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od safety

검색결과 6,655건 처리시간 0.034초

LC-MS/MS를 이용한 농산물 중 Streptomycin 및 Dihydrostreptomycin 동시시험법 개발 (Development of Simultaneous Analytical Method for Streptomycin and Dihydrostreptomycin Detection in Agricultural Products Using LC-MS/MS)

  • 이한솔;도정아;박지수;박신민;조성민;신혜선;장동은;최영내;정용현;이강봉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3-21
    • /
    • 2019
  • 본 연구는 2018년 국내식품 중 신규 기준설정 예정 농약인 스트렙토마이신의 잔류 농약 검사를 위한 공정시험법을 마련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스트렙토마이신은 아미노글리코사이드계 항생제로 소, 돼지, 닭 등 가축 및 가금에 동물용의약품으로 허가되어 세균성 질병치료에 사용되고 있다. 또한 우리나라에서는 감귤, 매실, 참다래, 복숭아 등에 발병하는 세균성 병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농약으로 등록되어 있다. 국내에서는 스트렙토마이신의 잔류물의 정의를 스트렙토마이신과 디히드로스트렙토마이신의 합으로 정하여 관리하고 있으며 잔류허용기준은 동물용의 약품으로 사용 시 불검출부터 1.0 mg/kg까지 설정되어 있다. 농약으로 사용 시 농산물 중 잔류허용기준은 설정되어 있지 않으며 식품공전의 시험법 역시 동물용의약품에 적용되는 시험법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에 농산물 중 잔류허용기준 설정을 위한 시험법 마련이 시급하여 본 연구에서는 식품공전에서 정하고 있는 대표농산물 5종(현미, 감자, 대두, 감귤, 고추)을 포함한 잔류시험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수용성 유기용매인 메탄올의 적용과 포름산을 이용한 pH 조절을 통한 추출법 및 HLB 카트리지를 이용한 정제법을 최적화하여 LC-MS/MS에 의한 분석법을 확립하였다. 스트렙토마이신과 디히드로스트렙토마이신의 시험법 정량한계는 0.01 mg/kg으로 PLS 제도에 맞는 잔류허용기준 수준을 만족하였다. 스트렙토마이신과 디히드로스트렙토마이신의 평균 회수율은 각각 72.0~116.5%와 72.1~116.0%이었고, 상대표준편차는 각각 12.3%와 12.5% 이하로 조사되어 이러한 결과는 국제식품규격위원회 가이드라인(CAC/GL 40-1993, 2003)의 잔류농약 분석기준 및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의 '식품등 시험법 마련 표준절차에 관한 가이드라인(2016)'에 적합한 수준임을 검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시험법은 농산물 중 스트렙토마이신의 잔류검사를 위한 공정시험법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유사 농산물에 대한 적용도 가능하리라 판단되어 향후 국내 농산물 중 농약의 잔류허용기준 신설 및 잔류농약 검사의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이다.

조사선원에 따른 향신료의 PSL과 TL 검지 특성 (Detection Characteristics of PSL and TL Methods in Spices Irradiated with Different Radiation Sources)

  • 김규헌;곽지영;김정기;황초롱;이재황;박용춘;김재이;조태용;이화정;이상재;한상배
    • 방사선산업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5-21
    • /
    • 2013
  • The detection characteristics of irradiated spices were investigated depending on radiation sources and doses by photostimulated luminescence (PSL) and Thermoluminescence (TL). 6 kinds of spices (turmeric, onion powder, red pepper, basil, parsley, black pepper) were irradiated at 0 to 10 kGy under ambient conditions by both a $^{60}Co$ gamma irradiator and an electron beam (EB) accelerator, respectively. The PSL analysis showed negative results for non-irradiated spices, while irradiated spices gave intermediate and positive value, which presented the limited potential of PSL technique. In TL measurement, TL glow curves on non-irradiated samples appeared at about $300^{\circ}C$ with low intensity. All irradiated samples were easily distinguishable through radiation-specific strong TL glow curves with maximum peak in range of $150{\sim}200^{\circ}C$. TL ratio ($TL_1/TL_2$) obtained by a re-irradiation step could verify the detection result of $TL_1$ glow curves, showing ratios lower than 0.1 in the non-irradiated sample and higher than 0.1 in irradiated ones. Therefore, in PSL measurement, the identification of irradiated spices showed more clear results in electron beam irradiated samples. TL analysis showed obvious difference between non-irradiated and irradiated samples in gamma ray and electron beam irradiated samples.

LC-MS/MS를 이용한 농산물 중 살균제 Sedaxane의 잔류시험법 개발 및 검증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Analytical Method for Fungicide Sedaxane Determination in Agricultural Products using LC-MS/MS)

  • 조성민;도정아;박신민;이한솔;박지수;신혜선;장동은;최영내;정용현;이강봉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30-39
    • /
    • 2019
  • 세닥산은 pyrazole carboxamide계 살균제로 광범위한 곰팡이 병원균을 억제하는데 효과가 있으며, trans-isomer와 cis-isomer 두 종류의 입체이성질체를 포함하고 이들은 유사한 독성학적 특징 및 살진균 활성을 가지고 있다. 세닥산의 잔류물의 정의는 농산물에서 미국(EPA)과 일본(JFCRF)에서 시스와 트랜스 이성질체의 합으로, 코덱스(Codex)와 유럽(EC)에서 모화합물로 설정되어 있다. 세닥산은 국내의 경우 2018년 수입식품 중 감자에 대한 잔류허용기준 신설이 최초 요청되었으며 국내 유통 농산물 중 잔류량에 대한 안전관리 확보를 위해 잔류물의 정의를 모화합물로 규정하고 적부판정을 위한 공정시험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세닥산의 물리 화학적 특성을 고려하여 아세토니트릴을 이용하여 진탕추출 후 실리카 카트리지를 이용한 정제 조건을 확립하여 LC-MS/MS를 이용한 시험법을 확립하였다. 세닥산의 결정계수($r^2$)는 0.99 이상으로 높은 직선성을 보여 주었고, 검출한계 및 정량한계는 각각 0.001, 0.005 mg/kg으로 높은 감도를 나타내었다. 대표 농산물 5종(현미, 감자, 대두, 감귤, 고추)에 대하여 정량한계, 정량한계 10배, 정량한계 50배 수준으로 회수율 실험한 결과 평균 회수율(5반복)은 74.5-100.8%이었으며 분석오차는 12.1%이하로 정확성 및 재현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국제식품 규격위원회 가이드라인(Codex Alimentarius Commission, CAC/GL 40)의 잔류농약 분석 기준 및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의 '식품등 시험법 마련 표준절차에 관한 가이드라인(2016)'에 적합한 수준임을 검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시험법은 농산물 중 잔류할 수 있는 세닥산 안전관리를 위한 공정시험법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식품 중 발기부전치료제 유사물질 규명 (Elucidation of new anti-impotency analogue in food)

  • 서정혁;최장덕;박건상;허수정;윤태형;김은주;한승우;김소희;이광호;권성원;김득준
    • 분석과학
    • /
    • 제22권4호
    • /
    • pp.345-353
    • /
    • 2009
  • 식품 중 불법적으로 첨가된 부정유해물질을 규명하기 위하여 HPLC/PDA를 이용하여 인삼성분을 함유한 것으로 선전하는 식품 원료를 조사하였다. 발기부전치료제로 사용되는 실데나필의 변형체인 홍데나필과 유사한 구조를 갖는 미지물질이 확인되어 분취 크로마토그래피 등을 이용하여 불순물을 제거한 다음 HPLC/MS/MS, NMR 등의 기기를 이용하여 그 구조를 규명하였다. HPLC/MS 분석결과 미지 물질이 480 m/z의 분자량을 갖는 물질임을 확인하였으며 LC/MS/MS 분석 결과 실데나필에서 특징적으로 검출되는 m/z인 311, 339, 353이 확인되어 발기부전치료제와의 구조적 유사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NMR 분석 결과 미지물질은 홍데나필과 같이 sulfonyl 기가 acetyl기로 치환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실데나필의 에틸피페라진기가 옥소에틸피페라진기로 치환된 구조를 갖는 물질임을 확인하여 그 이름을 옥소홍데나필로 명명하였다.

Prevalence in Food Safety Behaviors of Pregnant Women and Their Associated Factors

  • Cha, Myeong-Hwa
    •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 /
    • 제7권3호
    • /
    • pp.141-148
    • /
    • 2005
  • Food handling practices playa key role in the prevalence of food-borne illness. Despite the fact that pregnant women are high risk groups for food-borne disease, little is known about their actual food handling practices at hom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behaviors regarding food-related hygienic practices of pregnant women. The questionnaire included questions in five major areas : personal hygiene ; adequate cooking ; avoiding cross contamination ; keeping food at safe temperatures ; and avoiding food from unsafe sources. Analysis of 488 questionnaires showed the respondents were unaware of the importance of safe food handling practices. Especially, pregnant women in our study should be encouraged to be careful about either risk of adequate cooking $(2.08\pm0.66)$ and keeping foods at safe temperatures $(2.69\pm0.63)$. Residency and number of children were consistent independent predictors of food handling behaviors. Previous food safety education also was found to have significant effect on food handling practices. TV news and newspapers were considered the most usable sources of food safety information by respondents. The behaviors identified in this study represent ones of particular importance for high-risk populations, like pregnant women. These population characteristics identified in this study could be incorporated in development of food safety educational programs for pregnant women being vulnerable on food-borne illness. Our results could have implications for the design of effective food safety educational efforts. This study indicates the need for continued and improved food safety education and for enforcing systematic food safety education for pregnant women.

헛개나무과병추출물 중 퀘르세틴 분석 (Analysis of quercetin in extract of Hovenia dulcis Thunb)

  • 허수정;오재명;오현숙;문명희;배윤영;이성혜;김지안;구용의
    • 분석과학
    • /
    • 제29권6호
    • /
    • pp.255-260
    • /
    • 2016
  •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에 따라 건강기능식품이란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한 식품을 말한다. 또한, 건강기능식품은 고시화한 원료와 영업자가 개별적으로 신청한 개별인정형 원료로 나누어진다. 그 중 개별인정형 원료의 시험법은 고시화를 위해 표준화가 필요하며 2가지 이상의 원료가 복합적으로 혼합되어 제조될 경우 제품에 대한 적용성 검토가 요구된다. 개별인 정형 원료 중 헛개나무과병추출물의 지표성분인 퀘르세틴을 대상으로 전처리방법을 표준화하였으며, 표준화한 퀘르세틴 시험법의 밸리데이션을 수행한 결과 회수율은 97.1~105.4%, 표준편차는 1.15~3.11%였다. 검량선의 직선성은 결정계수($R^2$)가 0.999 이상을 나타냈고 검출한계는 $0.12{\mu}g/mL$, 정량한계는 $0.36{\mu}g/mL$를 나타냈다. 표준화한 퀘르세틴 시험법의 적용성 검토를 위해 헛개나무과병추출물의 유통제품을 수거하여 분석한 결과, 퀘르세틴 표시 함량 대비 82.5~105.1%로 적합하였다.

HPLC-UVD를 이용한 농산물 중 살충제 sulfoxaflor의 시험법 개발 및 검증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Analytical Method for the Insecticide Sulfoxaflor in Agricultural Commodities using HPLC-UVD)

  • 도정아;이미영;박혜진;권지은;장효진;조윤제;강일현;이상목;장문익;오재호;황인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48-155
    • /
    • 2013
  • 국내 신규 살충제로 등록되어진 sulfoxaflor에 대해 농산물 중 잔류실태를 조사하기 위하여 HPLC-UVD와 LC-MS를 이용한 시험법을 개발하였다. Sulfoxaflor 시험법의 회수율은 시료별 적당한 추출 및 정제 방법을 적용한 결과 현미, 감자, 감귤, 사과, 배, 고추, 대두에서 0.05, 0.4 및 0.5 mg/kg 수준에서 82.8-108.2%이었다. 회수율에 대한 모든 분석오차는 10% 미만으로 CODEX 잔류물질 분석 가이드라인에 만족하였다. 분석을 위한 기기 조건에서 sulfoxaflor의 정량한계는 0.05 mg/kg이었으며 0.1-5.0 mg/kg 범위에서 상관계수($R^2$) 0.999 이상의 높은 직선성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잔류농약 시험법은 농산물을 대상으로 효과적인 시료 전처리 방법과 최적의 정제 과정을 확립하여 다양한 농산물에 대한 잔류량 검출이 적당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확립한 sulfoxaflor의 잔류시험법은 국제적 분석 기준을 만족할 뿐만 아니라 LC-MS를 이용한 잔류분의 재확인한 결과를 살펴볼 때 분석과정의 신뢰성 또한 확보할 수 있어 식품공전 공정시험법으로 사용될 것이다.

초등학생의 식품안전과 관련된 지식, 행동, 교육방법의 요구도에 관한 연구 (Elementary School Students' Knowledge, Behavior and Request for Education Method Associated with Food Safety)

  • 윤현주;윤기선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13권2호
    • /
    • pp.169-182
    • /
    • 2007
  • We investiga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knowledge, behavior, experience and preference of education method related to food safety in order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food safety educational program. A survey study was conducted with 569, fourth and sixth grade students, from two schools in Seoul and Ulsan. Students were asked thirty-two questions regarding food safety knowledge, behavior and experiences as well as their attitude to food safety class and preference for teaching method. The data was analyzed for the frequency analysis, t-test, chi-square test, one-way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using the SPSS/Windows. Results indicated that 91.9 percent of the respondents did not know what unsanitary food is. 67 percent of the respondents did not know the proper method of hand washing. Although the students' level of knowledge and behavior associated with food safety was low, there was meaningful correlation(r =.184, p<.01) between knowledge and behavior. Surprisingly, students in higher grade did not demonstrate an exceeding food safety knowledge and behavior. More than 50 percent of the subjects did not have food safety education either at home or school. 60 percent of the respondents interested in food safety and the majority recognized that a food safety education is needed. Students want to learn about unsanitary food(34.1%), foodborne illness(29.7%), food selection and storage method(21.3%), and personal hygiene(11.2%) through game, role play, and practice in real situ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development of food safety education program is needed through the elementary school year and the education program must include fun activities in which students can participat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