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od additives

검색결과 900건 처리시간 0.033초

Antioxidant Activity of Novel Casein-Derived Peptides with Microbial Proteases as Characterized via Keap1-Nrf2 Pathway in HepG2 Cells

  • Zhao, Xiao;Cui, Ya-Juan;Bai, Sha-Sha;Yang, Zhi-Jie;Cai, Miao;Megrous, Sarah;Aziz, Tariq;Sarwar, Abid;Li, Dong;Yang, Zhen-Nai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1권8호
    • /
    • pp.1163-1174
    • /
    • 2021
  • Casein-derived antioxidant peptides by using microbial proteases have gained increasing attention. Combination of two microbial proteases, Protin SD-NY10 and Protease A "Amano" 2SD, was employed to hydrolyze casein to obtain potential antioxidant peptides that were identified by LC-MS/MS, chemically synthesized and characterized in a oxidatively damaged HepG2 cell model. Four peptides, YQLD, FSDIPNPIGSEN, FSDIPNPIGSE, YFYP were found to possess high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scavenging ability. Evaluation with HepG2 cells showed that the 4 peptides at low concentrations (< 1.0 mg/ml) protected the cells against oxidative damage. The 4 peptides exhibited different levels of antioxidant activity by stimulating mRNA and protein expression of the antioxidant enzymes such as superoxide dismutase (SOD), catalase (CAT) and glutathione peroxidase (GSH-Px), as well as nuclear factor erythroid-2-related factor 2 (Nrf2), but decreasing the mRNA expression of Kelch-like ECH-associated protein 1 (Keap1). Furthermore, these peptides decreased produc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nd malondialdehyde (MDA), but increased glutathione (GSH) production in HepG2 cells. Therefore, the 4 casein-derived peptides obtained by using microbial proteases exhibited different antioxidant activity by activating the Keap1-Nrf2 signaling pathway, and they could serve as potential antioxidant agents in functional foods or pharmaceutic preparation.

Safety Assessment of Genetically Modified Foods and Food Additives in Korea

  • Kim, Chang-Min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17권
    • /
    • pp.185-188
    • /
    • 2001
  • Genetically modified foods and food additives are derived from organisms that have been inserted foreign genetic materials by recombinant DNA techniques to improve the quality or any other pur-poses. The problems such as toxicity, allergenicity and antibiotics resistance in the safety of genetically modified foods are usually concerned. In Korea, the safety of foods is ensured by the Food Sanitation Act. Although there is no specific provision regarding the genetically modified foods in it, any foods that might cause negative effect(s) on public health or human life are prohibited to sell in the market. In order to systematically evaluate safety of genetically modified foods, the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KFDA) promulgated "Guidelines regarding review of safety assessment data for genetically modified foods and food additives (KFDA Notification 1999-46)". The objectives of these guidelines are to ensure safety of genetically modified foods and food additives. In order to evaluate the safety of genetically modified foods. KFDA operates a special expert committee composed by experts from government, universities, research institutes. and consumer's unions. Recently. manufacturers and consumers are interested in the issues on safety and labeling of genetically modified foods, because of increment of imported genetically modified crops and processed foods. Since government and consumers unions have different viewpoints, their positions regarding the issue are different each other. Therefore, the regulation of labeling on genetically modified foods is prepared and should be enforced at July 2000 in Korea. in Korea.

  • PDF

GC-FID를 이용한 식품 중 유동파라핀 함량 분석 (Determination of Liquid Paraffins in Foods by Using GC-FID)

  • 박세종;최재천;임호수;장수진;김소희;김미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545-549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GC-FID를 이용하여 식품첨가물공전에 사용량이 정해져 있는 빵류, 캡슐류, 건조과실류 채소류 및 과실류 채소류 중 유동파라핀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시료에서 n-hexane으로 유동파라핀을 추출하고 $KMnO_4$ 산화반응을 통해 추출물 중 불포화탄화수소의 극성을 증대시킨 다음 aluminium oxide를 충진한 SPE 카트리지로 정제하여 GC-FID로 측정하였다. 검출한계와 정량한계는 각각 10 mg/kg과 20 mg/kg으로 개별 n-alkane으로 정량하는 방법이 아닌 넓은 봉우리로 나타나는 유동파라핀의 면적의 합으로 정량하는 문헌들(15,17)의 값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유동파라핀은 빵류, 건조과실류 채소류 및 캡슐류에서 이형제 등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최종 완제품에서 사용기준 이하로 검출되었고, 과실류 채소류에서 모두 불검출로 나타남에 따라 안전한 수준으로 관리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LC/MS/MS를 이용한 식품 중 아조디카르본아미드 분해산물인 Biurea 함량 분석 (Analysis of Biurea Decomposed from Azodicarbonamide in Food Products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Mass/Mass Spectrometry)

  • 임호수;반경녀;김준현;장귀현;문귀임;양효진;박성관;박혜경;김소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77-382
    • /
    • 2010
  • ADC는 밀가루개량제로 사용기준이 설정되어 있는 식품첨가물이나 이의 사용량과 잔류량을 확인할 수 있는 시험분석법이 확립되어 있지 않은 상태임으로 사전 사후 안전관리를 위해서 ADC의 분해산물인 biurea를 밀가루 및 빵류에서 분석 가능한 방법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식품 중 ADC의 분해산물인 biurea 분석을 위하여 컬럼, 이동상 조건, 전처리 조건, 기기조건 등을 검토하여 LC/MS/MS를 이용한 분석법을 확립하였으며, 개발된 분석법의 회수율, 분석법의 유효성 검증 등을 검토하였다. 회수율은 94.3-112.5%로 양호하였으며, 검출한계(LOD)는 0.003 mg/L의 농도이었고, 정량한계(LOQ)는 0.01 mg/L의 농도이었다. 확립된 분석법에 의해 밀가루 등 51건, 빵 등의 가공식품 59건에 대하여 biurea 함량을 분석한 결과 밀가루 1건에서 2.76 mg/kg의 농도로 검출되었고(검출율: 2%), 빵 등 가공식품에서는 16건이 검출(검출율: 27%)되었으며 검출농도범위는 0.19-18.01 mg/kg(평균: 3.79 mg/kg)이었다. ADC의 사용기준인 밀가루 1 kg당 45mg에 비하여 매우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확립된 식품 중 biurea 분석법으로 밀가루, 빵류 등의 가공식품에 대한 ADC의 사후관리에 기여할 것으로 본다.

첨가제의 배합목적 재정비와 제형에 따른 첨가제의 범위 (Reconstruction on Application Category of Pharmaceutical Additives and Boundaries of Pharmaceutical Additives according to the Dosage Forms)

  • 조정원;김승수;조원경;박효민;박인숙;정주연;정상전;이선희;황성주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7권6호
    • /
    • pp.403-411
    • /
    • 2007
  • The importance of pharmaceutical additives is increasing and the sorts and application categories are being classified in detail. International pharmaceutical council based on IPEC-America, IPEC-Europe and JPEC was established for specifications, safety and efficacy, approval regulations of pharmaceutical additives in 1992. Therefore, scrutinized examination of pharmaceutical additives used for already approved domestic drug was performed under the supervision of KFDA and nomenclature on application categories of pharmaceutical additives was summarized and endowed their glossary. Additionally, the boundaries of pharmaceutical additives according to the dosage form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 dosage forms of Korean pharmacopoeia were classified. These informations could be available for standards & experimental methods, approval, evaluation, audit of drug and contribution for national welfare.

HPLC를 이용한 식품 중 아조디카르본아미드 분석 (Analysis of Azodicarbonamide in Food Products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 임호수;반경녀;김준현;장귀현;문귀임;양효진;박성관;박혜경;김소희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00-105
    • /
    • 2010
  • ADA는 밀가루 개량제로 사용기준이 설정되어 있는 식품첨가물이나 이의 사용량과 잔류량을 확인할 수 있는 시험분석법이 확립되어 있지 않은 상태임으로 사전 사후 안전관리를 위해서 ADA를 밀가루 및 빵류에서 분석 가능한 방법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식품 중 ADA의 분석을 위하여 컬럼, 이동상 조건, 전처리 조건, 기기조건 등을 검토하여 HPLC를 이용한 분석법을 확립하였으며, 개발된 분석법의 회수율, 분석법의 유효성 검증 등을 검토하였다. 회수율은 91.93~97.54%로 양호하였으며, 검출한계(LOD)는 0.02 mg/L의 농도이었고, 정량한계(LOQ)는 0.05mg/L의 농도이었다. 확립된 분석법에 의해 밀가루 등 51건, 빵류 59건에 대하여 ADA 함량을 분석한 결과 밀가루 1건에서 0.95 mg/kg의 농도로 검출되었으나 (검출율 : 2%), 빵류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검출된 ADA의 양은 사용기준인 밀가루 1 kg당 45 mg에 비하여 매우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확립된 식품 중 ADA의 사후관리에 기여할 것으로 본다.

HPLC를 이용한 다류 중 카페인, 테오브로민과 테오필린 동시분석 및 함량 조사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Caffeine, Theobromine and Theophylline in Tea Leaves by HPLC)

  • 윤상순;김현;장수진;임호수;김신희;김미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5호
    • /
    • pp.556-560
    • /
    • 2015
  • 본 연구는 다류 중 천연으로 카페인을 함유하고 있는 식물성 원료를 중심으로 천연유래 카페인, 테오브로민, 테오필린 함유량을 조사하였다. 물을 이용하여 환류냉각 방식으로 추출하였으며, 추출액은 SPE (C18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정제하는 전처리 방법을 확립하였다. 분석방법의 유효성 검증을 위하여 직선성, 검출한계, 정량한계, 회수율 등을 측정하여 HPLC를 이용한 동시 분석법의 유효성을 확인하였다. 확립된 방법으로 다류 중 천연유래 카페인 함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228건의 시료를 수거하여 분석한 결과 카페인은 5.4-58.2 mg/g의 범위로 검출되었으며, 테오브로민은 ND-11.2 mg/g의 범위로 검출되었고 테오필린은 ND-0.7 mg/g의 범위로 검출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다류 중 천연유래 카페인, 테오브로민과 테오필린 함유량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식품 중 카페인의 천연유래 여부 판단 시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Plasticizers in Food Simulants Using GC/MS

  • Park, Na-Young;Yoon, Hae-Jung;Kwak, In-Shin;Jeon, Dae-Hoon;Choi, Hyun-Chul;Eum, Mi-Ok;Kim, Hyung-Il;Sung, Jun-Hyun;Kim, So-Hee;Lee, Young-Ja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93-98
    • /
    • 2009
  • Migration levels of plasticizers, di-n-butyl phthalate (DBP), benzyl-butyl phthalate (BBP), di-n-octyl phthalate(DNOP), di-iso-decyl phthalate (DIDP) and di-iso-nonyl phthalate (DINP), di-(2-ethylhexyl) adipate (DEHA), from 46 poly(vinyl chloride) (PVC) wrap films and 54 PVC gaskets into food simulants were determined using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The method was validated with limit of detection (LOD) of $0.01{\sim}0.02\;{\mu}g/mL$ for DBP, BBP, DNOP and DEHA, and $2\;{\mu}g/mL$ for DIDP and DINP. The linearity were found to be > 0.99 for all the compounds in concentration range of $0.1{\sim}81.4\;{\mu}g/mL$, and overall recoveries were ranged from 90.4 ~ 99.6%. DBP, BBP, DNOP, DEHA, DIDP and DINP were not detected in food simulants, except 1 wrap sample from which 0.28 and $0.99\;{\mu}g/mL$ of DEHA were detected respectively when tested with 20% ethanol and n-heptane as food simulants. These values were below the regulatory limitation in European Union (EU).

  • PDF

샥스핀 가공 중 사용된 메타규산나트륨 분석 (Analytical Method to Quantify Sodium Metasilicate in Shark Fins)

  • 박세종;장수진;최재천;김미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45-148
    • /
    • 2015
  • 메타규산나트륨은 우리나라 식품첨가물공전에 등록되어 있는 품목으로 식용유지류의 여과보조제의 목적 이외에는 사용할 수 없으며, 최종식품 완성 전에 제거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그러나 최근 샥스핀 등 수산물에 중량 증량의 목적으로 메타규산나트륨을 불법 사용하는 사례가 지속적으로 발생함에 따라 메타규산나트륨의 사용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분석법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메타규산나트륨의 수용액은 강알칼리성용액으로 식품에 첨가되면 해리되어 그 자체로 분석할 수 없으며, 규소 양의 측정을 통해 간접적인 방법으로 추정할 경우 시료 자체에 천연적으로 존재하는 규소와 구분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메타규산나트륨의 첨가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기초 자료 확보를 위해 메타규산나트륨 수용액에 가공되지 않은 상어지느러미를 침지하여 중량의 증가, pH 및 규소 함량 변화를 측정하였고, 이를 모니터링 결과와 비교하였다. 그러나 Robberecht 등(7)의 연구결과 6종의 어류에서 규소가 1.77-84.19 mg/kg의 범위에서 검출된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수산물의 종류와 개체 간에 규소 함량의 편차가 크게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향후 샥스핀의 규소 함량 모니터링을 지속적으로 수행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좀 더 보강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그 이후에 대조군과 pH, 수분 및 규소 함량 비교를 통해 메타규산나트륨 사용여부를 유추해 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 Chemometric Aided UV/Vis Spectroscopic Method for Kinetic Study of Additive Adsorption in Cellulose Fibers

  • Chal, Xin-Sheng;Zhou, Jinghong;Zhu, Hongxiang;Huang, Xiannan
    • 한국펄프종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펄프종이공학회 2006년도 PAN PACIFIC CONFERENCE vol.1
    • /
    • pp.137-140
    • /
    • 2006
  • This paper describes a technique combining chemometrics with UV spectroscopy for the determination of the concentra tions of two tissue additives (i.e., wet strength and softening agents) in a cellulose fiber containing solution. In single as ent solutions, the concentration of the additive can be measured by UV spectroscopy at the wavelength where the species having absorption. For a binary (i.e., containing two additives) solution system, the spectral characterization is very complicated. However, if aided by a chemometrical calibration technique, each additive in the binary solution can be quantified simultaneously. The present method is very rapid and simple, it can easily perform a continuous measurement in the changes in the additives' concentration after fiber addition, and therefore this becomes a valuable tool for the adsorption kinetics study of chemical additives onto the cellulose fibers. The time-dependent adsorption behaviors of the wet-strength, softening agent, and their both on fiber were also present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