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liated granite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23초

담양(潭陽)-진안(鎭安)사이에 분포(分布)하는 엽리상화강암류(葉理狀花崗岩類)에 대(對)한 지질시대(地質時代)와 성인(成因)에 관(關)한 연구(硏究) (Geochronology and Petrochemistry of Foliated Granites between Damyang and Jinan)

  • 김정빈;김용준
    • 자원환경지질
    • /
    • 제23권2호
    • /
    • pp.233-244
    • /
    • 1990
  • Plutons of Damyang-Jinan area consist of gray feldspar granite gneiss, biotite granite gneiss, foliated granites, Namweon granites, gabbro, biotite granite and Ogangri granite in term of mineralogical, texture and field evidence. From Isotope data of study area, chronological order of the Plutons are the Pre-cambrian gray feldspar granite gneiss(Ar39-Ar40, hornblende, $1998.4{\pm}8.3Ma$), middle to late Triassic Daegang foliated granite(Rb/Sr, whole rock, $288{\pm}4Ma$), foliated hornblende biotite granodiorite(K/Ar, hornblende, $198.7{\pm}9.9Ma$), Sunchang foliated granodiorite(Rb/Sr, whole rock, $222{\pm}4Ma$), foliated two mica granite, Samori foliated granite and Namweon granite(Rb/Sr, whole rock, $211{\pm}3Ma$: K/Ar, hornblende, $203{\pm}10.2Ma$), middle Jurassic Gabbro(K/Ar, hornblende, $180.7{\pm}9MA$) and biotite granite, and Cretaceous Ogangri granite. According to variations diagrams of $Al_2O_3$ versus normative PI(100 An)/(Ab+An), Daegang foliated granite is plotted on tholeiitic series, and other foliated granites on calc alkaline rock series which are consider to be formed by magmatism at continental margin and island arc region. And alkalinity versus $SiO_2$ shows that Daegang folited granite and Samori foliated granite are correspond to alkaline region, foliated hornblende biotite granodiorite and Sunchang foliated granodiorite to calc alkaline region, and foliated two mica granite to both regions. According to ACF diagrams, Daegang and Samori foliated granites are plotted on S-type. Foliated hornblende biotite granodiorite and Sunchang foliated granodiorite on I-type, and foliated two mica granite on both type. Foliated granites are a series of differentiated products from cogenetic magma, and effected under ductile sheared zone. Characteristic foliation of foliated granites are considered to be generated by dextral strike slip faulting and ductile shearing.

  • PDF

담양(潭陽)-진안(鎭安)사이에 분포(分布)하는 엽리상화강암류(葉理狀花崗岩類)에 대(對)한 암석화학적(岩石化學的) 연구(硏究) (Geochemical Study on Foliated Granites in the Damyang-Jinan area)

  • 김정빈;김용준;홍세선
    • 자원환경지질
    • /
    • 제23권1호
    • /
    • pp.87-104
    • /
    • 1990
  • Foliated granites between Damyang and Jinan are subdivided into Daegang foliated granite, Foliated hornblende biotite granodiorite, Sunchang foliated granodiorite, Foliated two mica granite and Samori foliated granite by mineral and texture. From EPMA data of the foliated granites following results are achieved. Composition of plagioclase are correspond to andesine, oligoclase and albite in Foliated hornblende biotite granodiorite, Sunchang foliated granodiorite and other foliated granites, respectively. And amphiboles are calcic hornblende in Foliated hornblende biotite granodiorite, and riebeckite in Daegang foliated granite. In differentiation index(D. I.) and Larsen index(L. I.), Daegang foliated granite, Foliated two mica granite and Samori foliated granite which belong to granite are 83.12-95.54 and 25.86-29.05 and Foliated hornblende biotite granodiorite and Sunchang foliated granodiorite of diorite to granodiorite are 54.99-78.54(D. I.) and 6.48-21.01(L. I.). Harker and AMF diagrams plotted from foliated granites show that the granites are product of calc alkali rock series orignated from co-magma. Characteristic foliation of foliated granites fromed by ductile deformation at deep zone of dextral strike slip fault. Foliated granites are considered as a series of differentiated product of Triassic Igneous activity of Songrim disturbance. According to REE, (La/Lu) and Eu/Sm, Foliated hornblende biotite granodiorite and Sunchang foliated granodiorite are correspond to granodiorite, and other foliated granites are monzo-and syeno-granite. Foliated granites having 0.20-0.01 of Em/Sm ratio are plutons emplaced by the tectonic setting in continents and continental margin.

  • PDF

영광-김제 지역 화강암류의 암석화학적 연구 (Petrochemistry of Granitoids in the Younggwang-Kimje area, Korea)

  • 박영석;김종균;김진
    • 자원환경지질
    • /
    • 제34권1호
    • /
    • pp.55-70
    • /
    • 2001
  • 영광-김제 지역에는 두 가지 형의 화강암류가 분포한다. 하나는 NE-SW방향의 광주단층계에 연하여 발달된 정읍, 고창엽리상화강암이고, 다른 하나는 광주단층계의 서편으로 발달괸 변형 되지 않은 김제화강암과 영광화강암이다. $SiO_2$의 함량은 영광화강암은 62.8~74.0% 고창엽리상화강암은 64.5~74.4%, 정읍엽리상화강암은 64.5~70.2% 김제화강암은 63.4~72.0% 으로, 이들 화강암류는 중성암과 산성암 영역에 포함된다. 하커의 변화도에서 $SiO_2$의 증가에 따라 $Al_2O_3$, $Fe_2O_3$, MgO, CaO, $TiO_2$, $P_2O_{5}$, MnO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K_2$O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와 같은 결과는 화강암류에서 보이는 정상적인 분화경향을 나타낸다. AFM 삼각도에서 보면 각 화강암류는 칼크 -알칼린계열에 속함을 알 수 있다. 화강암류들을 norm값으로 구분한 Qz-Or-Pl 삼각도와 An-Ab-Or삼각도에 도시해보면, 각각에서 화강섬록암과 화강암의 영역에 도시됨을 알 수 있다. 미량성분은 $SiO_2$의 증가에 따라 Ba, Co, Li, Nb, Zn, Rb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고, ACF diagram 과 $Na_2O$ vs $K_2O$ 변화도에서 연구지역의 화강암류는 I-type에 속함을 알 수 있다.

  • PDF

옥천지향사대(沃川地向斜帶) 동남대(東南帶)에서의 화성활동(火成活動)(I): 남원(南原)-거창(居昌)-상주(尙州) 지역(地域)을 중심(中心)으로 (The study on the Igneous Activity in the Southeastern Zone of the Ogcheon Geosynclinal Belt, Korea(I) with the Igneous Activity in Namweon-Geochang-Sangju Area)

  • 김용준;박영석;주승환;오민수
    • 자원환경지질
    • /
    • 제22권4호
    • /
    • pp.355-370
    • /
    • 1989
  • Igneous rocks of study area consist of Pre-Cambrian orthogneiss, Devonian granite, Triassic foliated granites and Jurassic granites distributed along the southeast margin of Ogcheon Geosynclinal belt(SE-zone), and irregular shaped granitic stocks in the central part of the belt(C-zone). Anorthosite and gaabbro are also present in southern part of the SE-zone in the belt and intruded into gneiss complex of Ryongnam massif. Distribuition of foliated granites shows three linear arrangements which are composed of hornblende-biotite foliated granodiorite, porphyritic foliated granodiorite, biotite foliated granodiorite, leuco foliated granite and two mica foliated granite. Foliated granites generated by dextral strike slip movement at deep level. Jurassic granites composed of several rock facies are considered to be formed by differentiation of magma during Daebo Orogeny. A general trend of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se igneous rocks in study area suggests that most of them corresponding to calc-alkaline rock series was affected under orogeny and I-type granite except for two mica foliated granite. In chondrite normalised REE pattern of these igneous rocks, LREE shows more variable range and strong (-)Eu anomaly than HREE. Geochronological episodes of igneous activity from early Proterozoic to Cretaceous in SE-zone of Ogcheon Geosynclinal belt are two more Pre-Cambrian Orogeny, Devonian Orogeny(Variscan), Songrim Disturbance, Daebo Orogeny and Bulkuksa Disturbance.

  • PDF

호남 전단대내에 분포하는 엽리상화강암류의 지질시대와 생성과정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Geochronology and Petrogenesis of Foliated Granites in the Honam Shear Zone, South Korea)

  • 김용준;박영석;강상원
    • 자원환경지질
    • /
    • 제27권3호
    • /
    • pp.247-261
    • /
    • 1994
  • Honam Shear Zone is a mylonite zone approximately parallel to the NE-SW trend located southern part of Korea peninsula. Geologic ages and petrogenesis of foliated granites in this zone are as follows: Igneous rocks of this zone are composed of granite gneiss, Paleozoic granites, Songrim granites, Jurassic granites and Cretaceous granites. Foliated granites show deformed phase of Paleozoic and Songrim granites during Daebo Orogeny. And isotopic ages obtained from foliated granites are early Permian to late Triassic period (276~200 Ma). Most of foliated granite masses are igneous complex consisting of a series of differential product of cogenetic magma. The individual rock mass of foliated granites plotted on Harker diagram shows mostly similar trend of calc-alkali series. REE diagram indicates that LREE amount of foliated granites are more enriched than HREE and negative Eu anomalies of them are weaker than those of the other granites. From these data, we suggest the rocks are generated from continental margin under syntectonic environment. Original magma type of foliated granites correspond to I-type, syn-collision type and Hercyano type. In compressive stress field between Ogcheon folded belt and Youngnam massif, foliated granites had formed due to mylonitic deformation. Those facts indicate that magma of foliated granites would had been generated by melting in lower crust or contamination in upper mantle.

  • PDF

단양 천동리 지역 옥천대/영남육괴의접촌관계와 소위 화강암질 편마암의 Pb-Pb 연대 (Nature of contact between the Ogcheon belt and Yeongnam massif and the Pb-Pb age of granitic gneiss in Cheondong-ri, Danyang)

  • 권성택;이진한;박계헌;전은영
    • 암석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44-152
    • /
    • 1995
  • 단양에서 동남동으로 약 6km 떨어진 천동리 지역에는 조선누층군의 최하부층인 장신규암과 영남육괴의 선캠브리아기로 추측되어온 엽리상 화강암(소위 화강암질 편마암)이 직접 접하고 있다. 이들의 관계는 전통적으로 장산규암이 엽리상 화강암을부정합으로 피복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그러나, 장판 규암의 하부에 관찰되는 소위 기저역암은 주로 규암으로 엽리상 화강암의 역을 전혀 가지고 있지 않아 두 암석 단위의 경계를 부정합으로 보기는 힘들다. 반면, 이지연의 최근 구조지질학적 연구는 이 경계가 여성전단운동에 의한 단층접촉임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이 전단대의 전단감각과 운동시기에 대해서는 아직 분명하지 않다. 우리는 옥동 단층의 일부인 천동리 지역 반취성전단대(semi-brittle shear zone)에서 나타나는 엽리상 패쇄암(foliated cataclasite)과 천매압쇄암(phyllonite)의 중구조 및 미구조 관찰하였는데, 이들은 북서측의 장산규암층이 남동측의 엽리상 화강암에 대해서 북동측으로 이동한 전단감각(top-to-the-northeast shearing)을 나타낸다(즉, 우수 주향이동), 전단운동의 시기를 제한하는 한 방법으로, 전통적으로 선캠브리아기루 추정되나 그 관입시기가 확인되지 않는 엽리상 화강암에 대하여 Pb-Pb 연대측정을 시도하였다. 즉, 구조운동을 받은 화강암체의 관입시기는 구조운동 시기으 l상한을 지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엽리상 화강암의 전암 및 장석과 포획암의 전암에 대한 Pb 동위원소 자료는 $^{207}Pb/^{204}Pb-^{206}Pb/^{204}Pb$ 그림에서 $2.16{\pm}0.15$ Ga ($2{\sigma}$;MSWD=4.4)의 연대를 정의한다. 이 연대는 엽리상 화강암의 관입시기로 해석되는데, 보고된 영남육괴의 화성활동 시기와 잘 일치한다. 이 원생대 초기의 관입시기는 전통적인 생각기 옭음을 확인해 주며 전단운동의 시기를 알기위해서는다른 방법이 시도되어야 함을 지시한다.

  • PDF

전주지역 엽리상화강암의 암석화학 및 Sr ${\cdot}$ Nd 동위원소 조성 (Petrochemistry and Sr ${\cdot}$ Nd Isotopic Composition of foliated Granite in the Jeoniu Area, Korea)

  • 신인현;박천영;정연중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9
    • /
    • 2001
  • 본 연구는 옥천대 중앙부에 위치한 전주 엽리상화강암체에 대한 전암화학 및 Sr, Nd동위원소 조성을 측정하여 화강암체의 관입시기와 기원을 파악코자 하였다. 본 암체는 중립 내지 조립질의 엽리상 흑운모 화강암으로 중성 내지 산성 조성을 보여 비교적 넓은 조성변화를 갖는다. 칼크알칼리 계열에 속하고, 대륙 및 호상열도의 지구조환경에서 형성된 화강암류의 특징을 나타낸다. 분석된 시료를 이용한 Rb-Sr 전암연령은 168.2${\pm}$8 Ma(2${\sigma}$)이고, Sr 초생치는0.71354${\pm}$0.00031로서 중생대 쥬라기 중기 관입암체에 해당된다. $^{143}$Nd/$^{144}$Nd 비는 0.511477${\sim}$0.511744의 범위를 갖고 있다. 168.2Ma로 표준화한 ${\varepsilon}$Nd 값은 -15.4${\sim}$-21.2, ${\varepsilon}$Sr 값은 +108.8${\sim}$+l42.6이고, 맨틀에 대한 모델연령은 1.82${\sim}$2.89Ga이다. 이러한 동위원소 조성은 전주 엽리상화강암체를 형성한 마그마가 대륙 지각물질의 부분용융산물임을 나타낸다.

  • PDF

강진 인근 쥬라기 엽리상 화강암류의 CHIME 모나자이트 연대측정 (CHIME Monazite Ages of Jurassic Foliated Granites in the Vicinity of the Gangjin Area, Korea)

  • 조등룡;기원서
    • 암석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01-115
    • /
    • 2007
  • 순창전단대의 남쪽 연장이라 여겨지는 강진 인근에 분포하는 우수향 연성전단대의 엽리상 화강암류 2시료에 대한 CHIME 모나자이트 연대측정을 실시하여 중립질 흑운모 화강암과 조립질 흑운모 화강암의 관입시기에 해당하는 $183.6{\pm}2.2Ma$(MSWD=0.21)와 $171.7{\pm}4.0Ma$(MSWD=0.57)를 각각 얻었다. 이 연구의 엽리상 화강암에서 관찰되는 석영과 장석의 미구조적 특징은 순창전단대의 임실-남원 지역 쥬라기(약 180 Ma) 엽리상 화강암류에서 보고된 것과 대단히 흡사하며, 우수향의 연성전단작용이 $300{\sim}550^{\circ}C$의 온도조건에서 일어났음을 제한한다. 이 연구의 엽리상 화강암이 임실-남원 지역의 쥬라기 엽리상 화강암류와 유사한 냉각과정을 거쳤다고 가정하면 강진 지역의 우수향 전단작용의 시기는 172 Ma와 150 Ma사이에 일어났을 것이고, 이는 기존의 CHIME 모나자이트 연령에 근거한 추정보다 약 10 Ma 후기이다.

경남(慶南) 함양지역(咸陽地域)에 분포(分布)하는 화성암류(化成岩類)에 대(對)한 암석화학적(巖石化學的) 연구(硏究) (Petrochemical Study on Igneous Rocks in the Hamyang area, Kyongnam, Korea)

  • 박재봉;김용준;김정빈
    • 자원환경지질
    • /
    • 제23권1호
    • /
    • pp.105-123
    • /
    • 1990
  • Igneolls rocks of the Hamyang area consist of Hamyang foliated granites and hornblende diorite. Hamyang foliated granites are classified into four rock types in terms of mineral composition and texture. The four rock types are foliated hornblende biotite granodiorite, foliated porphrytic granodiorite, foliated fine biotite granodiorite and foliated leuco granite. Petrochemical data of these rocks suggest that Hamyang foliated granites is calc-alkali rock series of differentiated products of cogenetic magma by fractional crystallization. Igneous rocks of studied area correspond to I-type, peraluminous and calc alkali rock series. Rb-Sr age and $Sr^{87}/Sr^{86}$ initial ratio for foliated prophrytic granodiorite is $200{\pm}Ma$and $0.711{\pm}0.0037$, respectively. K-Ar(hornblende) age of hornblende diorite is $179{\pm}9Ma$. These data come to an coincidence with Igneous activity of South Korea which were proposed by O.J. Kim(1975), that is, they correspond to Hamyang foliated granites of products of Songrim Disturbance, and to hornblende diorite of Daebo Orogeny.

  • PDF

전주 및 순창지역에 분포하는 엽리상화강암류의 성인에 대한 연구(I) - 암석지화학적 특성을 중심으로 - (Petrogenetic Study on the Foliated Granitoids in the Chonju and the Sunchang Area(I) -In the Light of Petrochemical Properties-)

  • 나춘기;이인성;정재일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480-492
    • /
    • 1997
  • 옥천대의 남서대와 영남육괴의 북서 경계부에 대략 평행한 2열로 분포되어 있는 전주 및 순창 엽리상화강암류의 근원마그마의 분화과정 및 성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양 암체의 암석학적 및 지화학적 특성을 비교, 고찰하였다. 주성분 원소의 분석결과는 전주 및 순창엽리상화강암이 암석화학적으로 퍼알루미나 또는 칼크알칼리 계열에 속함을 보였으며, 기존의 화강암류 성인에 대한 I/S형 및 자철석/티탄철석 계열의 분류기준을 적용할 경우 비록 원소화학적으로는 I-형과 자철석 계열이 우세한 경향을 보이지만 일관성있게 분류되지 않는 특성을 보였다. 주성부 원소의 분석결과에 의한 CIPW norm 조성에서, 전주암체는 분화가 진행됨에 따라 화강섬록암에서 화강암으로 진화되는 반면, 순창암체는 화강섬록암에서 석영몬조섬록암으로 진화되는 특성을 보였다. 이는 양 암체가 지각물질과의 동화 혹은 결정분별과정 등을 포함하는 마그마 진화의 후기 과정에서 서로 상이했음을 시사한다. 전주 및 순창암체의 희토류원소 분포형태는 양 암체 모두에서 Eu(-) 이상이 거의 나타나지 않고 LREE가 HREE에 비해 극도로 부화된 경향을 보여 서로 매우 유사했다. 이러한 희토류 원소의 분포형태는 우리나라의 선불국사 화강암류에서 보여지는 공통적인 희토류원소의 분포형태와 유사한 것이다. 이상의 결과들은 전주 및 순창엽리상화강암이 그 조성에 있어 서로 유사한 근원암 즉, 화성암질 조성을 갖는 대륙지각의 부분용융에 의해서 형성된 마그마를 기원으로 하고 있으며, 서로 유사한 마그마 분화정치과정을 거쳤음을 시사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