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lk Paintings

검색결과 59건 처리시간 0.03초

다문화사회의 문화적 특성을 반영한 텍스타일디자인 콘텐츠 개발 연구 - 중국, 베트남, 일본의 민화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extile Design Contents Reflecting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Multi-cultural Society - Focused on Folk Paintings in China, Vietnam and Japan -)

  • 박상오
    • 한국과학예술포럼
    • /
    • 제30권
    • /
    • pp.119-127
    • /
    • 2017
  • 세계화시대에 따른 다민족, 다문화사회는 이제 전세계가 공통적으로 겪고 있는 현상이다. 우리나라도 이미 다문화사회로 진입하였기에 더 이상은 단일민족이라는 이데올로기에 머무를 수만은 없는 실정이다. 그러나 현재 국내 다문화사회관련 국가정책과 연구들은 제도적 측면과 한국문화의 일방적 교육에 국한되어 있기에 본 연구는 이러한 실질적 한계점을 극복하고자 하는데서 시작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각국의 문화가 함축적으로 반영된 민화에서 디자인 리소스를 확보하고 생활 속 의식주에 가장 밀접한 섬유제품에 접목시킬 수 있는 텍스타일디자인 콘텐츠를 개발함으로서, 문화적 교류에 의한 소통방안을 제시하고자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국내의 결혼 이민자 현황을 기반으로 빈도수 상위 3개국인 중국·베트남·일본의 민화의 특성 분석결과를 통하여 배색 및 텍스타일패턴디자인콘텐츠로 개발함으로써 다양한 섬유상품들에 즉각적으로 적용이 가능하도록 시도하였다. 연구 결과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다문화사회는 국제결혼을 통해 형성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장 많은 결혼이민자 국가는 중국, 베트남, 일본, 필리핀, 캄보디아, 타이, 몽골, 기타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민화는 각국의 차별화된 문화가 함축적으로 내제되어 있는 중요한 요소로서 텍스타일디자인 콘텐츠를 개발하는데 적합하였다. 셋째, 중국, 베트남, 일본의 민화를 활용하여 문양 및 배색 DB구축 및 텍스타일 패턴디자인콘텐츠를 개발한 결과 각국의 문화적 특성이 반영된 콘텐츠의 활용도와 상품화의 가능성을 검증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사회 구성원 간의 문화를 자연스럽게 공유하고 접하는 정서적·예술적 측면의 화합과 차별화된 관련 상품개발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조선후기 불화에 나타난 화(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hoes(靴) Shown in Buddist Paintings in the Late Joseon Dynasty)

  • 박혜령;조신현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76-187
    • /
    • 2007
  • Buddhist paintings in the late Joseon dynasty are characterized by diversification and subdivision of subject matters. Buddhist paintings rapidly declined since 19th century, being miniaturized and showing complicated composition. Figures that identified the shape of shoes in Buddhist paintings of late Joseon dynasty included sacheonwang that were placed in the left and right bottom of Buddhist paintings, sinjung, gwiwang and pan-gwan of siwangtaeng. Sacheonwang, an Indian folk god, was depicted as a noble person in "ahamgyeong", an early sutra, but was depicted as an armored warrior in Mahayana Buddhism world. The style of shoes sacheonwang in Korea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times. The shoes of the sacheonwang sculpture in Seogguram of Shilla dynasty are sandal type. The sacheonwang that was drawn on Jijangbosaldo in Goryeo dynasty wears non-showy armor and red yi(履). The sacheonwang that was expressed on Buddhist paintings in Joseon dynasty wears showy armor and decorated hwa. Comparing the yi of Goryeo Jijangbosaldo sacheonwang with the yi of Bodhisattva on the Dunhuang yeolbanbyeonsangdo, Jijangbosaldo sacheonwang's shoes are Korean style in which the sole is flat and the front part has no decoration, but in the shoes of Bodhisattva on the Dunhuang yeolbanbyeonsangdo the sole is not flat, the front part is lifted. The style of shoes of pan-gwan, who is depicted on Siwangtaeng, is hwa. However, unlike the decorative hwa of sacheonwang, its front is not lifted and it has no decoration. It is assumed that the shoes of sacheonwang or pan-gwan represented obangsaek based on the idea of eumyang-ohaeng. Depiction of shoes shown in Buddhist paintings reflected the phases of the social life. In addition, the sandals of Shilla sacheonwang implies that sourthern culture in addition to Buddhism was introduced. Having expressed the shoes of Goryeo sacheonwang with conventional yi implies that Buddhism governed the inner world of the people, and the shape and material of the shoes reveals aristocracy. It is assumed that that an armored warrior wore yi, not hwa implies that the then society was stable. Also, it is assumed that that the shoes of sacheonwang on Buddhist paintings in Joseon dynasty were hwa implies that the role of tutelary god was stressed in the disordered society.

민화 책가도에 표현된 패턴을 이용한 넥타이 직물디자인 개발 (Development of Necktie's Textile Designs by using Patterns Expressed on Chekgado out of Folk Paintings)

  • 정진순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3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357-358
    • /
    • 2013
  • 정물화적인 요소를 지니고 있는 책가도는 책을 중심으로 이와 관련이 있는 물건들이 함께 표현되어 있다. 여러 가지 물건들이 복합적으로 나열되어 복잡하면서도 치밀한 비례와 안정된 구도를 갖추고 있다. 일정한 선의 반복에서 조형적 세련미를 느낄 수 있으며 장식성, 기능성, 예술성을 엿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책가도에 표현된 문양을 활용하여 세련미와 고풍스러움이 묻어나는 넥타이 직물디자인을 제작하고자 하였다. 우선 문헌고찰을 통하여 한 점의 책가도를 선정, 컴퓨터 디자인 프로그램인 아도브 일러스트레이터를 이용하여 네 개의 모티브를 디자인하고 그것을 활용하여 네 점의 넥타이 직물디자인을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 PDF

구리와 염소 주성분 녹색 안료 코퍼 트리하이드록시클로라이드(Copper Trihydroxychloride)에 대한 고찰 (Review of Copper Trihydroxychloride, a Green Pigment Composed of Copper and Chlorine)

  • 오준석;이새롬;황민영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3권2호
    • /
    • pp.64-87
    • /
    • 2020
  • 중국의 돈황 막고굴 벽화 등 서북지방에서 처음 사용된 copper trihydroxychloride(아타카마이트, 파라타카마이트, 보탈라카이트 등)는 고대부터 동록, 녹염, 염록으로 알려져 왔으며, 중국에서는 석록과 함께 중요 녹색 안료로 사용되어 왔다. 처음에는 천연 광물인 녹염동광이 사용되었지만 5대 이후에는 합성 copper trihydroxychloride가 주로 사용되었다. 중국 문헌에는 동록, 녹염, 염록은 구리 분말, 광명염(염화나트륨), 요사(염화암모늄)을 반응시켜 만드는 것으로 기록되어 있으며, 이렇게 제조된 물질은 copper trihydroxychloride로 분석되었다. 한국에서는 고려시대까지의 회화에서는 발견되지 않았지만, 조선시대 회화(초상화, 산수화, 기록화, 장식화, 불화, 무속화 등)와 건축물 단청의 녹색 안료 분석에서 석록과 함께 중요 녹색 안료로써 사용되었음이 밝혀졌다. 특히 불화, 무속화, 단청, 기타 채색 유물에서는 석록보다 사용 빈도가 높았다. 조선시대에서 사용된 copper trihydroxychloride 안료는 일부 회화의 녹색 안료 분석에서 합성 copper trihydroxychloride가 확인되었지만, 나머지 회화 등의 분석에서는 합성 안료인지 천연 안료인지는 불명확하였다. 문헌과 유물 분석을 통해 조선에서 사용된 copper trihydroxychloride의 안료명은 진한 녹색인 하엽으로 판단되며, 옅은 녹색의 삼록과 함께 주로 사용되었다. 하엽은 조선초(15세기) 중국에서 배워와 처음으로 제조되어 19세기 말까지 계속 제조되었으며, 중국으로부터 수입품도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중국의 채색 유물의 합성 copper trihydroxychloride 안료와 조선의 합성 copper trihydroxychloride의 입자 특성(어두운 코어를 가진 원형 또는 타원형 입자)이 비슷하였다. 따라서 한국과 중국의 합성 copper trihydroxychloride 안료는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된 것으로 추정된다.

수출회화로서 기산 김준근(箕山 金俊根) 풍속화 연구 (A Study on the Genre Painting by Gisan Kim, Jun-Geun as Export Painting)

  • 김수영
    • 미술이론과 현장
    • /
    • 제8호
    • /
    • pp.89-119
    • /
    • 2009
  • Kim, Jun-Geun(Gisan) was a late 19th century Chosen dynasty painter who created numerous genre paintings for West European clients in the newly opened treaty ports of Wonsan, Busan and Inchon. The treaty ports in the late 19th century Chosen represented of the crossroads the economy, values, and the institutions of the West European powers. In particular, the agriculture-based economy, Confucianism, and land-owner noble class started being eroded by a commerce-based economy, the values of Christianity, West European institution, and a new class of people who amassed wealth from commerce. As Kim, Jun-Geun's paintings were created for sale to West European clients, they exhibit characteristics that are distinct from the traditional genre paintings in terms of presentation style and the selection of the subject matters. The export genre painting originated in the 18th century around Guangdong, China. Broadly, there are two styles of genre paintings: the Guangzhou style and Ningbo style. Kim, Jun-Geun's paintings resemble the Ningbo style. The Ningbo style tends to highlight the main subjects, form an album of small paintings, and provide a simple treatment of the scenes without the background. Kim, Jun-Geun's paintings cover most aspects of life of common people of his time, ranging well beyond the subjects matters of the traditional genre paintings. His subject matters include the scenes of funeral, folk games, Buddhist and ancestor worship, prison and punishment, shaman custom, debauchees, government officials' formal trips, beggars and handicapped, etc. Many of the subjects are the neglected and the oppressed of the society. And he presents in detail the dress and its ornament that the subjects wear, and all the utensils and things around them. Besides, his subjects' faces are generally expressionless, and their postures are stiff; as such, the feeling of liveliness or movement is lacking. It may be the results of Kim, Jun-Geun's taking the other perspective, namely of his West European clients, rather than his own. The adoption of the other perspective may in turn be a product of the Social Darwinism and the new sense of values that accompanied the infusion of Christianity and West European institutions. Kim, Jun-Geun's portrayals of his subjects appear to reflect the attributes with which the West European Orientalists' of the period characterized the people of the Far East, namely, backwardness, barbarity, irrationality, violence, and mysticism.

  • PDF

19세기 말~20세기 초 불화에 보이는 민화적 요소와 수용배경에 대한 고찰 -16나한도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actors of Minhwa(民畵) and accepted background that are appeared at Buddhist paintings from late 19th to early 20th century - focused on Sixteen Lohans painting -)

  • 신은미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37권
    • /
    • pp.121-150
    • /
    • 2004
  • 일반적으로 산수표현을 많이 하는 불화 장르로는 십육나한도를 비롯하여 팔상도, 감로도, 관음보살도 등과 조선후기에 특히 많이 조성된 독성도나 산신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불화는 대체로 산수를 비롯하여 다양한 배경을 갖추고 있는데, 18세기 이후 수묵적 전통이 남아있는 경우도 있지만 화려한 채색과 산수를 비롯한 다양한 경물의 표현으로 복잡해지는 경향이 강해지며, 19세기에는 흔히 말하는 민화적 요소가 등장하여 시대적인 경향을 보여 준다. 19세기 말~20세기 초에 제작된 16나한도는 이러한 경향 중에서도 배경묘사에 있어서 전통적인 요소도 있지만 그보다는 채색이나 제재면에서 시대적인 예술경향을 반영하는 민화적인 배경이 가장 다양하고 뚜렷하게 부각되어 배경표현의 주된 요소가 된다는 점에서 다른 불화와 차별된다. 즉 조선후기 16나한도에는 당시 유행하던 민화풍과 궁중화풍 등에서 보이던 청록산수식의 배경묘사가 두드러지며 십장생(十長生) 운룡(雲龍) 맹호(猛虎) 괴석(怪石) 화조(花鳥) 책가(冊架) 등과 같은 새로운 배경표현이 등장하여 폭넓은 수용 태도를 보여준다. 대체로 제재면에서는 수명장수, 부귀, 기복과 관련된 길상 상징물이 압도적으로 많음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조선시대 서민불교로의 전환이라는 불교계의 동향, 특히 도교와 민간신앙과의 습합이라는 불교계의 자구적 모색과 밀접한 관련을 갖고 있다. 이는 16나한도나 당시 불화에 표현된 다양한 도교인물들의 모습을 통해서 엿볼 수 있다. 주로 19세기 말~20세기 초에 제작된 16나한도에 정형화된 양식의 민화풍이 등장한다는 것은 현존 민화의 제작연대를 추론하는 하나의 단서를 제공해 줄 것으로 생각하며, 불화승들이 민간의 수요와 요청에 의해 민화의 작가로 제작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을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조선후기 불화에서의 민화적 요소의 고찰은 그 제재나 형태상의 유사점에서 출발했지만, 극단적인 희화화라든가 파격미 등은 보이지 않는다. 오히려 궁중의 장식그림과 유사한 양식의 표현이 많다는 점은 종교화로서의 기능을 갖추고 있는 불화라서 가능했던 것으로 생각한다.

견본 회화보존처리에 자외선 인공열화견의 적용성 평가 (Estimation of Application of Artificially Deteriorated Silk by Ultraviolets for Conservation of Paintings on the Silk)

  • 오준석;전지연;임인경
    • 보존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91-199
    • /
    • 2011
  • 견본 회화 문화재의 보존처리의 보견작업에 적합한 자외선 인공 열화견을 얻기 위해 자외선의 종류, 자외선 조사시간에 따른 열화견의 물리적 특성과 견본 회화 보존처리에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장파장 자외선(UV-A) 조사 열화견은 단파장 자외선(UV-C) 조사 열화견에 비해 자연상태에서 열화가 일어난 생견과 유사한 표면 손상 형태를 보였다. UV-C 열화견은 자외선 조사와 함께 강도가 급격하게 떨어져 54시간을 조사하였을 때 원래 강도의 12.7%까지 저하한 반면 UV-A 열화견은 168시간 조사하였을 때 원래 강도의 14.2% 수준으로 떨어져 강도 저하가 완만하였다. UV-A 열화견의 수분율은 자외선 조사시간의 증가와 함께 7.3%까지 떨어지다가 증가하지만 UV-C 열화견은 6.0%까지 떨어지다가 다시 증가하였으며 전체적으로 UV-A 열화견의 수분이 높았다. UV-A 열화견은 밝은 황색을 띠며 황변지수가 낮은 반면 UV-C 열화견은 어두운 황갈색이며 황변지수가 높았다. 견본 회화 보존처리에의 적용성을 평가한 결과, UV-A 열화견은 UV-C 열화견에 비해 황변에 의한 색상차가 크지 않아 보견 작업시 염색이나 보채에 크게 문제가 되지 않을 정도이며, 강도면에서 UV-C 열화견은 섬유가 부서지기 쉬운 상태인 것과는 달리, UV-A 열화견은 자연상태에서 열화가 일어난 생견과 유사한 속심이 살아있는 듯한 느낌을 띠었다. 그리고 UV-A 열화견과 UV-C 열화견 모두 친수성을 가져 보채에는 문제가 없었다. 전반적인 평가 결과 UV-C 열화견 보다 UV-A 열화견이 견본 회화의 보견에 사용하기 적합하였다.

조선시대 여자복식에 나타난 배색 연구

  • 김양희;소황옥
    • 복식
    • /
    • 제25권
    • /
    • pp.157-169
    • /
    • 1995
  • The confucianism, the Taoism, the Budd-hism and the Folk-Faith actually coexisted and all of them had also widespread infuluence on the Chosun Society. This thesis is designed to study symbol of Color Scheme expressed in the clothing of Chosun dynasty. For this thesis I examined records of Royal archives, books containing lifestyle of Chosun dynasty, genre paintings, documantary pain-tings, excorcist clothing and existing remains. And I synthetically studied symbol of the Clothing Color Schemes in Chosun dynasty on the bases of theoretical researches. The result were as follows. There were many cases of 1. Upper·lowergarments : Red-Blue, White-Blue, White-Blue Color Schemes. 3. Exorcist clothing : Red-Red, Blue-Yellow, Blue-Blue Color Schemes. 4. Multy-colored stripes : Same color arrange-ments were avoided in Color Schemes. In the case of Green Wonsam, Blue-Red-Yellow-White Clothing Color Scheme was obvious. 5. Dance wear : Red-Blue, Yellow-Red Color Schemes. Generally more than anything else Blue-red Clothing Color Scheme was widely used. Be-sides Blue-Red Color Scheme, there were also many cases of Red-Yellow, White-Blue Cloth-ing Color Schemes. As a whole, compatible Color Schemes were more often used than in-compatible Color Schemes were used with various symbols that were based on color concept of Yin-Yang O-haeng, Tae-il theory Folk-Faith and so forth in Chosun dynasty.

  • PDF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한국적 이미지 패션 디자인 개발 - Maya(Qualoth) 프로그램을 활용한 3차원 모델링 - (The Development of Fashion Design with Korean Images Using Digital Media - 3D Modeling Based On Maya (Qualoth) Program -)

  • 이윤경;김민자
    • 복식
    • /
    • 제58권6호
    • /
    • pp.42-53
    • /
    • 2008
  • This study is about the development of Fashion Design using of Korean Motive applied Digital Medium. With rapid change during the 21st century, digital media has emerged as the most important communication tool to facilitate speedy and interactive conversation. The recent emergence of 'Mass Customization' is a good reflection of digital transition's interactive features, realizing product variation and customization through flexibility and immediate responsiveness. In this so-called digital era, fashion is a tool that facilitates the use of digital media, while acting as the object, or the purpose, where digital media can be applied. This study looked at the development situations and future utilization method regarding digital fashion, which was recreated through digital media. In this study, a new design process was developed through digital media and actually manufactured Korean image clothing to reflect the motif of plant found in Korean folk paintings. Three-Dimensional(3D) digital shape was dressed in virtual clothing for comparison, thereby adding some features of textile design to three-Dimensional(3D) shape. Through the process, the study can provide various potential accesses to future development of fashion design utilizing digital media.

제주 내왓당 무신도 10신위(神位) 디자인 형태 분석 (Design Style Analysis of Jeju Naewotdang Musindo Folk 10 God's Paintings)

  • 강연심;박영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9호
    • /
    • pp.61-71
    • /
    • 2015
  • 최근 문화 창조산업에 있어서 문화 콘텐츠 개발은 중요한 실천적 과정이다. 제주도의 설화와 신화 연구는 지역기반 문화 콘텐츠 개발의 근간이 될 수 있다. 제주 내왓당 신화의 대상인 무신도(巫神圖) 10신위는 전해오는 제주 무신도 중에 채색화로는 유일하며, 제주도 민속자료 제7호와 국가 중요민속자료 제240호로 지정되어 있다. 앨리아데는 "신화의 상징적 사고의 이미지들은 언어와 추론적 이성에 선행하고, 인간존재와 공존하며 아무렇게나 만든 창조물이 아니라 어떤 필요성과 기능에 응하고 있다"고 하였다. 제주 내왓당 무신도 10신위 역시 타지방과는 달리 우리나라 초기 인류의 사고(감정)의 원천이라고 할 수 있는 이미지와 상징들의 원형과도 연결될 수 있으므로 이미지와 그 상징적 의미에 접근하기 위해 우시우스 웡(Wucius Wong)의 디자인이론을 중심으로 시각적 요소, 상관적 요소, 실재적 요소로 구분하여 이미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10신위들의 재현들을 통해 무신도 기능적인 측면들을 표현해주고 있으며 고대 우리나라 복식과 인류사상을 표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제주신화연구중 이미지를 중심으로 분석적 연구를 진행하여 제주신화의 근원적 연구와 문화콘텐츠 개발를 위한 조형논리를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