regulatory and quality control programs for milk and other dairy products from farms to retail outlets has to be established and strengthened to monitor trends in antimicrobial resistance among emerging food borne pathogens in Turkey.

국내산 보리와 밀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균 활성 (The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xtracts of Selected Barley and Wheat Inhabited in Korean Peninsula)

  • 조성훈;조차영;하경수;최은지;강유리;권영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7호
    • /
    • pp.1003-1007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4가지의 맥류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과 항균 활성 그리고 지표성분인 DMBQ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4가지 맥류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측정 결과 겉보리(UB), 통보리(PB), 쌀보리(NB) 순으로 도정도가 진행됨에 따라 항산화 활성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통밀(WG)은 겉보리와 유사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다. 총 페놀 함량과 항산화 활성을 피어슨 상관계수로 비교 분석한 결과, 0.9934로 높은 유의성을 나타냈다. 4가지 대표적인 식중독 유발균을 대상으로 항균 활성을 측정한 결과 모든 추출물에서 Staphylococcus(S.) aureus에 대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고, NB, PB, UB 추출물은 $15.69{\pm}0.20$, $16.87{\pm}0.05$, $17.91{\pm}0.10mm$ 순으로 S. aureus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겉보리(UB)는 배아와 겨, 통보리(PB)는 배아, 쌀보리(NB)는 배유만을 포함하고 있는 상태인데, 도정이 진행됨에 따라 DMBQ가 함유되어 있는 배아와 겨 부분이 제거되어 항균 활성이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대조군으로 분석한 통밀(WG) 추출물은 $22.37{\pm}0.04mm$로 보리 추출물들과 비교하였을 때 상대적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DMBQ의 양을 분석하였을 때 WG 추출물이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비교해 보았을 때 배아와 겨 부분에 주로 함유되어 있는 DMBQ의 양에 따라 맥류의 항균, 항산화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가공정도에 따라 각기 다른 기능성을 나타내는 것을 이용해 용도에 따라 가공공정을 조절하여 새로운 소재로의 개발이 가능할 것을 알 수 있었다. 맥류 추출물은 항산화력과 항균력 두 가지를 모두 갖춘 천연물 유래 식품보존제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Lactobacillus reuteri의 주요 식품 위해 미생물에 대한 항균 효과 (Antimicrobial Activity of Lactobacillus reuteri Against Major Food-Borne Pathogens)

  • 권남훈;김소현;배원기;김지연;임지연;노경민;김준만;안종삼;허진;박용호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64-273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5종의 유산균들 (Lactobacillus reuteri, L. acidophillus, L. bulgaricus, L. casei and Bifidobacterium longum)의 식중독 균들에 대한 항균력을 조사하였다. 각 유산균들을 3가지 서로 다른 조건 (MRS+glucose, MRS+0.5 M glycerol, 0.25 M glycerol solution)에서 배양한 후 그 상층액이 포함된 Moulter Hinton Agar에 8종의 유해균들을 접종하였다. MRS+glucose, MRS+0.5 M glycero에서의 상층액을 이용한 실험에서는 L. reuteri의 항균력이 다른 유산균들에 비해 높지 않았으나 0.25 M glycerol solution에서는 탁월하게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p<0.05). 0.25 M glycerol solution에서 나타난 높은 항균력은 L. reuteri가 glycerol을 이용하여 생산하는 reuterin이란 물질 때문이라 생각되며, 0.25 M glycerol solution의 상층액을 500 MHz 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를 통해 분석한 결과 reuterin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었다. 3가지 조건 하에서의 항균력 시험 결과 가장 높은 항균력을 나타낸 3가지 유산균들 (Lactobacillus resuteri, L. bulgaricus, L. casei)을 선발, 각각 최고의 항균력을 나타낸 조건으로 배양하여 최소사멸농도 (minimum bactericidal concentration)를 측정한 결과, L. reuteri가 생산한 reuterin이 광범위 항균물질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pH 적정, pepsin 혹은 trypsin 처리를 한 후 3가지 유산균들의 항균력 변화를 조사한 결과 L. bulgaricus와 L. casei의 항균력은 이러한 조건에서 상당히 감소한 반면 reuterin의 항균력은 아무런 영향을 받지않았다 (p<0.05). 이상의 결과들로 보아 주요 유산균들 중에서 L. reuteri의 항균력이 가장 우수하면서 광범위하였으며 이는 L. reuteri가 분비하는 항균물질인 reuterin에 기인한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reuterin의 항균력은 타 유산균과는 달리 장관내 pH나 단백질 분해효소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인체나 동물 장관에서 가장 높은 효력을 가진다고 판단할 수 있다.

  • PDF

푸드뱅크 기탁 조리식품의 미생물학적 위해분석 (II) (Microbiological Hazard Analysis of Cooked Foods Donated to Foodbank (II))

  • 박형수;류경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13권4호
    • /
    • pp.389-406
    • /
    • 200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safety level of non-cooking and cooking processed foods to propose the sanitary management of foods donated to foodbanks. The time and temperature were measured and the microbial levels of aerobic plate counts (APC), coliforms, E. coli, Salmonella spp., S. aureus, B. cereus, and E. coli O157:H7 were analyzed on ten food items donated to seven foodbanks. The amount of cooked foods donated to each foodbank was about 10 to 40 servings. All foodbanks hired a supervisor and had at least one refrigerator/freezer and one temperature-controlled vehicle, but only four foodbanks had the separate offices to manage the foodbank operation. The flow of donated foods was gone through the steps; production, meal service and holding at donator, collection by foodbank, transport (or holding after transport) and distribution to recipients. After production, the levels of APC of both non-cooking and cooking processed foods were complied with the standards by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and were not increased till distribution. Only the level of coliforms in dried squid & cucumber salad (1.5×$10^3$ CFU/g) was not met the standards. E. coli and other pathogens were not detected in all tested samples. The microbial levels of delivery vessels and work tables were satisfactory, but the APC levels of two of four tested serving tables (6.9×$10^3$ and 5.3×$10^3$ CFU/100$cm^2$) and the coliforms level of one (1.1×$10^3$ CFU/100$cm^2$) were over the standards. The air-borne microflora level in serving room was estimated as satisfactory. It took about 3.0 to 6.5 hours from after-production to distribution and the temperatures of donated foods were exposed mostly to temperature danger zone, which had a high potential of microbial growth. These results imply that a checklist to monitor time and temperature in each step should be provided and the employees involving foodbank operation should be properly educated to ensure the safety of donated foods.

  • PDF

2013-2016년 경남 연안 해수 및 패류에서 병원성 비브리오균의 계절적 및 지역적 변동 (Seasonal and Spatial Variation of Pathogenic Vibrio Species Isolated from Seawater and Shellfish off the Gyeongnam Coast of Korea in 2013-2016)

  • 박큰바위;목종수;권지영;류아라;심길보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27-34
    • /
    • 2019
  • The seasonal and spatial variation of pathogenic Vibrio species, such as V. parahaemolyticus, V. vulnificus, V. alginolyticus, and V. cholerae were investigated in seawater and in bivalves off the Gyeongnam coast of Korea, which is an important area for shellfish production, during the period 2013-2016. V. parahaemolyticus, V. vulnificus, V. alginolyticus, and V. cholerae were detected in 12.1%, 5.2%, 15.4%, and 0.9% of seawater samples, respectively. V. parahaemolyticus, V. vulnificus, V. alginolyticus, and V. cholera were detected in 21.9%, 7.1%, 12.2%, and 0.0% of shellfish samples, respectively. The Vibrio spp. in seawater and bivalve samples were detected at high levels during the summer to early autumn; however, the levels were low during the winter. Therefore, their occurrence was seasonally dependent and correlated with high water temperature, which is also the biggest factor contributing to foodborne outbreaks associated with Vibrio. Relatively high detection rates of the strains were also found in the sea area that was continually exposed to inland wastewater. Our findings show that continuous monitoring is needed to reveal the patterns of occurrence of these pathogens from marine samples collected off the Korean coast, to reduce seafood-borne outbreaks caused by Vibrio.

Salmonellosis in swine: Clinical perspectives

  • Shim, Minkyung;Hong, Sanghyun;Seok, Min-Jae;Kim, Hyeun Bum
    • 농업과학연구
    • /
    • 제43권3호
    • /
    • pp.320-329
    • /
    • 2016
  • Salmonella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ood-borne zoonotic pathogens, causing acute or chronic digestive diseases such as enteritis. The acute form of enteritis is common in young pigs of 2 - 4 months of age. The main symptoms include high fever ($41-42^{\circ}C$), loss of appetite, and increased mortality within 2 - 4 days of onset of the disease. It is often the cause of increasing mortality, decreasing growth rate and reducing feed efficiency of piglets. In the case of chronic enteritis in pigs, the main symptom is weight loss due to the continuing severe diarrhea. Salmonella enterica serovar Typhimurium and Salmonella enterica serovar Choleraesuis are typical pig adapted serotypes, which cause one of four major syndromes: enteric fever, enterocolitis/diarrhea, bacteremia and chronic asymptomatic carriage. These syndromes cause a huge economic burden to swine industry by reducing produc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hat swine industries should strive to decrease Salmonellosis in pigs in order to reduce economic losses. There are several measures, such as vaccination to prevent salmonellosis, that are implemented differently from country to country. For the treatment of Salmonella, ongoing antibiotic treatment is needed. However constant doses of antibiotics can be a problem because of antibiotic resistance. Therefore, the focus should be made more on prevention than treatment. In this review, we addressed the basic information about Salmonella, route of infection, clinical symptoms, and prevention of Salmonello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