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od Simulants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25초

PET식품 용기에서 발효 모사 식품으로 전이되는 아세트알데히드와 부틸알데히드 예측 모델 (Theoretical Migration Estimation of Acetaldehyde and Butyraldehyde from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into Fermented Food Simulants)

  • Lee, Daeun;Jeon, Hyunpyo;Kim, Sanghun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160-168
    • /
    • 2016
  • Objectives: Materials coming into contact with food may result in the migration of chemical substances into the food. To protect consumers from exposure, Regulation (EU) No. 10/2011 specifies the use of standard migration tests.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widely used for food packaging materials, has drawn the attention of researchers because unwanted migration of PET into food might occur when consumers reuse packaging material.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predict and develop a migration model for two components, acetaldehyde and butyraldehyde in PET, into food simulants under conditions of changing pH and solvents, such as those observed in fermented foods like kimchi or sauerkraut. Methods: Using a migration model based on Fick's second law of diffusion in one dimension, the migration of acetaldehyde and butyraldehyde from PET into a simulant of fermented food at $20^{\circ}C$ over 10 days was evaluated. The simulant for fermented food was modelled as 10% ethanol for three days, followed by 3% acetic acid for seven days. Results: The migration of acetaldehyde into the 10% ethanol was 0.36 times that of a simulated fermented food system, while that of butyraldehyde was 1.34 times greater. These results may have been influenced by the chemical interactions among the migrants, polymers and simulants, as well as by the solubilities of the migrants in polymers and simulants. Conclusion: Because food simulants have a limited capacity to mimic real food systems under the current migration model, an appropriate simulant and migration test should be considered in the case of increasing acidity. Furthermore, since the accuracy of the worst-case estimation of migration predicted by the current model is severely limited under changing food conditions, food simulants and their interactions should be further investigated with respect to conservative migration modelling.

식품 접촉 모사 환경에서 식품유사용매의 LDPE-나노 TiO2 복합필름 재질특성 영향 평가 (Effect of Food Simulants on the Properties of LDPE-Nano TiO2 Composite Film in Food Contact Environment)

  • 이우석;최재천;박세종;김미경;고성혁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25-132
    • /
    • 2017
  • The effect of food simulants on properties and light barrier function of LDPE-nano $TiO_2$ composite film has been investigated. LDPE-nano $TiO_2$ composite films were prepared with 5.0wt% $TiO_2$ content by melt-extrusion. To simulate food contact environment, according to KFDA standards and specifications for food utensils, containers and packages, food simulants were selected with deionized water, 50% ethanol, 4% acetic acid and n-heptane and composite films were immersed in each food simulant at $70^{\circ}C$, 30 min except n-heptane ($25^{\circ}C$, 60 min). A variety of material properties, including crystallinity, chemical bonds, surface morphology, mechanical, oxygen barrier and optical properties, of LDPE-nano $TiO_2$ composite film were examined with and without the food simulants treatment. As a result, under regulated migration condition, LDPE-nano $TiO_2$ composite showed extremely stable in all properties tested in the study in contact with food simulants indicating that $TiO_2$ nanoparticles are physicochemically stable and quite compatible with LDPE. Results enable us to anticipate migration of $TiO_2$ will probably not occur. To evaluate influence of migration of $TiO_2$ on food stuffs, their color, pH and acidity were observed as well.

각 국가 권역별 이행 실험방법에 따른 고온가열 식품포장재의 시뮬란트별 총이행량 비교 (Comparison of the Overall Migration Values from Various Plastic Food Packaging Materials into Food Simulants Under High Temperature Testing Conditions as Described in the Regulations of Different Country areas)

  • 이근택;김동주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33-341
    • /
    • 2001
  • 각 국가 권역별 이행실험방법에 따라 고온가열 식품 포장재와 용기의 simulants별 이행량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고온가열 식품에 대한 총이행량을 비교해 본 결과 비지방성 simulant로 증류수와 10% ethanol수용액을 사용한 경우 일반적으로 121$^{\circ}C$의 2시간 조건에서의 CPA와 PA 6,6 필름을 제외하고는 2.5 mg/dm$^2$ 보다 낮았다. 지방성 simulant 에서 soybean oil로의 총이행량은 다른 simulan에 비해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실험된 필름들 중 PVC wrap에서의 총이행량은 23.9~54.6 mg/dm$^2$로서 다른 필름들에 비해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비지방성보다는 지방성 식품의 simulant에서 그리고 온도가 높은 조건하에서 이행량이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유사한 실험 온도와 시간 조건하에서는 PA계의 극성 필름은 극성 simulants에서, 그리고 PO계와 같은 비극성 필름은 비극성 simulants에서 이행량이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일부 필름에서 국가 권역별 이행실험 방법 및 조건의 상이함으로 인한 이행량의 차이가 확인되었다는 것은 주목할 만할 사실이다.

  • PDF

Simulation of nanosilver migration from polystyrene nanocomposite into food simulants

  • Soleimani, Jaber;Ghanbarzadeh, Babak;Dehgannya, Jalal;Islami, Sima Baheri;Sorouraddin, Saeed M.
    • Advances in nano research
    • /
    • 제6권3호
    • /
    • pp.243-255
    • /
    • 2018
  • Polystyrene granules were combined with nanosilver to form a nanocomposite film. One-side migration was conducted to test into three food simulants (3% acetic acid, 10% ethanol and 95% ethanol) at $40^{\circ}C$ temperature on different period of time (2, 4, 6, 8 and 10 days). It was found that, among the simulants, the highest migration amount was obtained with 3% acetic acid, while the 95% ethanol revealed the least migration level. Diffusion coefficients of nanosilver particles into simulants were estimated by inverse simulation using experimental data of concentration variation in the simulants. The finite element method used to solve the mass transfer equation and the numerical results indicates the sameresponse with the experimental data. The numerical results confirmed that the highest diffusion coefficient for acetic acid 3% (1.82E-10 to $1.76E-9m^2\;s^{-1}$) and the lowest diffusion coefficient for ethanol 95% from 2 to 10 days were obtained, respectively. Also, results of diffusion coefficient - concentration relation showed, the diffusion coefficient had in direct correlation with time and concentrat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in the 3% acetic acid, due to the increasing of diffusion coefficient of silver nanoparticles, they are released faster and distributed uniformly.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Plasticizers in Food Simulants Using GC/MS

  • Park, Na-Young;Yoon, Hae-Jung;Kwak, In-Shin;Jeon, Dae-Hoon;Choi, Hyun-Chul;Eum, Mi-Ok;Kim, Hyung-Il;Sung, Jun-Hyun;Kim, So-Hee;Lee, Young-Ja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93-98
    • /
    • 2009
  • Migration levels of plasticizers, di-n-butyl phthalate (DBP), benzyl-butyl phthalate (BBP), di-n-octyl phthalate(DNOP), di-iso-decyl phthalate (DIDP) and di-iso-nonyl phthalate (DINP), di-(2-ethylhexyl) adipate (DEHA), from 46 poly(vinyl chloride) (PVC) wrap films and 54 PVC gaskets into food simulants were determined using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The method was validated with limit of detection (LOD) of $0.01{\sim}0.02\;{\mu}g/mL$ for DBP, BBP, DNOP and DEHA, and $2\;{\mu}g/mL$ for DIDP and DINP. The linearity were found to be > 0.99 for all the compounds in concentration range of $0.1{\sim}81.4\;{\mu}g/mL$, and overall recoveries were ranged from 90.4 ~ 99.6%. DBP, BBP, DNOP, DEHA, DIDP and DINP were not detected in food simulants, except 1 wrap sample from which 0.28 and $0.99\;{\mu}g/mL$ of DEHA were detected respectively when tested with 20% ethanol and n-heptane as food simulants. These values were below the regulatory limitation in European Union (EU).

  • PDF

PVC 포장재에서 식품유사용매와 식품으로 이행되는 알킬페놀 (Migration of Alkylphenols from PVC Food Packaging Materials to Food Simulants and Foods)

  • 이선희;임흥열;신효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416-422
    • /
    • 2001
  • 식품포장용 PVC제인 wrap, sheet 및 gasket으로부터 식품 유사용매와 식품으로 이행되는 알킬페놀류를 HPLC와 GC/MSD로 분석하였다. 세 가지 모든 재질에서 7개의 nonyl phenol 이성질체만이 검출되었고 다른 알킬페놀류는 검출되지 않았으며, wrap이 sheet와 gasket보다 그 함량이 높았다. 각 포장재질로부터 수용성 식품유사용매(증류수, 4% acetic acid, 20% ethanol)와 지용성 식품유사용매(n-heptane)에 의한 nonyl phenol의 용출량은 처리온도 $60^{\circ}C$보다는 $95^{\circ}C$에서, 수용성보다는 지용성 식품유사용매에서 각각 많았고, 또한 wrap에서 sheet와 gasket보다 그 양이 많았다. PVC gasket을 사용한 과일쥬스, olefin계 gasket을 사용한 유아용 쥬스, olefin계 병마개를 사용한 음료에서 nonyl phenol이 각각 포장재로부터 이행되었으며, 포장하기 전의 이들 식품에서도 nonyl phenol이 검출되었다.

  • PDF

통조림관 코팅제에서 식품유사용매로 이행되는 비스페놀류의 분석 (Determination of Bisphenols Migrating from Epoxy Can Coatings to Aqueous Food Simulants)

  • 강경모;신효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570-577
    • /
    • 2000
  • 세가지 식품유사용매(증류수, 4% acetic acid, 20% ethanol)중의 비스페놀류(BPF, BPA, BFDGE, BADGE)를 형광검출기의 역상 HPLC와 GC/MSD에 의해 분석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각 비스폐놀류는 $5{\sim}800\;{\mu}g/L$의 검량선에서 상관계수 0.9998 이상이었고 검출한계는 $1.2\;{\mu}g$이하였다. $200\;{\mu}g/L$에서의 정밀도는 3.1%이하였다. 각 식품유사용매에 비스페놀류를 일정량씩 첨가하여 동시 분석하였을 때 BPF와 BPA의 회수율은 95% 이상이었고, BFDGE와 BADGE는 약 80%였으나, 개별 첨가하였 때는 BFDGE와 BADGE 회수율이 95%이상으로 증가하였다. 이 때 검출한계는 모두 $0.40\;{\mu}g$이하였다. Epoxy phenol, modified epoxy, epoxy ester phenol 및 thermoset vinyl의 재질로 내부 코팅한 통조림관에서 식품유사용매로 이행되는 비스페놀류는 역상 HPLC에 의한 정량과 GC/MSD로 확인하였다 모든 재질에서 3가지 식품유사용매에 의해 BPF, BFDGE, BADGE는 검출되지 않았으나 4% acetic acid와 20% ethanol에 의해 modified epoxy를 제외한 재질에서 모두 BPA가 검출되었다.

  • PDF

HPLC-UVD를 이용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기구 및 용기·포장 유래 자외선흡수제 동시분석법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UV Absorbers Migrated from Polyethylene and Polypropylene Food Packaging Materials into Food Simulants by HPLC-UVD)

  • 최희주;최재천;배인애;이찬용;박세종;김미경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434-442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식품용 기구 및 용기 포장으로부터 식품유사용매로 이행되는 12종의 자외선흡수제(Uvinul 3000, Cyasorb UV 24, Uvinul 3040, Tinuvin 312 및 P, Seesorb 202, Chimassorb 81, Tinuvin 329, 234, 326, 328 및 327)의 분석법을 확립하였다. 식품유사용매 중 물, 4% 초산, 50% 에탄올의 경우 hydrophilic-lipophilic balance (HLB) 카트리지로 고체상 추출법(Solid Phase Extraction)을 이용하였고, n-헵탄의 경우 이소프로판올로 희석하여 HPLC-UVD(310 nm)로 자외선흡수제의 이행량을 분석하였다. 확립된 분석법으로 일회용기, 밀폐용기, 일회용백, 소스병, 물병, 도시락 등 국내 유통 폴리에틸렌(60건) 및 폴리프로필렌(140건) 재질의 식품용 기구 및 용기 포장 200건으로부터 식품유사용매로 이행되는 12종의 자외선흡수제 이행량 조사 결과, 물, 4% 초산, 50% 에탄올, n-헵탄 4가지 식품유사용매 모두에서 자외선흡수제는 검출되지 않았다. 따라서, 실제 가정에서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재질의 식품용 기구 및 용기 포장을 사용하는 환경에서는 자외선흡수제의 이행 정도는 안전한 수준인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자외선흡수제를 0.1 wt%, 0.5 wt%씩 첨가하여 제작한 시편에서의 이행정도는 0.02~0.5% 수준으로 나타나 통상적인 식품용 기구 및 용기 포장을 사용하는 조건에서 자외선흡수제의 이행량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고, 안전한 수준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확립된 12종 자외선흡수제의 식품유사용매로의 이행량 동시분석법은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식품용 기구 및 용기 포장의 안전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각 국가 권역별 이행 실험방법에 따른 지방성 및 고온가열 식품포장재에서의 특정이행량 비교 조사 (Comparison of the specific migration values from various plastic food packaging materials being used for fatty food and at high temperature obtained by using testing methods as prescribed in the regulations of different country areas)

  • 이근택;김동주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10
    • /
    • 2002
  • 각 국가 권역별 이행실험방법에 따라 지방성 및 고온가열 식품 포장재에서의 시뮬란트별 항산화제와 DEHA의 특정이행량을 비교하였다. 고온 가열용 식품 포장재의 경우 일부 두께가 두꺼운 필름, 예를 들어 PP 필름에서는 각 국가 권역별 시뮬란트 종류와 온도 조건의 차이에 따른 항산화제의 이행량의 차이가 나타났다. 미국이나 유럽연합에서 지방성 식품의 시뮬란트를 이용하여 얻어진 실험치에 $2{\sim}5$의 reduction factor가 계산되는 것을 감안한다면 아시아 조건하에서의 이행치가 유의적으로 높아지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아시아의 이행 실험 조건은 해당포장재의 온도 노출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 PDF

HPLC를 이용한 캔 식품 및 식품 유사용매 중 BPA, BPF, BADGE, BFDGE 및 분해산물의 동시분석법 (Simultaneous Analysis Method of BPA, BPF, BADGE, BFDGE and Their Degradation Products in Canned Foods and Food Simulants by HPLC)

  • 최재천;경석헌;이근택;이광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74-179
    • /
    • 2002
  • 역상 HPLC를 이용하여 식품용 캔에서 이행된 캔 식품 및 식품 유사용매 중에 잔류하는 BADGE, BFDGE 및 가수분해 또는 염화물(chlorinated) 형태인 그들의 분해산물인 $BADGE{\cdot}H_2O$, $BADGE{\cdot}2H_2O$, $BFDGE{\cdot}H_2O$, $BFDGE{\cdot}2H_2O$, $BADGE{\cdot}HCl{\cdot}H_2O$, $BADGE{\cdot}HCI$, $BADGE{\cdot}2HCl$, $BFDGE{\cdot}HCl{\cdot}H_2O$, $BFDGE{\cdot}HCl$$BFDGE{\cdot}2HCI$ 또는 BADGE와 BFDGE의 합성에 사용되는 출발물질인 BPA 및 BPF를 정량하고 이들 물질을 $MSTFA-NH_4I-DTE$ 유도체화 시약으로 유도체화 시킨 뒤 GC/MSD로 정성하는 동시분석법을 확립하였다. 이 방법은 캔 식품 및 식품 유사용매에 각 100 ng/mL의 BPA, BPF, BADGE 및 BFDGE를 첨가하여 행한 회수율 시험에서 $4.1{\sim}7.0%$의 상대 표준편차를 갖는 $90{\sim}114%$의 회수율을 보여 주었으며 검출한계가 $6{\sim}11ng/mL$이었고 정량한계는 $12{\sim}18\;ng/mL$이었으며 검량선의 상관계수도 0.9987이상의 우수한 직선성을 보여 주었다. 따라서 본연구의 방법은 식품용 캔에서 이행된 캔 식품 및 식품 유사용매 중에 잔류하는 BPA, BPF, BADGE, BFDGE 및 가수분해 또는 염화물형태인 그들의 분해산물을 정량함에 있어 적합한 방법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