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od Interest

검색결과 1,031건 처리시간 0.034초

산화그래핀이 함유된 폴리이미드 나노복합막의 기체차단성 평가 및 활용 (Graphene Oxide/Polyimide Nanocomposites for Gas Barrier Applications)

  • 유병민;이민용;박호범
    • 멤브레인
    • /
    • 제27권2호
    • /
    • pp.154-166
    • /
    • 2017
  • 식품 포장, 전자 기기 등에 활용되고 있는 고분자 기반 기체 차단성 필름은 경량성, 낮은 제조 원가, 높은 가공성으로 인하여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전자기기에 활용되기 위하여, 기체 차단 필름은 매우 높은 수준의 기체 차단성을 요구받고 있다. 하지만 현재 수준의 고분자 기반 기체 차단 필름은 다른 소재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의 기체 투과유량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기존의 고분자 필름이 가지고 있는 장점을 유지하면서 더 높은 수준의 기체 차단성을 부여하기 위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최근 그래핀 소재는 기체 차단을 위한 2차원 소재로서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그래핀 소재의 낮은 가공성과 어려운 대면적화 문제 때문에 산화그래핀이 그 대안으로서 떠오르고 있다. 산화그래핀은 높은 종횡비를 가지는 2차원 층상구조의 그래핀에 산소관능기를 함유한 형태로서, 수용성 혹은 극성 용매에 잘 분산되는 성질을 가지며, 따라서 대량 생산에 용이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산화그래핀이 함유된 폴리이미드 나노복합막을 제조하였다. 폴리이미드는 현재 널리 이용되고 있는 기체 차단성 고분자 중의 하나로서 높은 기계적 강도, 열적 안정성 및 내화학성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산화그래핀이 함유된 폴리이미드 나노복합막이 기체 차단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더 나아가, Triton X-100이나 sodium deoxycholate (SDC) 등의 계면활성제를 나노복합막에 도입함으로써 산화그래핀의 고분자 매트릭스 내에서의 분산성을 향상시켜 기체 차단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그 결과로서, Triton X-100이 도입된 나노복합막이 예상치와 유사한, 향상된 기체 차단성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고분자 기반 나노복합막의 기체 차단성 분야로의 활용성이 증대될 것으로 기대한다.

영.유아복 세탁에 관한 소비자 행동 연구 - 세탁기 유형별 비교 - (Consumer's Behaviors on the Laundering of Baby's Clothing - Comparison of Washing Machine Types -)

  • 이수연;이정숙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1권8호
    • /
    • pp.1231-1239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onsumer's behaviors on the laundering of baby's clothing according to washing machine types. The subjects were 255 consumers with babies(0-2 years) in Korea. The data were collected with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and analyzed by Chi-square test and multiple response analysis, and SPSS 12.0 statistics package was used. Consumers were separat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washing machine types with general pulsator type and drum-type. Consumer's behaviors between general pulsator type group and drum-type group of washing machines were also examin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In the consumer satisfaction for washing machine, mostly drum-type group of consumers were satisfied with their washing machines. As the reasons of washing machine's dissatisfaction, noise, washing time and low washing efficiency were high in the pulsator type group, and washing time, noise and high price in the drum-type washing machine group. The consumers concerned about separation of clothing and laundering label while they washed laundry by washing machine. However, they didn't separate clothing because the small volume of laundry and a long washing time. The most interest and required thing of consumers was complete rinsing without any detergents used in washing as well as the removal of soils for baby's clothing regardless of two washing machine types. And they complained food soils like milk and mother's milk etc. were not completely removed by washing machine. As a whole the washing frequency of baby's laundry was once per a day and the rinsing also more than three times per a laundry. Most of the consumers used a private detergents for baby's clothing(detergents for baby's clothing only), and preferred to the high or boiled temperature washing as a desirable baby's laundering.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eneral pulsator type group and drum-type group of washing machines on the laundering of baby's clothing in this study.

장수풍뎅이 유충 열수 추출물에 의한 항알레르기와 항염증 효과 (The Anti-inflammatory and Antiallergic Effects of Allomyrina dichotoma Larva Hot-water Extract)

  • 이화정;서민철;김인우;이준하;황재삼;김미애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10호
    • /
    • pp.1130-1136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장수풍뎅이 유충 추출물을 이용하여 알레르기 및 염증 반응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장수풍뎅이 유충 추출물의 항알레르기와 항염증 효능은 Compound 48/80에 의해 활성화된 비만세포(RBL-2H3)와 lipopolysaccharide(LPS)로 활성화된 대식세포(Raw 264.7)로부터 분비 또는 발현되는 ${\beta}-hexosaminidase$, $TNF-{\alpha}$, IL-4, IL-6, COX-2, nitric oxide, 및 iNOS를 측정하여 관찰하였다. 비만세포에 장수풍뎅이 유충 추출물과 Compound 48/80을 함께 처리한 경우 비만세포의 탈과립에 의해서 분비되는 ${\beta}-hexosaminidase$의 양이 현저히 감소하였으며 $TNF-{\alpha}$, IL-4, COX-2의 발현 또한 효과적으로 감소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LPS에 의해 활성화된 대식세포(Raw 264.7)는 장수풍뎅이 유충 추출물 처리에 의해 염증반응인자인 IL-6와 nitric oxide의 분비량이 현저히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는 장수풍뎅이 유충 추출물이 알레르기와 염증반응의 원인 물질인 ${\beta}-hexosaminidase$ 억제 효과뿐만 아니라, 염증 cytokine의 발현을 저해하는 것으로 보아 알레르기와 염증 질환의 예방과 치료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후변화가 국내 쌀 생산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메타분석 (A meta analysis of the climate change impact on rice yield in South Korea)

  • 신덕하;이문수;박주현;이영섭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6권2호
    • /
    • pp.355-365
    • /
    • 2015
  • 지난 수 십년간 전 지구적인 기후가 극적으로 변화함에 따라 가장 중요한 문제 중 하나로 인식되고 있는 식량 안보에 대하여 기후 변화의 영향을 평가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메타분석을 이용하여 기후변화가 국내 농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특히, 국내 농업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쌀에 대하여 이산화탄소 농도와 두 적응방안(파종시기 변경과 품종 변경)에 대한 효과를 추정하였다. 관심있는 효과에 대한 요약통계량을 이용하는 기존의 일반적인 메타분석 방법과는 달리, 다양한 온실가스 배출 시나리오와 대순환 모형을 사용하여 쌀 생산량을 예측한 6개의 개별 연구로부터 자료를 통합하여 메타분석을 수행하였다. 모델링 접근법으로써 쌀 생산량의 변화율을 종속변수로 설정하고, 이산화탄소 농도와 적응방안의 주 효과와 상호 작용 효과를 독립변수로 설정하여 회귀분석 실시하였다. 결과적으로 적응방안이 고려되지 않을 경우 이산화탄소 농도의 증가는 쌀 생산량을 감소시키나, 적응방안이 고려된다면 이산화탄소 농도의 증가는 쌀 생산량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로 파종시기 변경 방안보다 품종 변경 방안이 쌀 생산량을 더 증가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기후변화 대응책을 수립하는데 정량적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세계화 시대의 국제물류 연구동향과 과제 (Review and Prospects on International Physical Distribution Studies of Geography in the Globtlization Era)

  • 한주성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57-74
    • /
    • 1998
  • 국제물류를 국제무역의 물적유통과 국제 화물유동으로 정의하고 방법론상의 변화를 고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과제를 제시할 수 있다. 첫째, 국제물류에 관한 연구방법의 개발로 물류를 단지 수송의 현상으로써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생산과 소비를 결합하고 정보류를 포함한 종합적 로지스틱으로써 이해할 필요성이 있다. 둘째, 국제물류 유동의 모델화에 관한 연구는 장차 도시를 포함한 지역간의 관계를 주목하는 미시적 관점에서의 연구가 필요하다. 그리고 글로벌 경제로 국가뿐만 아니라 다국적 기업도 무역의 주체로 등장하기 때문에 문화적.행동론적 요소를 가미한 입지론과 경제지리학은 새로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국제물류를 배경으로 한 항만과 그 후배지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기업의 의사결정 행동으로서 항만의 이용을 야기시키는 요인까지 분석할 필요가 있다. 넷째, 석유파동 이후 輕薄短小 화물, 유연적 전문화로 인한 다품종 소량 생산체제와 자유무역주의의 등장과, 신선도를 요하는 식료품이나 화훼 등의 고속수송의 필요성으로 항공 화물수송이 중요시되고 있기 때문에 국제공항을 중심으로 화물의 후배지와 지향지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 PDF

부산.경남 지역 대학생의 향토음식에 대한 의식 및 중요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niversity Students' Attitude and Importance of Native Local Foods in Busan and Gyeongnam Areas)

  • 백종온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37-148
    • /
    • 2009
  • 부산 경남지역에 거주하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향토음식에 대한 의식 및 중요도를 연구함으로써 향토음식에 대한 이해와 관심을 가지는 계기를 마련하고, 계승발전 및 대중화에 대한 방안 모색과 향후 효과적인 발전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향토음식에 대한 대학생들의 의식을 조사하기 위해 인구통계학적 특성 중 성별, 연령, 학과, 거주연한의 특성에 따른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 향토음식에 대해 38.5%가 관심을 가져 본 적이 있다고 하였고, 향토음식에 대해 관심을 가지게 된 계기는 매스컴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향토음식을 먹는 장소는 '향토음식 전문점'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향토음식의 계승발전을 위해 중점을 두어야 할 부문에 대해서는 '대중 홍보'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향토음식의 대중화를 위해 가장 필요한 것은 '다양한 문화적인 행사의 개최 및 홍보'가 가장 높게 조사되었으며, 향토음식의 대중화를 위한 중요도에 대해서는 '홍보 및 마케팅이 대중화를 위해 가장 중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인구통계학적인 특성에 따른 향토음식의 중요도를 분석한 결과 성별, 연령, 부산 경남 거주연한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 PDF

초등학생의 안전사고 실태 및 예방전략에 관한 조사 연구 (A Study on the Occurrences and Preventive Strategies of Accident in Children)

  • 배정이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8권4호
    • /
    • pp.435-448
    • /
    • 2002
  • Accidents are important causes of death and disability in children. They also have enormous financial implications. Young children become an victim of accidents easily because of their physical fragileness and their coping behavior being vulnerable to any actions taken by accidents. Once they have a accident, the children whose not fully developed, suffer from devastating long-term after-effects. Lee, Lee, Kang and Han(1995) reported that ninety percent of accidents can be prevented. But there is no national system to manage, evaluate and analyse the information about child accidents, even though it is necessary for accident prevention policies and health promotion of the general public.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termine how often children have accidents and define the accident prevention strategies in children. The investigator conducted a descriptive study by performing the surveys, interviews, and workshops for the 2,458 young children, 10 teachers, and 1,494 parents. The data collection for the study began on September 2000 and completed on April 20, 2001. The analysis of the data was done with Window SPSS 10.0 for descriptive statistics. Among those children, 1,298 children(52.8%) injured from accidents. The children who had accident answered that they injured from traffic accident(27.3%), inside the home(26.3%), on the playground(17.0%), during playtime(13.6%), in the school(5.9%) and food poisoning(7.1%). To define accident prevention strategies for the school children, the parents and the teachers who had a special interest in this topic formed a special task force under the guidance of the investigator. The team was charged to prepare the basis of content materials by identifying the problems, setting standards for the program, prioritizing the process, and selecting the methods of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Eight issues and concerns identified by the team were: 1)allowing young children to learn undesirable habits and behaviors that would bother others without knowing; 2) not guarding young children from car accident; 3)unattended accident at playground; 4) considering home places safe; 5)unattended accident at school. These issues were found to be coinciding with the actual child accident cases occurred recent years in Korea. Greater efforts are required to reduce unnecessary deaths and disability from childhood accidents. This study gave a very useful and important data to prepare accident prevention educational program and to prepare accident prevention strategies.

  • PDF

흑마늘 가루를 첨가한 식빵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Added with Black Garlic Powder)

  • 주형욱;안혜령;이광석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60-273
    • /
    • 2010
  • 본 연구는 건강기능성 식품 소재로 관심이 높은 흑마늘 분말의 첨가량에 따른 식빵의 품질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Mixograph를 이용한 mixogram 결과는 흑마늘 가루를 첨가한 반죽은 제빵 적성에 적합하였으며, 반죽의 stickness는 흑마늘 가루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점착력이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식빵 반죽의 1차 발효 시간이 60분 정도 소요되는 동안 흑마늘 분말 6% 첨가구(BG 6)의 발효율이 가장 좋았다. CrumbScan의 기공의 조밀도 대조구와 흑마늘 분말 첨가 식빵과는 유의적인 차이는 있었으나, 흑마늘 분말 첨가량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흑마늘 분말을 첨가한 식빵의 부피와 비용적은 흑마늘 가루의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작아졌으며, 기호도 검사 결과에서는 외관과 맛은 BG 6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고, 전체적인 기호도는 흑마늘 분말 6% 첨가구(BG 6)와 9% 첨가구(BG 9)가 동일하였으나, 원가 절감 측면에서는 BG 6이 흑마늘 가루의 최적 첨가량으로 보아진다.

  • PDF

부추 당침액의 유산균 발효에 따른 항산화 및 ACE저해활성 (Antioxidant and ACE Inhibiting Activities of Sugared-Buchu (Allium ampeloprasum L. var. porum J. Gay) Fermented with Lactic Acid Bacteria)

  • 이중복;배정식;손일권;전춘표;이은호;주우홍;권기석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671-676
    • /
    • 2014
  • 본 연구는 최근 국민들이 많은 관심을 갖는 식물발효 효소액 중 부추 당침액(부추:설탕 1:3)을 유산균(Lactobacillus acidophilus AML 0422, Lactobacillus brevis HLJ 59, Lactobacillus helveticus AML0410, Lactobacillus plantarum KCTC 13093) 발효를 통해 발효 부추액의 항균활성 및 항산화활성과 항고혈압활성 등의 기능성을 발효 전 후의 유효특성을 조사하였다. 유산균을 이용하여 발효한 발효 부추액은 S. aureus KCTC 1916에 대해 31.43 mm의 높은 항균력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총 폴리페놀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DPPH 활성 소거능이 160.8-178 mg/ml, 100-108 mg/ml, 82.8-93.5%로 각각 조사되었다. DPPH 활성 소거능에 있어서는 Vitamin C 50 ppm과 유사한 활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혈관질환 및 뇌혈관질환 등 고혈압과 관련이 깊은 ACE 저해활성은 유산균의 종류에 따라 50.4-67%로 발효전인 32.6%보다 좋은 활성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유용 유산균을 이용한 부추 당침액의 발효산물은 항균활성, 항산화활성과 ACE 저해활성 등 우수한 생리활성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국인으로부터 분리한 Pediococcus pentosaceus EROM101의 면역증강 및 항암활성 (Immunostimulating and Anti-cancer Effects of Pediococcus pentosaceus EROM101 Isolated from Korea.)

  • 송미경;우석규;장정순;김중학;김화영;홍성길;이병욱;박미현;정건섭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55-361
    • /
    • 2003
  • 사람 분변으로부터 대식세포 활성 증강효능이 있는 유산균을 선별하여 이를 동정한 결과 P. pentosaceus 동정되었으며, 이 균주를 P. pentosaceus EROM101로 명명하였다. P. pentosaceus EROM101의 면역증강 및 항암활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동물에게 3주간 생균 및 파쇄액을 경구 투여한 뒤 대식세포와 비장세포의 활성화를 측정하였으며, 동시에 소장점막상피세포에서 생산되는 IgA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P. pentosaceus EROM101의 경구 투여는 대식세포 및 비장세포의 분열을 촉진하여 면역증강 기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생균보다 파쇄액에서 활성이 더 뛰어난 것으로 나타나, P. pentosaceus EROM101은 장내에서 생균으로 서식하여 지속적으로 면역증강 기능을 나타내는 것이 아닌 세포 구성물에서 면역증강활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또한, 소장점막상피세포에서 IgA의 분비량에서도 대조군보다 약 4배이상의 IgA 생산량을 증가시켜 장관면역 활성화 기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P. pentosaceus EROM101 파쇄액이 Sarcoma 180 복수암세포를 이식해 준 실험동물 내에서 복수암성장을 억제하였으나, Sarcoma 180 세포열에 대한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아 면역증강에 의해서 항암 활성이 나타난 것으로 추측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P. pentosaceus EROM101은 면역증강 능력이 있으며, 동시에 항암 활성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