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od behaviors

검색결과 1,271건 처리시간 0.028초

서울 소재 일부 중학교 여학생의 비만도에 따른 체형만족도, 식사장애 및 체중조절 태도 분석 (Body Image, Risk of Disturbed Eating Attitudes and Weight Control of Female Junior High School Students by the Body Mass Index in Seoul)

  • 송현정;문현경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11-121
    • /
    • 2014
  • Objectives: In this study, perception of body image, eating attitudes and weight control were examined by the degree of obesity using Body Mass Index (BMI). Methods: Out of 420 questionnaires distributed to the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aged 12-16 years), 407 were returned (97% response rate) and 395 were analyzed (94% analysis rate). Female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based on the BMI percentile using the 2007 Korean National Growth Charts. (1) normal weight ($5^{th}$ percentile ${\leq}$ BMI < $85^{th}$ percentile) (2) obese ($85^{th}$ percentile ${\leq}$ BMI) by 2007 Korean National Growth Charts. Satisfaction of self-body shape, risk of disturbed eating attitudes (Eating Attitude Test : EAT-26), and weight control behaviors were examined. Results: Distribution of the subjects by BMI was 74.5% of normal and 25.5% of obes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elf-perceived current body image and self-perceived ideal body image. The dissatisfaction of body image was higher in obese than in normal groups (p<0.001). 51.4% of female students were unsatisfied with their body image, while 2.6% were very satisfied. Among the students unsatisfied with their body image, 150 (52.1%) were of normal weight and 48 (49.4%) were obese. EAT-26 total scor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obese group ($16.42{\pm}8.23$) compared with normal group ($13.72{\pm}8.10$) (p<0.01). Attempted to weight control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the BMI (p<0.001). Conclusions: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re was desire to become thinner than current status in female students, even those with normal BMI. Many female students were dissatisfied with their body image and attempted to lose weight. It is harmful to their health and nutritional status if they choose undesirable methods.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there are needs to encourage female students for maintaining healthy weight. A higher score of EAT-26 was associated with dissatisfaction of selfbody image and this may lead to unhealthy behaviors in obese female students.

코로나-19 유행 이전과 코로나-19 유행 시기의 청소년 식생활 행태 비교분석 (A Comparison of Dietary Behaviors of Korean Adolescents before and during the COVID-19 Pandemic)

  • 이정우;김유경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61-72
    • /
    • 2023
  • 본 연구는 코로나-19 유행기간 동안 한국 청소년들의 식생활 행태 변화를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2018년부터 2021년까지 청소년 건강행태조사에 참여한 12-18세 227,139명의 설문자료를 사용하였다. 2018-2019년에 참여한 117,343명과 2020-2021년에 참여한 109,796명의 자료를 비교하였다. 다중 회귀 분석을 사용하여 2018-2019년을 기준으로 식생활 행태 변화를 공변량이 보정된 오즈비를(adjusted odds ratio, AOR) 계산하였다. 탄산음료를 전혀 섭취하지 않는 군과 1주일에 3번 이상 탄산음료를 섭취하는 군 사이의 오즈비를 비교했을 때, AOR 0.81(95% confidence interval [CI]: 0.78-0.84)로 코로나-19 유행기간 동안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01). 마찬가지로, 단맛 음료를 전혀 섭취하지 않는 군과 1주일에 3번 이상 단맛 음료를 섭취하는 군 사이의 오즈비를 비교했을 때 AOR 0.69 (95% CI: 0.67-0.72)로 코로나-19 유행기간 동안 감소하였다(p<0.001). 반면, 1주에 3번 이상 패스트푸드를 섭취하는 AOR (1.15, 95% CI: 1.11-1.20)과 1주에 3번 이상 아침식사를 거르는 AOR (1.23, 95% CI: 1.20-1.26)은 코로나-19 유행기간 동안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과일 섭취량은 코로나-19 유행 동안 감소하였으며, AOR 1.26 (95% CI: 1.21-1.31)이었다. 결론적으로, 코로나-19 유행은 한국 청소년들의 식생활 행태에 긍정적인 영향과 부정적인 영향을 동시에 미쳤다.

우리나라 성인의 대사증후군 유병과 관련된 식습관 및 식행동 요인 (Dietary Behaviors Related to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Adults)

  • 박진경;권상희;김양하;장명진;오경원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664-675
    • /
    • 201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ross-sectional associations between dietary factors and the risk of metabolic syndrome (MetS) in 12,755 subjects (males 5,146, females 7,609) aged 19 years or above using data from the 4th (2007-2009)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The prevalence of MetS in Korean adults was 23.6% (males 26.1%, females 20.9%) with the criteria for modified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Adult Treatment Panel III. While males had a higher prevalence of abdominal obesity, hyperglycemia, hypertriglyceridemia, and high blood pressure than females, the prevalence of low HDL-cholesterol level was higher in females than in males. Among dietary guidelines, the response of 'yes' for asking practice of 'avoiding salty foods', and 'eating moderately and increasing physical activity for healthy weight'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decreased risk of MetS in both males and in females. Especially, the risk of MetS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subjects that responded the practice of all items of Korean Dietary Guidelines. Significantly negative associations with MetS were also found in the responding for practice of 'limiting consumption of alcoholic beverages' in males, and taking dietary supplements in females. Skipping breakfast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risk of MetS. In conclusion, dietary behaviors such as having breakfast, practice of dietary guidelines, and food consumption in moderation could modify the prevalence of MetS, and our findings could be useful for establishing guidelines for preventing MetS.

인위적 구속환경에서 솔수염하늘소의 쏠기와 탈출행동: 성충탈출 방지용 그물망의 생물검정법 제안 (Gnawing and Escaping Behaviors of Monochamus alternatus (Coleoptera: Cerambycidae) in a Confined Environment: Suggesting a Bioassay Method of Netting for Adult Escape Prevention)

  • 고경훈;김동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6권2호
    • /
    • pp.187-193
    • /
    • 2017
  • 솔수염하늘소는 소나무에 시들음 증상을 유발하여 괴사시키는 소나무재선충을 매개하는 대표적 매개충이다. 소나무재선충병 고사목 방제살충처리 방법으로 훈증방법을 대체할 수 있는 그물망을 이용한 방제법이 도입되고 있다. 본 연구는 솔수염하늘소의 쏠기와 탈출 행동을 유발시키는 조건을 구명하기 위하여 구속 공간 및 온도를 달리 처리하고 탈출여부를 조사하였다. 솔수염하늘소는 직경 30 mm 이하의 공간에 구속되었을 때 장애물을 뚫고 탈출이 가능하였다. 온도 $15^{\circ}C$에서는 탈출에 성공하지 못하였으며, $20{\sim}30^{\circ}C$ 범위에서 탈출 성공률이 높았다. 먹이를 이용한 솔수염하늘소의 유인은 탈출 성공률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좁은 공간에 구속되지 않는 경우는 갉는 부위가 집중되지 않아 탈출공을 형성하지 못하였다. 구속된 공간에서 솔수염하늘소는 가운데와 뒷다리 부절을 이용해 좁은 공간에서 몸을 이동시키며 큰턱으로 정면에 있는 장애물을 집중적으로 갉아서 탈출공을 만들고 앞다리를 뻗어 몸을 지탱하면서 빠져나오는 행동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훈증 대체기술로 제시되고 있는 구속 그물망의 성능을 평가하는데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외식조리 전공자가 인지한 교수의 사회적 지지와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분석 - 충청도에 위치한 4년제 대학을 중심으로 -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of Professor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Foodservice and Culinary Art Majors - Focus on the University in Chungcheong Province -)

  • 나태균;문성원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06-117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외식조리전공자를 대상으로 교수의 사회적 지지와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충청도에 소재한 4년제 대학 3개교에서 외식조리 관련학과를 전공하는 250명을 표본으로 추출하였다. 33명의 자료를 제외하고 총 217명을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의 사회적 지지는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교수의 사회적 지지가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칠때 부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교수의 정서적, 정보적, 물질적, 평가적 지지를 통한 진로교육을 통해 외식조리전공자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을 향상시켜야 할 것이다.

  • PDF

중.고등학생의 환경호르몬에 대한 인식도, 정보획득 행동, 지식, 노출저감화 행동 및 교육요구도 에 관한 연구 (Recognition, Information Acquisition Behavior, Knowledge, Behaviors to Decrease Exposure and Education Need toward Endocrine Disruptors among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 김미라;김효정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23-142
    • /
    • 2009
  • 본 연구는 중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환경호르몬에 대한 교육방향을 설정하고 교육내용을 구성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환경호르몬에 대한 인식도, 정보획득 행동, 지식, 행동, 교육요구도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자료는 서울, 인천, 대전, 대구, 부산, 광주 등 대도시에 거주하는 중학생 및 고등학생 180명으로부터 수집되었다. 본 연구의 자료는 SPSS WINDOWS Version 14.0으로 분석되었으며, 빈도분석, Cronbach's alpha, t 분석, 일원분산분석, Duncan의 다중범위분석, ${\chi}^2$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첫째, 중 고등학생의 환경호르몬에 대한 관심도는 별로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고 대다수의 응답자들이 환경호르몬이 사람에게 위험을 주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환경호르몬에 대한 정보는 '텔레비전, 라디오'로부터 가장 많이 얻고 있었으나 환경호르몬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거나 획득한 정보를 이해하는 것이 쉽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학교' 및 '텔레비전, 라디오'로부터 환경호르몬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선호하고 있었다. 셋째, 환경호르몬에 대한 지식 수준과 노출저감화에 대한 행동 수준은 높지 않았으며, 환경호르몬 노출을 줄이기 위한 행동 수준은 지식 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환경호르몬에 대한 교육 필요성 인식도는 매우 높은 편이었고, '환경호르몬 피해 예방법', '환경호르몬 방출물질 또는 오염물질', '환경호르몬의 위해성' 순으로 교육내용 요구도가 높았다.

  • PDF

일부지역 대안학교 학생의 구강보건의식 행태 조사 (A Survey Study on Oral Health Knowledge and Behaviors in Alternative School Students)

  • 이재라;이흥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260-267
    • /
    • 2012
  • 본 연구는 연구대상자가 일반학교 학생이 아닌 특성화학교의 학생을 대상으로 구강보건의식행태에 관해 조사한 결과 아래와 같다. 1. 학생들의 잇솔질 시기에 대해 살펴본 결과, 저녁식사 후에 잇솔질을 하는 학생이 29.5%로 가장 많았고, 우식예방을 위한 설탕함유 음식 섭취제한 여부에 관한 결과, 그렇지 않은 편이라는 학생이 53.3%로 가장 많았으며, 구강보건지식에 대한 정보 습득 경로에 관한 결과, 이웃과 가족을 통해 지식을 얻는다는 학생이 72.0%로 가장 많았다. 2. 학생들의 1일 평균 잇솔질 횟수에 대해 살펴본 결과, 3회 실시하는 학생이 45.2%로 가장 많았으며, 학년(p<0.01), 성별(p<0.01), 등하교 방법(p<0.05), 경제적 상태(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학생들의 보조구강위생용품 사용여부에 대해 살펴본 결과, 사용한다는 학생이 64.5%로 가장 높았으며, 학년이 높은 고등학교에서 높았으며(p<0.01), 경제적인 상태(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학생들의 과자 등 간식 섭취횟수에 대해 살펴본 결과, 하루에 2-3회 37.7%, 1번 34.6%로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경제적 상태(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음료 섭취횟수의 결과는 마시지 않음 38.0%, 1번 37.7%로 비슷하게 나타났고, 학년(p<0.01), 경제적 수준(p<0.05)에 따라 음료섭취의 횟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자민족중심주의에 따른 대만소비자의 곶감선호도와 소비행태 분석 (Ethnocentrism and Taiwanese Consumer's Preference and Consumption Behaviors on Dried Persimmon)

  • 유소이;박명은;박재홍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252-262
    • /
    • 2017
  • 최근 들어 한국산 곶감 수출활성화와 해외 판매량 증대를 위하여 해외 시장에서의 소비자 수요를 측정하고 분석할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제품의 원산지와 연관된 소비자의 자민족중심주의는 해외 시장에서의 소비자 수요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요인들 중 하나가 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자민족중심주의를 기반으로 하여 곶감에 대한 대만소비자의 선호도와 소비행태를 분석하는 것이었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수입곶감에 대한 소비자 인식은 소비자 자민족중심주의의 수준에 따른 차이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산 곶감에 대한 인식과 선호도는 자민족중심주의의 수준에 따라 만족도, 맛, 색깔, 안전, 포장, 경도 측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로짓분석 결과 대만소비자의 한국산 곶감에 대한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한국산 곶감에 대한 만족도로 나타났고, 한국산 곶감의 구매 경험에는 연령이 가장 영향력이 큰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앞으로 대만 시장에서 판로 확보와 수익창출을 위해서는 세분화된 시장을 목표로 하여 마케팅 전략을 점진적으로 추진함으로써 한국산 곶감에 대한 소비자 인지도를 높일 필요가 있을 것이다.

울산지역 일부 초등학생의 식행동 유형과 임상증상 유형 (Dietary behavior types and clinical symptomolog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Ulsan Metropolitan City)

  • 홍순명;서정희;복미정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947-956
    • /
    • 2012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both general dietary behaviors and clinical symptoms of diet related effects among fifth grade students at an elementary school in Ulsan Metropolitan City, and to categorize those relationships in terms of their comparative differenc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Out of 694 students polled, 53.7% were of boys and 46.2% were girls with average age of $11.9{\pm}0.3$, average height of $145.1{\pm}6.8cm$, and average weight of $39.7{\pm}9.7kg$. Obesity in boys (5.5%) exceeded girls (3.9%) whereas children categorized as underweight showed girls (14.6%) slightly exceeded boys (10.4%). 2. Dietary behaviors were largely the result of four factors - unbalanced diet, balanced diet, protein and fruits and healthy dietary habits. Of these factors, protein and fruits ($4.04{\pm}1.03$) ranked first, balanced diet ($3.38{\pm}1.04$) second, healthy dietary habits ($3.04{\pm}1.01$) third and unbalanced diet ($2.23{\pm}0.6$) ranked last. 3. When Dietary behaviors were classified with four low ranking factors, they were divided into four types such as convenience (22.4%), good diet (24.7%), busy contemporary modern man (24.3%) and healthy dietary habits (26%). 4. Clinical symptoms include colds ($2.27{\pm}1.15$) followed by headaches ($2.17{\pm}1.19$), stomachaches ($2.16{\pm}1.15$), dizziness ($2.02{\pm}1.15$), atopic allergy ($1.95{\pm}1.30$), prevalence for cold sores ($1.86{\pm}1.07$), allergy ($1.65{\pm}1.05$), and constipation ($1.54{\pm}0.87$). 5. According to the results, clinical symptom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 unhealthy (40.1%) and healthy (59.9%). 6.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dietary behavior types and clinical symptom types, the convenience factor included slightly more of the unhealthy group (56.3%), whereas the good diet (71.1%), busy contemporary modern person (55.8%) and healthy dietary habits (69.7%) included more of healthy group (p<.001). Since the majority of students belonging to the unhealthy group had convenience dietary behavior, education about desirable dietary activities is needed for these students. In addition, nutrition information and information on possible clinical symptoms caused by nutritional imbalance should be provided for students and their households.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디저트 카페의 서비스 품질 특성이 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Effects of Service Quality Characteristics of Dessert Cafes on Consuming Behaviors according to Dietary Life Style)

  • 임현호;양동휘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2권7호
    • /
    • pp.148-157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디저트 카페를 소비자의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창업자들의 디저트카페의 품질 특성이 소비자의 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고, 디저트 카페를 방문하는 218명의 고객을 대상으로 2016년 4월 15일부터 15일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식생활 라이프 스타일에 따라 디저트 카페의 서비스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의 하위변수인 미각추구형, 편의추구형, 건강추구형으로 3가지를 변수로 설정하였고, 종속변수인 서비스 품질은 신뢰성과 공감성으로 2가지 변수로 설정하고 회귀분석으로 실시한 결과, 먼저 종속변수인 신뢰성에 대한 회귀분석의 결과는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의 3개의 하위변수인 미각추구형(${\beta}=.371$, p<.001), 편의추구형(${\beta}=.401$, p<.001), 건강추구형(${\beta}=.474$, p<.001)으로 서비스 품질의 신뢰성에 대하여 모두 유의한 정(+)의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서비스 품질의 공감성에 대한 회귀분석결과, 미각 추구형(${\beta}=.145$, p<.001), 편의추구형(${\beta}=.208$, p<.001), 건강추구형(${\beta}=.236$, p<.001)으로 모두 유의한 정(+)의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디저트 카페의 서비스 품질이 소비자의 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디저트 카페의 서비스 품질의 하위변수인 신뢰성과 공감성으로 2가지의 변수로 설정하고, 종속변수인 소비행동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투입된 2개의 독립변수 중에서 신뢰성(${\beta}=.313$, p<.001), 공감성(${\beta}=.228$, p<.001)으로 소비행동에서 신뢰성과 공감성에 대하여 모두 유의한 정(+)의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