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lk Painting

검색결과 71건 처리시간 0.02초

견본 회화보존처리에 자외선 인공열화견의 적용성 평가 (Estimation of Application of Artificially Deteriorated Silk by Ultraviolets for Conservation of Paintings on the Silk)

  • 오준석;전지연;임인경
    • 보존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91-199
    • /
    • 2011
  • 견본 회화 문화재의 보존처리의 보견작업에 적합한 자외선 인공 열화견을 얻기 위해 자외선의 종류, 자외선 조사시간에 따른 열화견의 물리적 특성과 견본 회화 보존처리에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장파장 자외선(UV-A) 조사 열화견은 단파장 자외선(UV-C) 조사 열화견에 비해 자연상태에서 열화가 일어난 생견과 유사한 표면 손상 형태를 보였다. UV-C 열화견은 자외선 조사와 함께 강도가 급격하게 떨어져 54시간을 조사하였을 때 원래 강도의 12.7%까지 저하한 반면 UV-A 열화견은 168시간 조사하였을 때 원래 강도의 14.2% 수준으로 떨어져 강도 저하가 완만하였다. UV-A 열화견의 수분율은 자외선 조사시간의 증가와 함께 7.3%까지 떨어지다가 증가하지만 UV-C 열화견은 6.0%까지 떨어지다가 다시 증가하였으며 전체적으로 UV-A 열화견의 수분이 높았다. UV-A 열화견은 밝은 황색을 띠며 황변지수가 낮은 반면 UV-C 열화견은 어두운 황갈색이며 황변지수가 높았다. 견본 회화 보존처리에의 적용성을 평가한 결과, UV-A 열화견은 UV-C 열화견에 비해 황변에 의한 색상차가 크지 않아 보견 작업시 염색이나 보채에 크게 문제가 되지 않을 정도이며, 강도면에서 UV-C 열화견은 섬유가 부서지기 쉬운 상태인 것과는 달리, UV-A 열화견은 자연상태에서 열화가 일어난 생견과 유사한 속심이 살아있는 듯한 느낌을 띠었다. 그리고 UV-A 열화견과 UV-C 열화견 모두 친수성을 가져 보채에는 문제가 없었다. 전반적인 평가 결과 UV-C 열화견 보다 UV-A 열화견이 견본 회화의 보견에 사용하기 적합하였다.

조선후기 효제문자도와 지방적 조형특성 연구 -효제문자도의 그래픽 콘텐츠를 중심으로- (A study on Hyojemunja-do and regional plastic characters of the late Chosun -centered on the graphic contents of Hyojemunja-do-)

  • 이명구
    • 디자인학연구
    • /
    • 제17권4호
    • /
    • pp.15-26
    • /
    • 2004
  • 18세기 이후 조선사회의 폭발적으로 성행한 수(壽, longevity), 복(福, good fortune), 강(康, health), 령(寧, well-bing) 자등의 길상문자도나 대국민 교화를 목적으로 하여 효(孝, filial piety), 제(悌, fraternal devotion), 충(忠, loyalty), 신(信, trust, fidelity), 예(禮, propriety, courtesy), 의(義, commitment), 염(廉, frugal honesty, integrity), 치(恥, knowing shame, humility) 여덟 문잘ㄹ 파노라마로 꾸민 효제문자도는 동양의 전통적인 개념으로는 서화일치(書畵一致)나 서화동근(書畵同根)이고, 서양의 기준으로는 문자를 일러스트레이션화 또는 타이그래픽화한 디자인의 또 다른 세계를 의미한다. 이들은 표현 방식에는 다소의 차이가 있으나 조선뿐 아니라 중국, 일본, 베트남 등 한자문화권(漢字文化圈)에서 대단히 유행한 것이다. 조선후기에 형성된 효제문자도(孝悌文字圖, Hyojemunja-do)는 중국 양식에서 발전된 것이기는 하나 중국의 유교 윤리관을 보급하기 위해 교육적 요소를 첨가한 연속화형식의 연화(年畵, Chinese Nianhua)나 실용성에 목적을 두었던 민간화(民間畵, Folk Painting)와도 구분되는 조선만의 독특한 도상(圖像, Iconography)과 양식이라 할 수 있다. 19세기에 들면서 조선의 독창적인 조형관으로 재구성된 효제문자도는 다양한 계층의 화공들에 의해서 경기도, 강원도 관동과 관서지역, 제주도, 남도지역 등에서 그 지역의 고유한 지방색을 지니고 특색 있는 양식으로 발전한다.

  • PDF

Natalia Goncharova의 무대의상 디자인 연구 - 20세기 초 러시아 발레(Ballets Russes)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tage Costume Design in Natalia Goncharova - Focused on Early 20th Century Ballets Russes -)

  • 박윤정
    • 복식문화연구
    • /
    • 제18권1호
    • /
    • pp.29-43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re-illuminated the artistic value of costume designs that had shared identical history with human beings through the formation and the progress of the newly introduced Russian avant-garde art. This resulted from the fact that the Russian avant-garde art changed the human esthetic sense through the trend of art that Natalia Goncharova introduced in the early 20th century. The research method defined the formation and progress of the development of the Neo-Primitivism centering the works of art by Natalia Goncharova. Based on this method, Goncharova designed the set and the costume designs for the Ballets Russes of Serge Diaghilev and studied the molding characteristics of the costumes worn in the performing art. The result were as follows. First of all, Goncharova's costume designs were all manufactured based on the theme of Russian folk art and genesis. In other words, Goncharova represented the Spanish passion, the Russian folk art Lubok, and Goldern cockerel or religious Icon-paintings in her costumes. she pursued straight lines and abstract shapes in her costume designs. her design displayed the Neo-Primitivism influence through the separation between the lines and the surfaces, which defined the costumes as a decorative art experiment. Therefore, the study of Goncharova had one realize that Neo-Primitivism was not only an art form of Avant-garde, but it also became the basis of the molding character of all the artworks. Natalia Goncharova reflected the miracle of the transformation of the early 20th century in their costume designs.

라캉의 정신분석학 개념으로 살펴 본 한국의 현대 벽화 (A Study on Contemporary Murals of Korea; in Lacan′s Psychoanalytic View)

  • 조현신
    • 디자인학연구
    • /
    • 제15권2호
    • /
    • pp.187-196
    • /
    • 2002
  • 한국의 현대 벽화는 한국의 시각적 수위를 드러내는 하나의 지표이다. 본 논문의 첫째 장에서는 한국의 현대 벽화제작 시스템을 분석한 후, 둘째 장에서는 조선시대의 풍속화나 시각상징물을 재현한 벽화를 라캉의 정신분석학적 개념을 빌어 설명했다. 라캉의 연구 중 주종을 이루는 상상계와 상징계의 개념으로 한국적인 소재 재현의 심리적, 정신적 배경을 분석하는 방법을 취했다. 한국의 벽화가 보여주는 시각 현실은 과거조선 시대 공동체와의 상상적 동일시를 피하는 것이라는 논지로 전개되었으며, 이는 서구 중심의 상징계에서 생활하는 주체의 분열상, 허구적 의식을 암시하는 동시에 주체의 시지각에 혼란을 초래하는 요인이 되어 또 다시 상상계적 재현을 되풀이하는 것으로 결론지었다. 결론에서는 이러한 시각 혼란 현상을 극복하고 실재 생활을 표현하는 시각 양식의 개발을 위해서 한국인의 아비투스를 연구해서 그에 맞는 대안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후속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21세기 패션에 나타난 원시주의의 표현방법과 특성 (Type of Expression and Characteristics of Primitivism in $21^{st}$ Century Fashion)

  • 김선영
    • 복식문화연구
    • /
    • 제18권2호
    • /
    • pp.229-244
    • /
    • 2010
  • This study aims to discuss the type and characteristics of primitivism in the modern fashion of the $21^{st}$ century and, as a research method, the concept of primitivism as well as the transition of the patterns of primitivism expressed in modern art have been considered and reviewed through a variety of references. In particular,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works that have been created from 2000 to 2009 has been performed using domestic and overseas fashion and collection magazines. The characteristics of primitivism in modern fashion possess the following types of expression: First, Sensuality can be cited as one of the characteristics, either by using direct or indirect exposure of the human body, a silhouette which fits tightly to the body, or creating the effect of sensual beauty using animal fur or bird feathers. Second, Incantation: Masks symbolizing primitive incantation are used to cover the human face or primitive incantation is incorporated as a theme of hair accessories or fashion trinkets, etc. In addition, such decorations as tattoos and the body colorations of ancient tribes are reproduced in modern fashion by means of body painting, printing or other accessories, emphasizing the image of occult primitiveness. Third, Naturalness can be cited as one of the characteristics. Naturalness is emphasized in modern fashion not through artificial decorations and processing, but rather through different patterns of exposure by which natural purity can be felt or through the use of non-artificial materials which recalls primitive civilization. Forth, Playfulness is expressed in the form of graffiti or abstract letters and paintings, and the character of the play is often expressed by the use of grotesque images based on various distortions and exaggerations of the human body, the utilization of symbols of primitive incantation and body and/or facial painting. Fifth, Lastly 'folkishness is emphasized. Folk-like objects, facial decorations, exposure of the body and intense color contrasts typically represent the folkish characteristics.

조선후기 청화백자 산수문양의 전개양상 (Landscape Designs on Blue and White Porcelains in the Late Joseon Period)

  • 정은주
    • 고문화
    • /
    • 69호
    • /
    • pp.91-111
    • /
    • 2007
  • 본 논문은 청화백자에서 산수문이 가장 성행했던 조선후기를 중심으로 분원의 시대적 상황과 그곳에서 시문제작에 직접 참여했을 것으로 보이는 화원과 화청장의 역할에 주목하였고, 현존 백자의 청화 산수문 주제를 분류하여 당시 문화.사상적인 배경에 초점에 두고 검토하였다. 또한 백자의 청화산수문양에 나타난 양식적 변화를 당시를 풍미했던 산수화풍 및 화보 도상과 비교하여 그 전개와 제변화 양상을 정리하였다. 조선후기 백자의 청화 산수문 중 대표적 주제는 동정추월문으로 이는 당시 화단을 풍미한 진경산수나 풍속화 등 현실적 소재와는 거리가 있으며, 국왕과 종실 등 분원의 정책을 운영하던 핵심 세력 및 백자 향유층의 사상.문화적인 경향을 잘 시사한다. 또한 청화백자의 기면에 동정추월문과 대칭하여 나타난 소재는 조선 유학자들의 이상적인 삶을 묘사한 처사들의 은일고사의 전통을 반영한 것으로 그 도상적 특징은 조선 중기의 소경산수인물도와 당시 유행하던 중국화보의 영향이 간취된다. 이들 산수문양은 호형 도자 문양을 구획 짓는 릉화창에 시문되거나 편병, 각병 등에 묘사되어 기면의 특성에 맞게 포치를 변화시켜 나타난다. 회화적인 요소가 강한 산수문은 18세기 말부터 19세기에 이르러서는 점차 도식적으로 변모하거나 약리도와 길상도, 십장생과 같은 민화적 요소와 함께 시문되면서 점차 백자의 중심 문양에서 저변으로 밀려나 퇴조하는 경향을 보인다. 본고에서는 청화 산수문양이 시문된 백자의 편년작이 극히 드문 한계에도 불구하고 현존하는 백자에 그려진 청화산수문 전개 양상의 일단이라도 정리하여 앞으로 이 분야 연구에 다양한 접근 계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 PDF

LCA와 DfE기법을 이용한 친환경적인 지게차 제조공정의 설계 (Design of Environmentally Sound Manufacturing Process of Fork Lift using LCA and DfE Methodology)

  • 박광호;황용우;박일도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7권7호
    • /
    • pp.677-685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에서 법적, 제도적 측면의 외적 정비뿐만 아니라, 학계 및 산업계의 제품별 사례분석 및 적용 측면에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LCA와 DfE기법을 제조공정에 적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지게차 제조공정을 대상으로 LCA 기법을 적용하여 환경부하가 가장 큰 제조공정을 규명하고, 그 공정에 DfE 기법을 적용하여 친환경적인 제조공정을 설계하였다. 지게차 제조공정에 대해 LCA를 수행한 결과, 영향범주별로는 생태독성과 인간독성에 대해, 그리고 공정별로는 제관공정과 도장공정에서 환경부하가 크게 나타났다. 제관공정에서 환경부하를 줄이기는 현실적으로 어렵기 때문에, 도장공정에서 발생하는 환경부하를 저감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지게차의 도장공정에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용제형 도료의 고형분 함량을 늘려 high solid형 도료를 개발하여 적용한 결과, 환경영향(LCA의 환경영향지수)가 20% 저감되었다. 또한, VOC발생량은 약 32%, 도료 사용량은 약 20%의 저감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쏘냐 들로우네의 회화와 의상$\cdot$직물디자인 세계 (A Study on Sonia Delaunay's Painting, Fashion and Fabric Design)

  • 임선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85-95
    • /
    • 1986
  • Sonia Delaunay(1885$\~$1979) was one of great pioneers of abstract art, who looked at clothes and fabrics with a plastics eyes. In Association with her husband Robert Delaunay, they were instrumental in founding the movement of Orphism, she proceeded to mix strong and bright colors into her art and had a brilliant influence on the decoration and women's fashion of the 1920's. Having a strong sense for dramatic and decorative color derived in part from childhood remembrances of Russian folk art she initiated a total revolution in which she created her first simultaneous dress with multi-colored samples of materials. She extended the principle of color's simultaneity to the field of fashion, fabric design and applied art. She was interested in the dress for ballet and opera. Fashion designer Paul Poiret asked her to design the fabrics and she created the geometric and abstract patterns with her strong color. It seemed that her design was revolutionary and avant-garde. Always she desired not only art of seeing but also art of liv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the influence she had upon the history of modern fashion and fabric design. It was remarked that her paintings served as a basis for later developments in Kinetics Art and had influences on 1980' s abstract patterns for silk dress. Finally, the concept 'simultaneity' of her art signifies endless rhythmes in space and time.

  • PDF

1960년대 저항 패션이 민속풍 패션에 미친 영향 (Influence of the 1960s Anti-Fashion on the Ethnic Fashion)

  • 간문자
    • 복식
    • /
    • 제30권
    • /
    • pp.153-166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Ethnic Fashion which is influenced by the Anti-Fashion in 1960s. Anti-Fashion as Hippie style had an effect on high fashion in the 60s-70s and which was restored in the early 90s are ethnic and folk-lore style. The influence that the Anti-Fashion has had on the Ethnic Fashion is summarized as follows. At the Ethnic Fashion in 60s-70s: First Europian romantic style that is velvet doublet breecheese race cuffs ruffle flounce race jabbot embrioderd blouse frilled blouse Victorian mode and Pre-Raphaello style. Second handicraft ornaments style & peasant style what are embroidery weaving variaty ornaments tie-dye patch work smocking beads & bell paisely print peasant blouse dundle skirt long skirt to clinging layered look floral print dress and shepherd-ness style. Third folklore style that is Oriental mao-suit harem pants & Indian pants caftan monk robe Afgan vest burnoos dhoti pants Hindu robe Red Indian fringe head band feather ornaments Red indian embroidery & weaving body painting gaucho poncho and serapi. At the Ethnic Fashion in 90s.: First Europian classical romantic style that is Victorian style Pre-Raphaello style ruffle & race decorations and velvet materials. Second peasant look& handicraft orna-ments what are floral print long skirt to cling-ing uneven stitches top stitchings patch work embroidery crochet and tie-dye. Third folklore style that is Red Indian style South East mode is sarong skirt & Nheru jacket Tibet & Mongolian style South America style and gypso style.

  • PDF

한국 여자 내의 문화에 관한 연구 -바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Women's Underwear in our country - Based on the trousers -)

  • 김선우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865-879
    • /
    • 1997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ol. 21, Nt. 5 (1997) p. 865∼879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a historical change about the women's underwear and trousers this nation of ours until an ancient times to modern ages. Because the record of the women's trousers exist scarcely anything, the study refers to several documents, for example, the literatures of the Chinese and the Chosun Dynasty, the Koryu's fresco, the Tou of Shinra, the painting of the rock face, the archaeological dresses and genre pictures, and The folkways methods through the residents is used to collect and to arrange of an enlightened age and modern times. Originally, the women's trousers appeared for the nomadism and the hunting in the northern distric and the northeastern provinces. Male and female, old and young wear the trousers which are the clothes native to Korea. The trousers which are originally narrow trousers are influnced by Chinese wide trousers. The trousers at the time of Samsuk hand down until Korea. The Skirt on the trousers is nothing but a courtesy. But gradually, it is distinguished only the trousers, and then, there are exchanged an underwear which not only the protection angainst the cold but also the beautiful. Therefore, the form of skirt is diminished, and the underwear is simplified as the increasing status and the activity of woman in the age of civilization. In a way, the reform trousers and Three-kingdom era trousers appeared and the Dansogok and Sogok disappeared at present. There are confirmed in my investigation of folk custom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