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od ingredients information

검색결과 169건 처리시간 0.031초

전자선 조사 처리한 마늘분말 첨가 불고기소스의 혼합비와 살균처리에 따른 열발광 판별특성: 실험실 교차 검증시험 (Identification of Bulgogi Sauce Added with Low Quantity of Electron Beam-Irradiated Garlic Powders by Thermoluminescence Analysis: An Inter-Laboratory Study)

  • 안재준;이정은;백지영;정일윤;권중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11호
    • /
    • pp.1857-1863
    • /
    • 2013
  • 전자선 조사된 마늘분말을 혼합하여 불고기소스를 제조한 후 살균처리($85^{\circ}C$, 30 min)와 혼합비(1, 3, 5%)에 따른 열발광(thermoluminescence, TL)특성을 서로 다른 연구기관에서 확인하였다. 비 조사 마늘분말이 혼합된 소스의 TL 발광곡선은 자연방사선에 의해 $300^{\circ}C$ 이후에서 나타났다. 그러나 조사원료(1 kGy, 10 kGy)가 혼합된 소스의 경우 $150{\sim}250^{\circ}C$에서 나타났으며, 원료의 혼합량 및 조사선량이 낮을수록 발광곡선의 강도는 감소하였다. TL ratio($TL_1/TL_2$)는 조사 원료가 혼합된 시료구에서도 모두 0.1 이하로 나타나 조사여부 판정은 어려웠으며, 살균 처리 후에는 발광강도는 감소하고 발광온도범위는 고온영역으로 이동하여 낮은 혼합시료(1 kGy 조사 마늘분말, 1%)에서는 판별이 어려운 것으로 확인되었다. 조사 원료가 소량 혼입된 가공식품의 판별 시에는 TL 발광곡선의 형태와 최대 발광온도를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조사여부를 확인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충청지역 일부 성인 여성의 체질량지수에 따른 체중조절용 식품과 건강기능식품 섭취 실태 및 식습관과 체중 관련 인식 (Consumption of Weight-control or Health Functional Foods, Dietary Habits, and Weight Perceptions According to the Body Mass Index of Adult Women in the Chungcheong Area)

  • 성가영;배문경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81-93
    • /
    • 2022
  •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 and perception among adult women regarding weight control and the consumption of weight-control foods or health functional foods based on their body mass index (BMI). Methods: The subjects were 634 adult women from the Chungcheong province, Korea,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from July 2021 through September 2021.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based on their BMI status: underweight (< 18.5 kg/m2, 7.6%), normal weight (18.5 ~ 22.9 kg/m2, 53.3%), overweight (23 ~ 24.9 kg/m2, 19.7%), and obese (≥ 25 kg/m2, 19.4%). Results: Over the past 3 years, almost two-thirds (68.6%) of the adult women had tried weight control measures, despite the fact that a significant proportion of them were normal or underweight. More importantly, 57.6% of subjects reported the consumption of weight-control foods, with a lower proportion in the underweight (35.4%) group compared to the normal (56.2%), overweight (62.4%), and obese (65.0%) groups. The food items used for weight control were mostly salads, chicken breasts, low fat (soy) milk, slimming tea, protein shakes, low-calorie cereals, and energy/protein bars among others. In addition, one-third (31.1%) of the subjects reported the use of health functional foods containing ingredients for fat reduction. A significantly higher proportion of these was from the overweight (36.0%) and obese (38.2%) groups compared to the underweight (20.8%) and normal weight (28.1%) groups. Products containing Garcinia cambogia extract, green tea, or Cissus extract, were popular among users. Subjects who were obese had a poorer perception of their health and body. Most subjects felt the need for correct information regarding weight control, but this number was significantly more in the higher BMI groups. Conclusions: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use of weight-control foods or health functional foods is popular among adult women, especially those who are obese. Thus, nutrition education courses covering facts about weight control and practice need to be developed and provided based on the BMI status of subjects.

간편 이유식의 무기질 함량 평가 (Evaluation of Mineral Content in Convenience Baby Food)

  • 조영선;김기철;신상운;성진희;김지은;백은진;이은빈;김혜진;박용배;윤미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489-494
    • /
    • 2020
  • 간편식 형태의 이유식 중 죽 44건, 진밥 40건, 퓌레 11건, 분말 6건으로 총 101건의 무기질(철, 아연, 칼슘, 마그네슘) 함량을 마이크로웨이브 분해장치로 분해하여 ICP-OES로 분석하였다. 무기질의 유형별 평균 함량은 철 0.05-0.45 mg/100 g(mg/10 g, 분말), 아연 0.06-0.29 mg/100 g(mg/10 g, 분말), 칼슘 3.07-6.65 mg/100 g(mg/10 g, 분말), 마그네슘 2.46-5.93 mg/100 g(mg/10 g, 분말)으로 나타났다. 철, 아연, 칼슘, 마그네슘의 권장섭취량(KDRIs)과 비교하였을 때 권장섭취량 대비 각각 2.74-22.35%(평균 11.10%), 5.94-28.95%(평균 21.91%), 3.07-6.65%(평균 4.47%), 13.42-38.95%(평균 22.85%)이었다. 시판되는 간편 이유식만으로는 생후 6개월 이후 각각의 무기질 권장섭취량을 충분히 섭취할 수 없어 조제식이나 모유를 통한 영양소 섭취가 필요하다. 충분한 무기질 섭취를 위해서는 각각 영양소의 주요 급원식품을 파악하고 부족한 영양소를 섭취할 수 있는 간편 이유식을 선택하는 것을 권장한다. 아울러 제조회사에서는 우리나라 영유아시기에 부족해지기 쉬운 철, 칼슘 등의 영양소를 강화한 재료를 이유식 제조에 사용·표기하여 영유아의 성장발달에 필요한 영양소가 균형 있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약선음식의 온라인 구전, 가치, 만족, 애호도 및 대중화 간의 구조관계 분석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On-line Word of Mouth, Value, Satisfaction, Loyalty and Popularization of Yaksun Food)

  • 장순옥;이연정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53-67
    • /
    • 2015
  • 본 연구는 온라인 구전커뮤니케이션 특성(전문성, 적시성, 정확성)이 약선 음식에 대한 가치, 만족, 애호도, 대중화 간에 어느 정도의 영향관계가 있는 지를 알아보고, 온라인을 통한 약선 음식 대중화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약선 음식 온라인 구전 커뮤니케이션 특성 중 전문성, 적시성이 약선 음식 가치와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약선 음식 가치는 만족, 대중화에는 영향을 미쳤고, 애호도는 대중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종합해 보면 약선 음식에 대한 온라인 구전 커뮤니케이션의 전문성과 적시성이 강조될 때 가치와 만족에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되며, 가치 있는 정보야말로 고객이 만족하고 애호도가 높아짐으로써 대중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고 판단된다. 특히 약선 음식 조리인이 식자재의 성질과 음용방법을 잘 알고 있어야 함으로, 블로그 운영자들이나 약선 음식 전문점에서는 약선 음식 대한 내용을 게시할 때 식재료의 효능에 대한 전문적인 내용을 기술하여야만 대중화가 이루어질 것이라 사료되며, 향후 건강한 식생활을 정착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약선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에 대한 다양한 교육과 홍보 및 적극적인 관심이 요구된다고 판단된다. 특히 본 연구 결과, 음식의 기능을 살린 약선 음식 전문적인 내용은 온라인 구전으로 인하여 소비자들로 하여금 약선에 대한 정보를 좀 더 정확하게 알 수 있을 것이며, 건강에 대한 생각과 함께 대중에게 널리 알려질 것이라 여겨진다. 이상의 연구의 요약 및 결과에서 이미 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연구에 적용되고 있는 투입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는 매우 높은 것으로 분석되어졌다.

서울 소재 병설유치원의 급식운영 현황 및 급식운영 관리에 대한 인식 조사: 초등학교 교장과 유치원 원감을 대상으로 (Foodservice Status and Perception regarding Foodservice Management in Kindergartens attached to Elementary Schools in Seoul)

  • 정란미;김건희;오지은;함선옥;이승민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492-502
    • /
    • 2022
  •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s the foodservice status of kindergartens attached to elementary schools in Seoul. We further determine the perception of elementary school principals and kindergarten assistant principals on the foodservice management for kindergartens. Methods: This survey was conducted from July 17 to 23, 2019, enrolling 207 kindergartens attached to elementary schools in Seoul. Questionnaires were sent to principals of elementary schools and assistant principals of kindergartens, and the data obtained from 89 kindergarten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four parts: general information on subjects, foodservice management status, foodservice management status during elementary school vacations, and the perception of principals of elementary schools and assistant principals of kindergartens on foodservice management. Data are presented as frequency and percentage or mean and standard deviation. Statistical comparison between principals of elementary schools and assistant principals of kindergartens was conducted by paired t-test, chi-square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A separate menu (10.1%) or recipe (20.2%) that considers preschooler characteristics was rarely used for foodservice at kindergartens attached to elementary schools. Most kindergartens did not have a separate dining space (3.4%) or a dedicated cook (93.3%). Although most kindergartens (92.1%) had operational foodservice during elementary school vacations, non-professional staff and non-nutrition teacher were mainly in charge of organizing the menu and purchasing ingredients (34.1% and 41.5%, respectively). The rate of using a contract catering company (28.0%, 23.2%) was also high. Both elementary school principals and assistant principals of kindergartens showed a high perception of the necessity for providing responsibility allowances for nutrition teachers and improving the cooking environment for kindergartens during elementary school vacations. Conclusions: There is a need for policies and administrative support measures to improve the quality of foodservices for kindergartens attached to elementary schools.

Developing educational videos to inform rightly about school foodservice from kindergarten to high school: a case study

  • Gyoungok Gang;Chaewon Park;Haejin Kang;Wan Soo Hong;Yoo Kyoung Park;Sook Hee Choi;Seung Hye Kim;Jieun Choi;Jihyun Park;Hyeja Chang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97-113
    • /
    • 2024
  • Objectives: Since the enactment of the School Nutrition Act in 1981, school lunch programs in South Korea have grown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with a current student participation rate of 99.8%. Nonetheless, educational materials are needed to reduce misunderstanding and ignorance about school lunch programs. This study aimed to develop 3 educational videos that help students of various ages (kindergarteners/lower-grade elementary, upper-grade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respectively), understand the school lunch program. Methods: A scenario was created, was made, and the opinions on the scenario from experts in foodservice sectors were collected. A survey was conducted to students and parents to determine topics they wanted to know about school foodservice. The final videos were produced using this information and the expert opinion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7.0 for Mac (IBM Corp., Armonk, NY, USA); a P-value of < 0.05 was considered significant. Results: Three videos on school foodservice were developed for various age levels of students: kindergarten/lower-grade elementary, upper-grade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Additionally, English subtitles were included for the multicultural student population. These videos, each lasting about 7 minutes, cover topics such as nutrition, hygiene, and the cultural significance of the school lunch program. The survey results showed that parents and students wanted to know the following topics about the school lunch program: "nutritionally balanced diet" (11.9%), "purchasing safe food ingredients" (10.9%), and "healthy eating habits" (9.9%). Conclusions: The developed videos will serve as valuable educational resources on school foodservice, foster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school lunch program in parents and students, and potentially address their inquiries regarding production processes, nutrition, hygiene, cultural heritage, and health.

총식이조사 자료를 이용한 음식별 니트로사민 함량 분포 규명 (Elucidation of Dishes High in N-Nitrosamines Using Total Diet Study Data)

  • 최슬기;이영원;서정은;박종은;이지연;권훈정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361-368
    • /
    • 2018
  • 니트로사민은 산성이나 열을 가했을 때 2급 아민과 질소산화물이 반응해서 생성되는 발암물질이다. 일반적으로 위해 물질에 대한 안전성평가는 그 노출량을 mg/kg body weight/day로 산출하여 독성기준치와 비교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이런 방법은 정책 근거자료로는 적합하나 소비자들에게 식생활 정보로 제공하기에 미진한 부분이 있다. 따라서 주재료 및 조리법으로 분류한 음식군에 대한 NDMA(N-nitrosodimethylamine), NDBA (N-nitrosodibutylamine) 및 6종 니트로사민(NDMA, NDBA, NDEA (N-nitrosodiethylamine), NPYR (N-nitrosopyrrolidine), NPIP (N-nitrosopiperidine), NMOR (N-nitrosomorpholine) 함량 분포를 파악하여 식습관 교육에 도움을 주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2014~2016년 국민건강영양조사 24시간 회상법 자료를 사용하여 만 7세 이상을 연구 대상으로 음식별 레시피와 섭취량을 추출하였고, 2013~2015년 총식이조사 원자료를 바탕으로 음식 한끼니 제공량 내 니트로사민 함량 분포를 R프로그램으로 산출하였다. 볼락, 장어, 멸치 육수, 명태 등의 기여로 어패류 및 해조류를 주재료로 한 음식군은 섭취량과 상관없이 NDMA, NDBA 및 총 6종 니트로사민 모두에 대한 노출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리법에 따른 분류에서는 국 및 탕류와 찌개 및 전골류가 가장 크게 노출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곡류, 과실류 및 유제품류 주재료 음식군, 밥류 및 밥 외의 다른 재료를 부가한 음식군들의 니트로사민 노출에 대한 기여도는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니트로사민의 경우 조리시 생성되는 여타 화합물과는 달리 국, 탕, 찌개, 전골 등 끓임을 주로 하는 음식과 어패류를 주재료로 하는 음식에서의 기여율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기존에 가공육류를 니트로사민의 주노출원으로 생각하던 것과는 매우 큰 차이를 보인다.

광주지역 중학생의 식품표시에 대한 인식 및 이용실태 (Perception and Utilization of Food Labeling System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Gwangju)

  • 김윤지;전은례;유맹자;정난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796-806
    • /
    • 2012
  • 본 연구는 2009년 9월 7일부터 9월 19일 사이에 광주광역시 소재 중학교 남학생과 여학생 420명을 대상으로 중학생의 식생활태도와 영양지식의 수준별 식품표시에 대한 인식과 이용실태의 차이점을 알아보았다. 첫째, 중학생의 식생활 태도는 총 75점 만점에 평균 49.47점으로 양호한 편이었다. 성별 식생활태도는 남학생 49.78점, 여학생 49.13점으로 남학생과 여학생 간의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학년별 식생활태도는 1학년이 50.68점, 2학년 49.49점, 3학년 48.10점으로 1학년의 식생활태도가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둘째, 중학생의 영양지식 정도는 총 15점 만점에 평균 10.88점으로 나타나 양호한 편이었다. 성별 영양지식의 평균은 남학생 10.65점, 여학생 11.15점으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영양지식의 수준이 높았다(p<0.01). 또한 학년별 영양지식의 평균은 1학년이 10.98점, 2학년은 10.65점, 3학년은 11.03점으로 3학년의 영양지식이 가장 높았다. 셋째, 중학생의 식품표시 확인 여부는 '확인한다'가 62.9%로 나타났다. 식품표시는 남학생보다는 여학생이 더 확인하였고, 학년별로는 2, 3학년에 비해 1학년이 더 확인하는 편이었다. 또한 식생활태도가 좋은 그룹이 유의한 차이(p<0.001)를 보이며 식품표시를 더 많이 확인하였으며, 영양지식 점수가 높은 그룹이 식품표시를 더 확인하였다. 식품표시를 확인한다고 답한 대상자들 중 가장 먼저 확인하는 식품표시 내용은 유통기한이 54.9%로 가장 많았고 제품명, 가격 순이었다. 식품표시를 확인하는 이유 역시 유통기한(제조일자)을 확인하기 위해서가 61.6%로 가장 많았고 영양성분의 정보를 얻기 위해, 보관 시 주의할 점을 알아보려고, 가격이나 중량 등을 비교하려고 순이었다. 식품표시를 확인하지 않는 이유는 아무 생각 없이 습관적으로 구매하는 편이 43.8%로 가장 많았고, 식품표시에 관심이 없기 때문 30.9%, 식품표시 내용을 이해하기 어렵기 때문이 17.3% 순으로 나타났다. 식품표시에 대한 만족도는 총점 30점 만점 중 16.20점으로 중간 정도였다. 식생활태도가 좋은 그룹은 17.54점, 중간 그룹은 16.32점, 나쁜 그룹 14.86점으로 만족 정도에 있어 그룹 간 유의한 차이(p<0.001)가 나타났다. 즉, 식생활태도가 좋은 집단의 식품 표시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다. 영양지식 수준별 그룹의 만족 정도는 높은 그룹이 15.79점, 중간 그룹 16.08점, 낮은 그룹 17.08점으로 영양지식 수준이 낮은 그룹의 만족도가 영양지식 수준이 높은 그룹에 비해 높았다. 넷째, 식품과 영양표시의 내용에 대한 이해도는 총 7점 만점에 4.71점으로 높은 편이었다. 식생활태도로 분류한 그룹별 식품과 영양표시의 내용에 대한 이해도는 중간 그룹의 실제 이해도가 가장 높았고 오히려 좋은 그룹의 이해도는 세 그룹 중 가장 낮았다. 영양지식 수준으로 분류한 그룹별 식품과 영양표시의 내용에 대한 이해 정도는 영양지식 수준이 높은 집단이 높았다. 이러한 결과 중학생의 식생활태도와 영양지식 수준은 양호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식생활태도와 영양지식 수준이 높은 집단의 식품표시에 관한 인식이 높고 식품표시를 확인하는 비율 역시 높음을 알 수 있었으나 실제로 식품과 영양표시를 이해하는 정도는 그보다 낮았다. 따라서 중학생들이 식품표시를 확인하고 구입할 수 있도록 실천위주의 교육이 필요하고, 식품표시 형식 또한 쉽게 이해할 수 있고 눈에 잘 띄는 표시기준과 표시방법을 마련하고 믿을 수 있는 식품영양표시제의 정착을 위해 정부나 관련기관, 기업, 학교의 노력이 필요하다 하겠다.

전통 청국장의 발효 기간 동안 변화하는 수용성 단백질 개요 (Changes of Protein Profiles in Cheonggukjang during the Fermentation Period)

  • 아일린산토스;손일영;최현수;박선민;유성희;권대영;박천석;김정환;김정상;임진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438-446
    • /
    • 2007
  • 콩 발효식품인 청국장은 어느 정도는 그 기능성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선호하고 있다. 청국장의 발효 과정은 발효미생물이 분비하는 단백질 분해 효소를 포함하는 여러 효소들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발효기간 동안 청국장의 단백질체 분석은 발효의 최적화를 이루기 위해서 그리고 청국장에 생성되는 기능성물질 생성 과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청국장의 수용성 단백질을 phenol/chloroform 추출 방법으로 분리하여 2-D gel 분석에 방해되는 물질들을 제거하였다. 각 발효 단계에서 단백질 분석을 하였을 때 20시간 안에 대부분의 단백질들이 작은 분자로 분해되었고 수용성 단백질에는 미생물 유래 단백질들이 점차 증가하였다. 청국장의 단백질 프로파일은 natto의 것과는 매우 다른 양상을 2-D gel 상에서 보였다. 각 gel에서 50개의 단백질을 임의로 선발하여 MALDI-TOF MS 분석을 하고 PMF로 단백질을 동정하였다. 결과는 콩이나 발효 미생물들의 유전체 정보가 부족하여 청국장에서 9종 natto에서 15종의 단백질만을 동정할 수 있었다. MS/MS 분석을 통한 아미노산 서열 분석을 통해 얻은 정보를 가지고 BLASTP 검색엔진으로 database를 검색한 결과 제한된 수의 단백질이 낮은 신뢰도 범위에서 동정되었다. 그렇지만 청국장과 같이 복잡한 단백질체를 분석하기에는 본 연구에서 고안한 전체 단백질 분리 기술과 2-D gel 분석적 접근은 단백질을 전체적으로 분석함에 있어 훌륭한 방법이다. 앞으로 청국장의 단백질 변화에 대한 연구는 의미 있는 변화를 보이는 소수의 단백질을 선발하고 이들에 대해 집중적으로 질량분석 하여 단백질을 동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결혼이주여성의 한국가정생활 문화적응 단계별 특성 -필리핀 결혼이주여성을 중심으로- (Characteristics of Marriage Immigrants' Acculturation Stage and the Source of Support: With an Emphasis on Filipino Marriage Immigrants' Family Life Culture in Korea)

  • 홍달아기;채옥희;한은진;송복희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6권4호
    • /
    • pp.1-22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Filipino marriage immigrants' acculturation stages in regards to their Korean family life culture and to identify the source of the support for each stage, hence to provide information for educational programs that would promote successful acculturation for each stage. The following findings have been obtain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18 female Filipino immigrants to Korea. In a range of obstacles from the Honeymoon Stage to the Confusion stage, the first are the language and the aspects of the food/cooking/ingredients/diet that are different from their own culture. Especially, pregnancy/childbirth is a major change in one's life and the biggest challenge in the acculturation process. As food and cooking are the first change that the immigrants have to face and get accustomed to in the early stage of their Korean life, the food culture is rather easier for the immigrants to get accustomed to than other parts of Korean life. From the Honeymoon Stage to the Harmony Stage, the immigrants make efforts to help their family in the home, while they look to their future in their children during the Autonomy Stage. Regardless of how long they have been in Korea, from the Honeymoon Stage to the Autonomy Stage, the immigrants have a hard time with the patriarchal environment in Korea due to the bilateral nature of kinship in the Philippines. Secondly, the immigrants receive the most support from their husband, family, and the tutors in Korean culture, while their mothers-in-law are the main source of the support for the Korean diet. At the Confusion Stage, the immigrants start visiting the regional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and get help from the friends they meet there while depending on the TV for cooking tips. From the Harmony Stage, they may seek a job through the community network with their own effort and their children's help. In the Autonomy Stage, they are concerned about their children rather than their own parents, and they find their own identity as a Korean and realize that their effort is importa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