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aming process temperature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28초

폐유리의 가수분해 반응에 의한 발포유리의 제조(III) - 안정화 열처리공정 및 Scale-up Test - (Production of Foamed Glass by Using Hydrolysis of Waste Glass(III) - Heat Treatment for Stabilization and Scale-up Test -)

  • 이철태;엄의흠
    • 공업화학
    • /
    • 제17권1호
    • /
    • pp.73-81
    • /
    • 2006
  • 가수분해시킨 폐 유리를 사용하여 발포유리블록의 제조시 발포유리블록의 안정화를 위한 열처리 공정을 조사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상업적 생산을 위한 scale-up 실험을 시도하였다. 최적의 열처리 조건은 발포소성 후 $550{\sim}600^{\circ}C$로 급냉시켜 안정화시키고 이후 $200^{\circ}C$에서 추가적으로 열응력을 해소하고 $0.3^{\circ}C/min$의 속도로 실온까지 냉각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열처리 조건을 거침으로서 기계적으로 안정성을 지닌 $250mm{\times}250mm{\times}90mm$ 크기의 발포유리가 생산 가능하였으며 이 경우 발포유리블록의 물성은 밀도 $0.28{\pm}0.06g/cm^3$, 열전도도 $0.048{\pm}0.005kcal/hm^{\circ}C$, 흡수율 $0.5{\pm}0.09vol%$, 선팽창계수$(8.6{\pm}0.2){\times}10^{-6}m/m^{\circ}C$($400^{\circ}C$ 기준), 휨강도 $15.0{\pm}0.6kg/cm^2$, 압축강도 $39.5{\pm}0.6kg/cm^2$의 특성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고부하 유기성 폐수처리를 위한 분리막 결합형 순산소 고효율 포기장치의 총괄 산소전달효율 평가 (Comparison of Overall Oxygen Transfer Coefficient in the Membrane Coupled High Performance Reactor for a High Organic Loading Wastewater Treatment)

  • 강범희;임경호;이상민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81-88
    • /
    • 201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the capability of comparison of overall oxygen transfer coefficient in the membrane coupled high performance reactor (MPHCR) in treating high organic loading wastewater. Effluent quality had been analyzed while the influent organic loading rate was changed from 2 to $7kg\;COD/m^3{\cdot}day$. The oxygen transfer coefficients had been investigated using two-phase nozzle for operating variables which were internal circulation flowrate (5~8 L/min), air flow rate (0.0125~0.2 L/min), liquid temperature ($10{\sim}20^{\circ}C$), and pure-oxygen flow rate (0.0125~0.2 L/min). The overall oxygen transfer coefficient was increased with flowrate of internal circulation and air and high temperature. Especially, internal circulation flow rate showed distinct effect on overall oxygen transfer coefficient due to an increase of gas holdup and air-liquid contract area by two-phase nozzle. In the high range of organic loading rate from 4 to $7kg\;COD/m^3{\cdot}day$, the removable efficiency of COD was 91%. Conventional activated sludge process usually treat organic loading from 0.32 to $0.64kg\;COD/m^3{\cdot}day$ however, the MPHCR can treat 10 to 20 times higher if it would b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activated sludge process. Foaming problem often happened and caused biomass wash out of the reactor, therefore, the foaming should be controlled for the enhanced operation.

폐 LCD 유리를 이용한 흡음특성을 갖는 붕규산유리발포체 제조 (Preparation of Borosilicate Foamed Glass Body with Sound Absorption Characteristics by the Recycling Waste Liquid Crystal Display Glass)

  • 이철태
    • 공업화학
    • /
    • 제27권6호
    • /
    • pp.612-619
    • /
    • 2016
  • 폐 LCD 판넬로부터 회수된 폐 붕규산유리를 이용하여 흡음특성을 갖는 알루미늄 함유 붕규산유리발포체의 제조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입도 325 mesh 이하의 크기로 분쇄 조절된 폐 붕규산유리분말 100 g에 대해 발포제로서 탄소분을 0.3중량 분율, $Na_2CO_3$, $Na_2SO_4$, $CaCO_3$를 각각 1.5중량 분율, 기공조절제로서 $H_3BO_3$$Al_2O_3$를 각각 6.0 및 3.0 중량분율이 되도록 첨가한 원료 유리분말을 발포소성온도 $950^{\circ}C$에서 20 min간 발포를 진행함으로서 개기공률 45%를 갖는 발포체를 제조하였으며 이 경우 흡음률 0.5~0.7의 흡음 특성을 갖고 있음을 보여 주었다. 아울러 이 흡음성능을 지닌 알루미늄 함유 붕규산유리발포체는 밀도 $0.21g/cm^3$, 굽힘강도 $55N/cm^2$ 이상, 압축강도 $298N/cm^2$ 이상의 우수한 물성을 가지고 있어 다양한 용도에 내화학성 및 내열성의 흡음체로 사용될 수 있다.

수소 축합 반응에 의한 폴리디메틸실록산 미세 발포체의 제조 및 물성분석 연구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oly(dimethylsiloxane) foam prepared by hydrogen condensation reaction)

  • 이수;문성진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802-812
    • /
    • 2016
  • 실리콘 폼은 고성능 가스켓, 열 차폐, 진동 마운트 및 Enter 키 패드로 많은 산업 분야에서 난연성 소재로서 매우 유용하다. 실리콘 발포체는 실온에서 백금 촉매 및 무기필러 존재하에서 비닐기를 함유한 폴리실록산 (V-silicone) 및 수산기를 함유한 폴리실록산 (OH-silicone)과 하이드라이드를 함유한 폴리실록산 (H-silicone)의 수소와의 수소축합반응의해 가교와 발포를 동시에 일으켜 제조하였다. 이러한 방법은 종래의 발포와 경화를 각각 실시한 공정보다 매우 편리한 방법이다. 이 실험에 사용 된 기능성 실리콘수지들은 1.0 meq/g의 vinyl기를 가진 점도 20 Pa-s의 V-silicone과 0.4 meq/g의 수산기를 가진 점도 50 Pa-s의 OH-silicone 및 7.5 meq/g의 하이드라이드기를 함유한 점도 0.06 Pa.s.의 H-silicone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리콘의 종류 및 함량, 촉매, 충전제 등의 변화에 따른 실리콘수지 발포체의 구조 및 기계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백금 촉매는 실리콘 수지에 대하여 0.5 wt%이면 충분하였다. 낮은 점도의 OH-silicone의 첨가는 초기 발포 속도를 높이며 발포체 밀도는 감소시키지만, 낮은 점도의 V-silicone의 첨가는, 인장 강도뿐만 아니라 신율도 감소시킨다. SF-3 조건에서 얻은 실리콘수지 발포체의 밀도, 인장강도 및 신율을 각각 $0.58g/cm^3$, $3.51kg_f/cm^2$ 및 176 %를 얻을 수 있었다. 본 발포 시스템에서의 알루미나 충전재 역시 실리콘수지 발포체의 기계적 특성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석탄회로부터 뮬라이트 단섬유의 제조 (Fabrication of Mullite Short Fibers from Coal Fly Ash)

  • 김병문;박영민;유승우;윤석영;박홍채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235-241
    • /
    • 2006
  • Mullite short fibers have been fabricated by adapting the Kneading-Drying-Calcination (KDC) process and characterized. The effect of the addition of foaming agent and calcination temperature on the formation of mullite fibers from coal fly ash, was examined. In the present work, ammonium alum $NH_4Al(SO_4)_2\;12H_2O$ synthesized trom coal fly ash and sodium phosphate $Na_2HPO_4\;2H_2O$ were used as foaming agents. After calcination at $1300^{\circ}C$ for 10 h and then etching with 20% HF solution at $50^{\circ}C$ for 5 h using a microwave heating source, the alumina-deficient $(AI_2O_3/SiO_2$ = 1.13, molar ratio) orthorhombic mullite fibers with a width of ${\sim}0.8mm$ (aspect ratio >30), were prepared from the coal fly ash with $AI_2O_3/SiO_2$ = 0.32, molar ratio by the addition of $NH_4AI(SO_4)_2\;12H_2O$, and with further addition of 2 wt% sodium phosphate. The excessive addition of sodium phosphate rather decreased the formation of mullite fibers, possibly due to the large amount of liquid phase prior to mullitization reaction.

N-Acyl Taurates의 환경친화적인 제조공정 개발 및 이의 물성 연구 (Development of Environmental-friendly N-Acyl Taurates Manufacturing Process and Evaluation of their Physical Properties)

  • 박지나;송아람;정용우;배재흠;지흥진;임호
    • 청정기술
    • /
    • 제11권4호
    • /
    • pp.195-204
    • /
    • 2005
  • 기존 공정에 비하여 오염물 발생이 적고 수율이 60 % 이상의 환경친화적인 새로운 N-acyl taurate 단일축합공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공정의 최적 운전조건은 석유계 정제유인 parasol 123 용매와 반응촉매로 sulfone산계 촉매와 인산계 촉매의 혼합촉매를 사용할 때 반응온도가 $210{\sim}230^{\circ}C$이며 반응시간이 6 ~ 9시간 이었다. 이렇게 제조된 제품은 기존 수입된 N-acyl taurate와 비교하여 산가, 아민가, 색상 등의 물성이 비슷하거나 더 좋고 부산물도 적게 배출되어 본 연구에서 개발된 공정이 기존 공정보다 우수한 공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제조된 N-acyl taurate를 시판 음이온 계면활성제와 표면장력, 기포력, 기포안정성, 경수안정성, 유화력 등의 물성을 비교할 때 동등 이상의 물성을 보여 기존의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충분히 대체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흡수 조건 및 부식 생성물에 의한 MEA 수용액의 변성 특성 (Degradation Characteristics of Aqueous MEA Solution by Corrosion Products and Absorption Conditions)

  • 남성찬;송윤아;백일현;윤여일;유정균;이창하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27권3호
    • /
    • pp.290-297
    • /
    • 2016
  • The absorbent loss due to degradation in $CO_2$ capture process using aqueous alkanol amine solution has adverse effect on the economics of overall process. The degradation causes absorbent loss, equipment corrosion, foaming, adhesive material producing and viscosity increase in operation. In this study, the degradation characteristics of $CO_2$ capture process using MEA (monoehtanolamine) under various conditions such as $O_2$ partial pressure, $CO_2$ loading and absorbent temperature. The effects of iron, which generated from the equipment corrosion, on absorbent degradation were studied using $Fe_2SO_4$ containing MEA solution. The produced gases were analyzed by FT-IR(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photometer) and the specifically measured $NH_3$ concentration was used as a degradation degree of aqueous MEA solution. The experiments showed that the higher $CO_2$ loadings (${\alpha}$), $O_2$ fraction ($y_{O2}$) and reaction temperature enhanced the more degradation of aqueous MEA solution. Comparing other operation parameters, the reaction temperature most affected on the degradation. Therefore,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 above parameters affects on degradation should be considered for the selections of $CO_2$ absorbent and operating conditions.

칼슘 첨가량에 따른 발포 알루미늄의 기계적 성질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Foamed Aluminum According to the Quantity of Calcium)

  • 도복환;김주현
    • 한국공작기계학회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113-118
    • /
    • 2006
  • In this work, we observed the changes in mass difference according to Al-foam's amount of Ca contents which depends on the viscosity control of fusion, quality of foamed addition, mixing, temperature tests. These are crucial influencing factors in determining foam-metal's size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In order to obtain the specimen, we changed the specific gravity from 0.2 to 0.3 for the study of the light weight, and obtained the optimal values of specific gravity, and then showed the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ultra-lightweight metal according to the changing mass. The optimal conditions for aluminum foam is when the addition of Ca content in $1.5wt\%~2.0wt\%$

머신러닝을 활용한 자동차 시트용 폴리우레탄 발포공정의 불량 예측 모델 개발 (A Development of Defeat Prediction Model Using Machine Learning in Polyurethane Foaming Process for Automotive Seat)

  • 최낙훈;오종석;안종록;김기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36-42
    • /
    • 2021
  • 최근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해 제조업계에서는 제조업의 인공지능을 접목시켜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스마트 팩토리 붐이 일어나고 있다. 특히 자동차 부품 제조 및 생산에 널리 적용되어 불량을 낮추는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머신러닝을 통한 불량예측을 시트 폼 발포공정에 접목시켜 발포공정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자동차 시트폼 에서 주로 사용되는 폴리우레탄 폼(polyurethane foam)은 폴리올(polyol, 이하 POL)과 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 이하 ISO)를 혼합 및 발포하는 공정으로 제조되며, 각 원료의 혼합비율과 온도의 변화에 따라 제품의 특성이 변화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발포공정에서 수집되는 인자별 데이터값을 머신러닝에 적용하여 불량을 예측하고자 한다. 머신러닝에 사용되는 알고리즘으로는 의사결정트리, kNN, 앙상블 알고리즘을 사용하였으며 학습은 5,147개의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학습된 결과를 1,000개의 검증용 데이터에 적용한 결과, 세 알고리즘 중 앙상블 알고리즘에서 최대 98.5 %의 정확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발포공정에서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데이터를 통해 현재 생산되는 부품의 불량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나아가 각 인자를 조절하여 불량률을 개선할 수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감마선 조사에 의하여 가교된 폴리에틸렌 발포 시트의 제조 (Preparation of Polyethylene Foam Sheets Crosslinked by Gamma-ray Irradiation)

  • 이동훈;최준호;심기형;정찬희;황인태;최재학
    • 방사선산업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211-215
    • /
    • 2012
  • In this study, crosslinked polyethylene (PE) foam sheets were prepared through gamma-ray irradiation. PE foam sheets were prepared through a foaming process using sodium bicarbonate as a blowing and foaming agent. The prepared PE foam sheets were then crosslinked through gamma-ray irradiation. The crosslinking degree was increased to 86.0% with an increase in the absorption dose. The tensile strength of the crosslinked PE foam sheets was increased with an increase in the absorption dose. However, the elongation-at-break of the crosslinked PE foam sheets was decreased. The thermal decomposition temperature of the crosslinked PE foam sheets was increased to $421.2^{\circ}C$ with an increase in the absorption dose. The SEM analysis revealed that the morphology was not changed significantly after the crosslinking through gamma-ray irradi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