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od stain

검색결과 60건 처리시간 0.026초

나노 양자점 결합을 이용한 살모넬라 식중독균 검출 (Detection of Pathogenic Salmonella with a Composite Quantum Dot)

  • 김기영;양길모;김용훈;모창연;박샛별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35권6호
    • /
    • pp.458-463
    • /
    • 2010
  • It is required to develop rapid methods to identify pathogenic Salmonella in food products for protecting and maintaining safety of the public health from Salmonellosis.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plore feasibility of the nanotechnology to detect pathogenic Salmonella rapidly in various samples. Sensitivity of the a composite quantum dot to detect Salmonella typhimurium in samples were evaluated. For selective detection of Salmonella, anti-Salmonella polycolonal antibody was utilized to capture and stain Salmonella. Quantum dots were attached onto Salmonella in the samples and produced fluorescent light. Fluorescence response of the composite quantum dot was measured with a commercial fluorescence meter. The fluorescence signal starts to increase with the samples in which higher concentration of the cells were contained. The sensitivity of the sensor was $10^6\;CFU/mL$ Salmonella spiked in PBS.

Report of 21 unrecorded bacterial species in Korea belonging to the phylum Actinobacteria, discovered during the survey in 2020

  • Ham, You Ju;Jeong, Ji Won;Im, Wan-Taek;Kim, Won-Yong;Yoon, Jeong-Hun;Kim, Myung Kyum;Seong, Chi Nam;Kim, Seung Bum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11권1호
    • /
    • pp.1-9
    • /
    • 2022
  • The phylum Actinobacteria includes many groups of aerobic, Gram-stain-positive, rod, or filamentous shaped bacteria. Actinobacteria are known for multicellular differentiation in some groups, and also for production of various secondary metabolites such as antibiotics. During a series of extensive surveys of indigenous prokaryotic species diversity in Korea, bacterial strains belonging to Actinobacteria were isolated from various sources of terrestrial environments. A total of 21 bacterial strains, belonging to 10 genera in 8 families, were isolated as unrecorded species in Korea. Among them, 11 were assigned to the family Streptomycetaceae, two species assigned to each of the families Microbacteriaceae, Mycobacteriaceae and Nocardioidaceae, and one species assigned to each of the families Euzebyaceae, Corynebacteriaceae, Micrococcaceae and Intrasporangiaceae. At the genus level, Streptomyces (10 species) was the most abundant, followed by Microbacterium and Mycolicibacterium(2 species each), and one species in each of the genera Corynebacterium, Euzebya, Arthrobacter, Terracoccus, Kribbella, Nocardioides and Yinghuangia. The detailed descriptions of each unrecorded species are provided.

A report of 27 unrecorded bacterial species within the class Alphaproteobacteria isolated from various sources of Korea in 2021

  • Haneul Kim;Heeyoung Kang;Wonyong Kim;Myung Kyum Kim;Jung-Hoon Yoon;Seung Bum Kim;Taegun Seo;Che Ok Jeon;Wan-Taek Im;Kiseong Joh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12권spc2호
    • /
    • pp.33-44
    • /
    • 2023
  • In 2021, a total of 27 bacterial strains were isolated from soil, tree bark, moss, wetland, sea sediment, tidal flat, seawater and seaweed within Republic of Korea. Based on the analysis of 16S rRNA gene sequence (>98.7% sequence similarity), these isolates were assigned to the class Alphaproteobacteria as unrecorded species in Korea. The 27 strains were classified into the 10 families: Maricaulaceae of the order Caulobacterales; Brucellaceae, Methylobacteriaceae, Nitrobacteraceae and Rhizobiaceae of the order Hyphomicrobiales; Micropepsaceae of the order Micropepsales; Rhodobacteraceae of the order Rhodobacterales; Azospirillaceae of the order Rhodospirillales; and Erythrobacteraceae and Sphingomonadales of the order Sphingomonadaceae. There is no official report of these 27 species in Korea. Therefore, we report 27 isolates as unrecorded species, and described isolation sources, Gram-stain reactions, physiological and biochemical properties and morphologies of these strains.

Distribution of Microorganisms Isolated from Cellular Phones

  • 김수정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57-261
    • /
    • 2008
  • Cellular phones are the most used electronic device everyday in modern life and are always in contact with our hands, Although many studies have revealed microorganisms living on our hands, there are only a few reports on the research about products or places which are in contact with our hand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microorganisms living in cellular phones. Microorganisms were scraped from cellular phones of students and professors from the clinical laboratory science department in Daegu Health College, and cultured at Brain Heart Infusion agar and MacConkey agar following API kit to identify them. The average colony number was $1.5{\times}10^2$ on BHI agar and $40{\times}10$ on MacConkey agar. There was no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In Gram stain result, Gram(+) Cocci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Also in BHI agar plates, Micrococcus spp and Acinetobacter baumannii identified with high frequency. Moreover, S. aureus, which is very well known as strong food poisoning bacteria, was isolated. Klebsiella pneumonia ssp pneumonia was isolated with the highest frequency from the MacConkey agar or S-S agar plate. From these results show, there are as many different microorganisms from cellular phones as from our hands. This is the first report isolating strong food poisoning bacteria in cellular phones. Since infection in hospitals have been an important issue to be aware of, it is equally necessary to investigate cell phones and products which hospital workers touch with their hands.

  • PDF

Inhibitory Effect of Ethyl Acetate Extract of White Peach Pericarp on Adipogenesis of 3T3-L1 Preadipocyte Cells

  • Park, Hong-Gyu;Kim, Jin-Moon;Kim, Jung-Mogg;Chung, Won-Yoon;Yoo, Yun-Jung;Cha, Jeong-Heon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6호
    • /
    • pp.1327-1331
    • /
    • 2008
  •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peach contains compounds to regulate adipocyte differentiation, extracts of flesh/pericarp of yellow/white peach were prepared in water, ethyl acetate (EtOAc), or n-butanol solvent and determined for effects on adipocyte differentiation in C3H10T1/2 or 3T3-L1 cells. Interestingly, none of peach extracts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timulatory effect on the adipocyte differentiation in C3H10T1/2. Furthermore, the presence of EtOAc extract of white peach pericarp (WPP) was found to inhibit lipid accumulation in 3T3-L1 cells both by microscopic examination of Oil Red O-stained lipid droplets and by spectrophotometric quantification of extracted stain, indicating a significant inhibitory effect on adipocyte differentiation. The inhibition of lipid accumulation was accompanied by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expression levels of adipocyte molecular markers-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CAAT enhancer binding protein $\alpha$, and fatty acid-binding protein. Thus, this study determined that WPP EtOAc extract contains the inhibitory compound(s) on adipogenesis.

Corosolic acid의 유방암세포 증식 및 전이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rosolic acid on apoptosis and angiogenesis in MDA-MB-231 human breast cancer cells)

  • 손건호;황진현;김동하;조영은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3권2호
    • /
    • pp.111-120
    • /
    • 2020
  • 본 연구는 인간 유래 유방 암세포 MDA-MB-231를 대상으로 CA에 의한 세포사멸, 세포 이동 및 침윤 효과를 조사하였다. 암세포의 증식 억제 효과는 CA 농도 의존적으로 증식률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CA에 의한 apoptosis 양성 세포를 확인하기 위해 DAPI stain를 진행한 결과, CA 농도 의존적으로 죽은 세포를 확인하였다. MDA-MB-231 세포에서 CA에 의한apoptosis marker 단백질 발현 증가와 ROS production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CA에 의한 MDA-MB-231의 세포 이동률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세포의 이동과 전이 능력 또한 CA를 처리한 군에서 통계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서 CA의 암세포 증식률 억제, 세포사멸 증가, 그리고 세포 이동 및 전이 억제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했으며, 이 결과를 통해서 향후 유방암에 대한 항암제로 개발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포도주에 관한 연구 (제1보) - 포도주효모(酵母)의 분리(分離) 및 동정(同定) (Studies on the Grape Wine (Part 1) - The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grape wine yeasts)

  • 박윤중;윤한교;이석건;윤복현
    • 농업과학연구
    • /
    • 제2권2호
    • /
    • pp.445-450
    • /
    • 1975
  • 한국산(韓國産) 포도주 양조(釀造)에 적합(適合)한 우수균주(優秀菌株)를 얻기 위(爲)하여 대전시(大田市) 일원(一圓)에서 수집(蒐集)한 시료(試料) 포도 중(中)에서 213주(株)의 효모(酵母)를 분리(分離)하여 이들 중에서 우수(優秀)한 균주(菌株)로서 3주(株)를 선정(選定)하여 실험(實驗)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우수균주(優秀菌株)로 선정(選定)된 W-49, W-50 및 W-127은 포도주 양조(釀造)에 있어서 발효료을 속(速)히 청징화(淸澄化)하였다. 2. 저장(貯藏) 45일(日) 후(後) 청징화(淸澄化)된 포도주들의 $OD^{530}_{10}$를 비교(比較)할때 W-50 균주(菌株)의 것은 OD치(値)가 크고 색도(色度)가 매우 짙었다. 3. 관용시험(官龍試驗) 결과(結果) W-49와 W-50의 것이 가장 좋았으며 W-127의 것은 그 다음 순(順)으로서 대조(對照) 균주(菌株) Hb의 것과 비슷하였다. 4. 우수균주(優秀菌株)의 균학적(菌學的) 성질(性質)을 살펴 Lodder의 분류동정법(分類同定法)에 따라 동정(同定)한 결과(結果) W-49와 W-50의 균주(菌株)는 Saccharomyces cerevisiae로 동정(同定)되었으며 W-127의 균주(菌株)는 Saccharomyces pretoriensis로 동정(同定) 되었다. 5. 이들 우수균주(優秀菌株)의 TTC 정색(呈色) 반응(反應)은 모두 TTC Red 효모(酵母)로 나타났다.

  • PDF

북미자생 치마버섯의 Mating Locus의 염기서열 (Nucleotide Sequence of Mating Locus of Schizophyllum commune Indigenous to North America)

  • 박동철;이상선;이인선;김현정;이갑랑
    • 한국균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22-25
    • /
    • 2000
  • Cosmid clone으로부터 mating activity를 가지는 pSC13의 양 말단은 1-71 $A{\alpha}3$ 교배유전자좌 Z3부위 2,430 bp와 Y3 region 8,160 bp 부근에서 homology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나 교배활성에 필요한 모든 부위를 함유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그리고 pSCE2는 1-71 $A{\alpha}3$의 Y region의 6,080 bp 부근에서 거의 완전한 homology를 가지는 것으로 보아 $A{\alpha}3$의 Y region을 함유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또한 pSCE1도 MEP의 일부 sequence와도 거의 완전한 homology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 1-71 $A{\alpha}3$ 교배유전자좌와 모두 유사한 염기서열를 모두 지니면서 북미자생 치마버섯의 교배유전자좌의 염기배열이 남미자생의 것과 거의 유사한 분자적 구조를 지니고 있음을 나타내었다. 결정된 DNA sequence는 3265 bp로서 남미산 치마버섯 1-71 stain의 mating활성을 나타내는 $A{\alpha}3$ locus 염기서열중에 Z region과 거의 완전한 약 96%의 homology를 나타내었다. 또한 Polypeptide sequence비교에서도 약 82%의 높은 homology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transcription regulator로 알려진 homeodomain 및 acidic region에서는 각각 약 74%. 82%의 상당히 높은 비율의 homology를 지니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남미와 북미의 대륙간에 자생하는 같은 allele type간에도 상당히 높은 비율의 교배유전자좌의 보존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제주전통된장으로부터 세포외효소 분비능이 우수한 미생물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stics of Microorganisms Producing Extracellular Enzymes from Jeju Traditional Fermented Soybean Paste (Doenjang))

  • 오유성;박지은;오현정;김정현;오명철;오창경;오영주;임상빈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47-53
    • /
    • 2010
  • 제주 전통된장으로부터 세포외효소(protease, fibrinolytic enzyme, amylase, cellulase, lipase) 분비능이 우수한 세균을 분리한 후 16S rRNA 유전자 분석과 생리적 특성을 분석하여 균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Protease 분비능은 JR14, JR19, JR25, JR32, JR38, JR47과 JR64가 표준균주인 Bacillus subtilis KCCM12027보다 활성이 높았다. Amylase 분비능은 JR6, JR25, JR38, JR56, JR81에서 나타난 반면 표준균주인 KCCM12027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Cellulase 분비능은 JR6, JR14, JR48과 JR65가 다른 분리균주 또는 표준균주보다 높았으며, lipase 분비능은 JR14와 JR48이 높았다. 혈전용해 활성은 positive control인 plasmin의 용해 영역에 비하여 JR19가 192%로 가장 높았고, hemolysis 활성도 높았다. 혈전용해능이 있는 균주인 JR19, JR32, JR47, JR64의 배양액을 zymography한 결과, 25~75 kDa 사이에서 4~5개의 밴드가 확인되었다. 된장으로부터 분리한 균주들의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모두 Bacillus species와 99%의 상동성을 나타내었으며, 혈전용해능이 가장 우수한 JR19는 B. stratosphericus $41KF2a^T$와 거의 일치하였다.

혐기성소화에 의한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생분해능 검토 (Study of Biodegradable Ability of Biodegradable Plastic in Anaerobic Digestion)

  • 박정수;주흥수;류재영;배재근;전영승
    • 유기물자원화
    • /
    • 제10권1호
    • /
    • pp.109-119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음식물쓰레기의 자원화방안으로 메탄발효를 고려하여 메탄발효과정에서 음식물쓰레기와 생분해성 음식물쓰레기 전용봉투가 투입되었을 때 실제적으로 생분해성 플라스틱이 분해가 잘 이루어지며 생분해성 플라스틱이 미생물의 활성이나 분해반응에 영향이 있는지를 연구하였다. 30%생분해성 플라스틱의 경우, 미생물에 의한 무게감량에서 중온은 최대6%, 고온은 최대 10%밖에 분해가 되지 않았다. 신장율은 중옹이 약 150%, 고온이 약 120%까지 감소하였으며, 인장강도에서는 중온이 약 $180kgf/cm^2$, 고온이 $200kgf/cm^2$ 정도 감소하였다. 대체로 온도가 높고 미생물의 활성이 좋은 고온 혐기성 소화에서 중온보다 많은 무게감소를 보였으며 HDPE계열보다는 LLDPE계열의 플라스틱이 무게감량과는 상관없이 신장율과 인장강도에서 많은 감소를 보였다. 100%생분해성 플라스틱의 경우 미생물에 의한 무게감량에서 중온은 최대 8%, 고온은 최대 33%정도 감소가 있었다. 신장율은 중온이 약 230%, 고온이 약440%까지 감소하였으며, 인장강도에서는 중온이 약 $380kgf/cm^2$, 고온이 $400kgf/cm^2$ 정도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 30%생분해성 플라스틱은 음식물쓰레기전용봉투로의 사용이 부적합하며 100%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경우 음식물쓰레기 전용봉투로 사용이 가능하나 제품이 고가이기 때문에 경제적 부담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