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od expiration date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32초

주부들의 식품안전 관련 구매행동 및 정보요구도 조사 (A Survey on the Housewives' Purchasing Behavior and Needs for Food Safety Information)

  • 김규동;이정윤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392-398
    • /
    • 2010
  • 본 연구는 주부들의 식품안전과 관련한 식품구매행동과 식품안전에 대한 정보요구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를 위한 자료는 서울 및 수도권 지역 거주 만 20세 이상의 주부를 대상으로 2009년 3월 9일부터 4월 3일까지 수집되었다.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식품안전 관련 구매행동에서 '유통기한을 확인'한다는 응답이 4.59로 가장 높았고, '국내산 구입'(4.08), '가격보다 안전을 고려'(3.66) 등이 다음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식품안전에 관한 교육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사람은 18.5%에 그쳤는데, 식품안전 위해요소에 관한 항목별 지식수준에 있어 '환경호르몬' 항목은 정답률이 89.1%로 가장 높았고 '광우병' 항목은 25.8%로 가장 낮았으며, 전체 지식수준은 총 13점 만점에 평균 8.56점으로 그다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식품안전에 관한 정보탐색도는 2.61로 낮게 나타났는데, 식품안전에 관한 정보원천으로는 TV/라디오가 4.04로 가장 높았고 신문/잡지(3.80), 인터넷(3.44), 가족/친지/친구(3.39) 등이 다음으로 높게 나타났다. 넷째, 식품안전에 관한 정보요구도는 3.82로 높게 나타나 평소 식품안전에 관한 정보를 많이 필요로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정부, 제조업자, 가공 및 유통업자 등은 식품안전 및 식품위해요소들에 관한 정확하고 충분한 정보를 다양한 정보원을 통해 제공해야 하며 또한 각종 교육프로그램을 개발 및 운영하여야 한다. 이를 통해, 보다 적극적인 소비자들의 정보탐색 활동을 유도하고 식품안전관련 지식수준을 향상시켜 나감으로써, 궁극적으로 소비자들의 안전을 고려한 올바른 식품구매행동을 유도해 나가야 할 것이다.

외식업 온라인 쿠폰 이용 사례 연구 : 휴면 고객 재방문을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Restaurant Online Coupon Redemption Behavior of Resting Customers)

  • 신서호;신서영;최규완;양일선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693-700
    • /
    • 2008
  • The purposes this study were to a) analyze the revisiting ratio of resting customers after issuing online coupons, b)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coupon redemption customers with non-redemption customers. For this study, the customers of M restaurant who did not revisit during the last 8 months were classified as 'resting customers', totaling 4,052 customers. The online coupons, valid for 9 months, were sent via e-mail to those customers. After that, the data collected from those who redeemed the coupon in September 2006 was utilized. As a result of sending the coupon to 4,052 resting customers, 1,288 customers redeemed the coupon during the study period, showing relatively high redemption ratio (31.6%). The average check of customers with the online coupon was decreased by 22% compared with customers without the coupon, but the party size remained almost the same, 2.6 customers, and also the redemption ratio was increasing as the expiration date of the coupon was approaching. The redemption ratio of female (35.3%) was much higher than male (19.2%), representing higher redemption possibility of the female customers by issuing the coupon. The redemption ratio of the twenties (69.1%) was obviously higher than other age groups. Also, the non-redemption ratio of other groups except the twenties was higher than the redemption ratio. The redemption ratio of low-educated was higher, under college degree (58.6%), college degree (35.4%), and over college degree (16.6%). Following the result of the average visiting frequency of redemption customers during last the 8 months was 4.2, the frequency of non-redemption customers was 9.8. The total average visiting of non-redemption customer was 10.5, and that of redemption customers was 8.6. Customers who visited the restaurant less frequently in the past have higher possibility to revisit after receiving the coupon.

인천 일부 고등학생의 영양표시에 대한 인식과 가공식품 및 간식 이용실태 (Recognition of Nutritional Labeling and Intake Status of Processed Foods and Snacks among High School Students in Incheon)

  • 이단비;김명희;최미경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27권1호
    • /
    • pp.15-25
    • /
    • 2021
  • This study sought to analyze the need for nutritional education to enhance the selection of desirable foods by adolescents. A total of 480 high school students in Incheon were surveyed and their responses were analyzed for the recognition of nutrition labeling and their consumption of processed foods and snacks. Almost all the students (93.1%) recognized nutrition labeling, but 54.6% rarely checked the nutrition labeling. The nutrients recognized as important in the nutrition label of processed foods were total fat/saturated fat/trans fat (3.75 out of 5), calories (3.68), and sodium (3.67) in that order. The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calorie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female students compared to male students (3.78 vs. 3.58, P<0.05). The information identified as important were the date of manufacture and expiration (4.21 out of 5), price (4.14), and the nutrition label (3.15). The preference for processed foods was highest in the order of beverages (4.03 out of 5), noodles (4.02), and frozen desserts (3.97), and the preference of females for processed food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males (P<0.001). The time when snacks were most frequently consumed were before going to the academy (21.0%), after school (19.4%), and after attending private institutes (15.0%). The main reasons for using processed foods as snacks were taste (44.4%), 'no time to eat a meal' (26.4%), and low price (17.7%). In conclusion, while students mostly recognized nutrition labeling, the actual usage rate was low, and snacks were selected and consumed instead of meals for reasons such as attending academic institutes after school. Thus, to encourage the choice of proper processed foods and snacks for adolescents, practical nutrition education using nutrition labeling is needed.

다양한 온도와 포장방법이 한우 안심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Various Temperatures and Packaging Methods on the Storage Properties of Hanwoo Tenderloin)

  • 김종희;이은선;오미화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19-126
    • /
    • 202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microbiological quality indicators (total bacterial count and coliform count) and physicochemical quality indicators (pH, redness, volatile basic nitrogen [VBN] content) of meat according to various storage temperatures (-20~15℃) and packaging methods (wrap, vacuum). Based on these results, we proposed a safe consumption period. Redness, pH, and VBN content were not considered appropriate for setting the expiration date, as the redness and pH of the meat after spoilage were better than the standard values for both vacuum and wrap packaging (p<0.05). Additionally, the VBN content at 2 and 4℃ increased slightly (fresh level) until the initial time of spoilage (1.0×106 colony-forming unit [CFU]/cm2) and then increased rapidly thereafter. Therefore, the results were not consistent with microbial spoilage. When the decay point was evaluated based on the presence of microorganisms, vacuum packaging extended the storage period approximately 2.5-fold when compared with wrap packaging, and the meat could be stored at 2 or 4℃ for 40 or 23 days, respectively. Therefore, to evaluate meat quality, microbial indicators should be considered first. The microbiological standards proposed in this study can be used for safety management during the distribution of meat. However, to ensure meat safety, additional investigations of appropriate indicators of freshness must be conducted.

식품표시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및 이용 실태 (Consumers의 Awareness and Utilization of Food Labels)

  • 김향숙;백수진;이경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948-953
    • /
    • 1999
  • 소비자 중심적인 식품표시를 개발하기 위해 현행 식품 표시제도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확인정도, 신뢰도 등을 설문조사를 통해 검토했다. 식품표시를 '법으로 규정하고 있다'고 답한 응답자는 조사대상자의 67.6%로서 법적 규정에 대한 인지도는 교육정도에 따라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어, 학력이 높을수록 '법으로 규정하고 있다'고 답한 응답자의 비율이 높았다(p<0.001). 식품표시를 하는 이유로는 조사대상자의 47.5%가 '소비자에게 식품정보를 알리기 위해서'라고 응답했으며, 36.4%가 '식품의 위생척 취급을 위해서'라고 응답하여, 대부분의 응답자가 식품표시를 정보원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전업주부는 다른 직업 종사자에 비해 '식품의 위생적 취급을 위해서'라고 답한 응답자의 비율이 높게 나타나(p<0.01), 주부는 가족의 건강과 안전을 중요시함을 알 수 있었다. 식품을 구입할 때 표시를 확인하는 정도는 '확인하는 경우가 많다'는 응답 자가 48.9%, '반드시 확인한다'는 응당자가 38.9%로서 대부분이 식품표시를 확인하고 있었다. 식품표시를 확인하는 이유로는 대부분(61.5%)이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해서'라고 응답했으며, 식품을 구입할 때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표시사항으로 유통기한(26.9%)과 제조연월일(25.4%)이라 응답하여 식품 구매시 식품의 안전성 확인에 큰 비중을 두고 있었다. 식품표시에 대한 신뢰정도는 '매우 신뢰한다' 1.6%, '대체로 신뢰한다' 83.7%로서 대부분의 응답자는 표시내용을 신뢰하고는 있으나 전적으로 신뢰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신뢰하지 않는 이유로는 표시내용과 다른 경우를 직.간접 경험했기 때문이라고 답한 응답자가 69.2%이었으며 제조업자에 대한 불신도 25%에 달하였다.

  • PDF

중학교 2학년 기술.가정 교과 내 식생활 단원의 내용 분석을 통한 학생들의 실천도 조사 (Analysis of Students' Level of Participation through the Content Analysis of the Unit of Dietary Life from Grade 9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s)

  • 김윤선;김복란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65-78
    • /
    • 2013
  • 본 연구는 중학교 2학년 기술 가정 교과 내 '식단과 식품 선택'과 '식사 준비와 예절' 단원의 교육내용을 표/그림/사진, 읽기 자료, 활동자료로 나누어 살펴보고, 내용분석을 통해 추출된 체험 중심 항목을 식생활 단원을 모두 이수한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천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식단과 식품의 선택' 단원과 '식사준비와 예절' 단원은 대체로 활동자료를 통해 가정생활에서의 실천적이고 체험적인 측면이 강조되고 있었으며, 표/그림/사진과 읽기자료가 직접적으로 학생들의 체험을 제공하지는 않지만 다양한 활동과 문제 해결이 가능할 수 있도록 개념을 설명하고 있었다. 체험 중심 학습 내용 중 학생들의 실천도가 높은 항목은 '식사예절 지키기'(3.24), '식품 구매시 영양표시, 유통기한, 원산지 등을 반드시 확인하기'(3.18) 순이었으며, 실천도가 낮은 항목은 '음식 만들어보기'와 '균형 잡힌 식단 작성하기' 문항으로 나타났다. 이는 수업 시간 내 직접 체험할 수 있는 활동자료를 제시한 항목에서 학생들의 실천도가 높은 것과 관련이 있었다. 따라서 기술 가정교과 내 식생활 단원에 대한 학생들의 관심도를 높일 수 있도록 강의중심의 수업보다는 다양한 교육매체 및 교수학습방법을 개발하여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수업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PDF

고등학생의 식품위생태도와 개인위생관리의 성별에 따른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Food Hygiene Attitude and Personal Hygiene Management of High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Gender)

  • 김숙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207-213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남녀 고등학교 학생들의 식품위생 태도와 개인위생 관리에 관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2015년 7월 16일부터 10월 15일 까지 충남지역 16개 고등학교의 학년 당 30명씩에게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미회수 및 불충분한 설문지를 제외한, 총 1,214 부(남 618, 여 596)에 대해 SPSS(ver 18.0)을 사용하여 통계처리하였다. 연구 결과, 여학생은 남학생보다 식품을 살 때 유통기한을 더 확인하고(3.78, 3.57), 가열했던 식품을 보관한 후 그대로 먹는다는 응답이 적었고(2.83, 3.02), 식품의 특성에 맞게 보관 저장한다(3.92, 3.72)고 하였다. 반면, 남학생은 여학생보다 식품포장 표시사항을 자세히 살피고(3.34, 3.22), 음식을 먹을 때 개인접시를 꼭 사용한다(3.43, 3.32)고 응답하였다.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화장실 다녀온 후 항상 손 씻기(4.25, 3.94)를 잘하였고, 정수기 이용할 때 개인 컵을 더 사용(3.45, 3.32)하고, 손톱을 더 청결하게 관리(3.61, 3.49)하였으며, 식사도중에 돌아다니거나(2.14, 2.53) 화장실에 간다는(2.22, 2.57)응답이 낮았다. 남학생은 여학생보다 식사 전 손 씻기(3.64, 3.50)와 올바른 방법으로 손 씻기(3.58, 3.46)를 잘하고, 기침을 할 때 휴지, 손수건 또는 소매로 잘 막는 편(3.55, 3.37)이라고 응답하였다. 본 연구에서, 고등학생은 식품위생태도와 개인위생관리 부분에서 성별에 따라 유의적 차이를 보였고, 각각 개선이 필요한 부분이 다른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성별에 따라 차별화된 식품위생태도와 개인위생관리에 대한 교육이 필요함을 제언한다.

신선도표시계를 이용한 쇠고기 및 돼지고기의 저장 중 신선도 측정 및 품질 변화 (Use of Freshness Indicator for Determination of Freshness and Quality Change of Beef and Pork during Storage)

  • 신희영;구경주;박상규;송경빈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325-330
    • /
    • 2006
  • 식육의 신선도를 판정 할 수 있는 신선도표시계를 제작하여 냉장 저장 중 돼지고기의 삼겹살과 쇠고기의 등심의 신선도 및 품질 변화를 측정하고자 저장 중 표면 pH, VBN, TBARS, 총균수 전자코 측정 및 관능검사를 수행하였다. 저장기간 중 삼겹살과 등심 모두 저장 6일 경과 후 신선도표시계의 색이 변하였다. 저장 기간 중 품질의 변화를 측정 한 결과 신선도표시계의 반응 시점과 같은 저장 6일에 VBN, TBARS, 총균 수의 값도 부패 시점 기준에 도달하는 값을 나타내었고 관능검사 결과도 저장 6일 이후에는 이취 등에 의하여 가식이 불가능 하였다. 전자코 분석에서도 저장 0일째, 저장 6일째, 저장 10일째의 향기 분석에 있어서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는 저장 중 식육의 이화학적, 미생물학적, 관능적 변화를 고려할 때, 제작된 신선도표시계의 시료 부착을 통하여 유통 중인 식육의 선선도 측정이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신선도표시계를 이용한 계육의 저장 중 신선도 측정 및 품질변화 (Use of Freshness Indicator for Determination of Freshness and Quality Change of Chicken during Storage)

  • 신희영;구경주;박상규;송경빈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761-767
    • /
    • 2006
  • 계육의 신선도를 판정할 수 있는 신선도표시계를 제작하였고, 냉장저장 중 계육의 신선도 및 품질변화를 측정하고자 저장 중 표면 pH, VBN, TBARS, 총균수, 전자코 측정 및 관능검사를 수행하였다. 저장 중 계육의 모든 부위는 저장 3일 경과 후 신선도표시계의 색의 변화로 신선도가 저하되었음을 제시해주었다. 저장 중 품질변화를 측정한 결과 신선도표시계의 반응시점과 같은 저장 3일에 VBN, TBARS, 총균수의 값 또한 부패시점에 도달하였고, 관능검사 결과도 저장 4일 이후에는 이취 및 표면에 점질물 생성 등으로 가식이 불가능하였다. 부패취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한 전자코 분석에서도 저장 0일차, 저장 3일차, 저장 5일차의 향기분석에서 주성분 분석값이 뚜렷한 차이를 보여 계육 부패시점이 3일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신선도표시계인 신선도표시계는 계육의 저장 중 신선도 확인을 실시간으로 해줌으로써 계육의 유통기한 확립 측면에서 매우 유용한 장치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초등학교 고학년에서 간식 선호도, 간식구매행동, 간식섭취와의 관련성 - 성별과 TV시청시간을 중심으로 - (Interrelations Among Snack Preference, Purchasing Behaviors and Intake in Upper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 Compared by the Gender and TV Watching Time -)

  • 허은실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429-441
    • /
    • 201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interrelations among snack preference, purchasing behavior and intake of fifth and sixth 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s in Gyeongnam province. Frequency of snack intake was the highest in those who reported 'once a day' (45.6%) snack habit. Longer-time television viewers also showed higher frequency of snack intake than shorter-time viewers. Thirty-three percent of students purchased snacks by themselves and the frequency of snack purchasing ha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TV watching time (p < 0.01). The main reason, place and time of eating snacks were 'hunger' (79.2%), their home environment (50.9%) and 'after school hours' (89.7%). The favorite snack was 'ice cream' and, this snack habi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gender of the child (p < 0.01) and TV watching time (p < 0.01). 'Milk and dairy products' scored highest (3.47) in snack intake frequency among longer-time TV viewers (> 2hr) compared to shorter-time TV viewers and this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 < 0.001). The snack preference score was correlated positively (r = 0.454) with the intake frequency for snack and its explanation power ($R^2$) was 20.5%. With regard to snack purchase behaviors, the scores of 'checking the expiration date' and 'comparing the price with similar products' were high (in what group?). Female students (p < 0.001) and shorter-time TV viewers (< 2hr) (p < 0.01) had a more reasonable purchasing behavior. The total score of preference was significantly higher (p < 0.05) in shorter-timeTV viewers (< 2hr). In the correlation between snack purchasing behaviors and intake frequency, attractiveness (r = 0.208, p < 0.001) and preference (r = 0.330, p < 0.001)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The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preference only was selected ($R^2$= 0.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