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utolanil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34초

인삼 잘록병(Rhizoctonia solani) 발생억제에 미치는 Fludioxonil, Flutolanil 및 Thifluzamide의 효과 (Effect of Fludioxonil, Flutolanil, and Thifluzamide on Suppression of Damping-off Caused by Rhizoctonia solani on Panax ginseng)

  • 조대휘;유연현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9권4호
    • /
    • pp.185-191
    • /
    • 2005
  • In vitro and in vivo effectiveness of fungicides were evaluated for the control of damping off caused by Rhizoctonia solani on Panax ginseng. Fludioxonil(67 mg a. i./L), flutolanil(75 mg a. i./L), thifluzamide(35 mg a. i./L), and mepronil (750 mg a. i./L) were selected from 9 fungicides, which were based on inhibition of mycelial growth of R. solani (isolate Rh 9801) and duration of fungicidal effectiveness against the pathogen in vitro. Field trials were made twice in the year of 2003 and 2004. Experimental plots $(54m{\times}0.9m)$ of 4-year-old ginseng fields were artificially infested with 5kg and 14 kg in fresh weight of inoculum in 2003 and 2004, respectively. The fungicides were drenched at a volume of 8l in $3.6m{\times}0.9m$ with 3 replications. Fludioxonil, flutolanil, thifluzamide and mepronil reduced the incidence of damping off by $73\%,\;69\%,\;69\%\;and\;43\%$, respectively. In the 2004 trial, fludioxonil, flutolanil, and thifluzamide showed similar result as reducing the incidence by $85\%,\;84\%,\;and\;82\%$, respectively, in the plot where the inoculum was applied 2.8 times more than the 2003. The disease incidences in untreated control were $12\%$ in 2003 and $47\%$ in 2004.

동결건조에 따른 마늘 중 azoxystrobin과 flutolanil의 가공계수 및 감소계수 (Processing and Reduction Factors of Azoxystrobin and Flutolanil in Garlic by Freeze-Drying)

  • 노현호;강경원;박효경;이광헌;이재윤;이은영;박영순;경기성
    • 농약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35-240
    • /
    • 2010
  • 건조에 의한 마늘 중 농약의 잔류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마늘에 등록되어 사용 중인 azoxystrobin과 flutolanil의 표준희석 용액에 각각 1분과 5분간 침지한 후 동결 건조하였으며, 건조 전후 마늘 중 잔류농약은 GLC-ECD/NPD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건조전후 마늘 중 시험농약의 회수율은 81.96-98.18%이었다. 건조 전 마늘 중 azoxystrobin과 flutolanil의 잔류량은 1분 침지에서 각각 0.34와 1.18 mg/kg, 5분 침지에서 0.44와 2.15 mg/kg이었으며, 건조 마늘 중 시험농약의 잔류량은 1분 침지에서 0.80과 4.51 mg/kg, 5분 침지에서 1.03과 5.28 mg/kg으로 건조 후 잔류농약의 농도는 증가하였다. Azoxystrobin의 가공계수는 1분과 5분 침지에서 각각 2.35와 2.34이었고, flutolanil의 가공계수는 1분과 5분 침지에서 각각 1.19와 1.17이었다. 건조전후 마늘 중 시험농약의 감소계수는 0.94-0.97 범위로서 동결건조 과정 중 시험농약은 거의 소실되지 않았다.

Variation in Sensitivity Among Some Isolates of Macrophomina phaseolina Isolated from Cotton Roots to Flutolanil Fungicide

  • Mahmoud Yehia A.G.;Aly A.A.;Omar M.R.;Ismail Abdel-Wahab A.
    • Mycobiology
    • /
    • 제34권2호
    • /
    • pp.99-103
    • /
    • 2006
  • Toxicity of the fungicide Flutolanil was in vitro tested against 20 isolates of Macrophomina phaseolina and cotton seedlings of ten commercial cotton cultivars. The isolates were recovered from roots of cotton plants obtained from different cotton-growing areas in Egypt. Most of the tested isolates were sensitive to Flutolanil; however, they varied in sensitivity. Twenty-five percent of the isolates were highly sensitive where $IC_{50}$ ranged from < 1 to $5.1{\mu}g/ml$, 20% of the isolates were sensitive where $IC_{50}$ ranged from 15 to $30{\mu}g/ml$, 45% of the isolates were moderately sensitive where $IC_{50}$ ranged from 46 to $58.5{\mu}g/ml$, and 10% of the isolates were not much sensitive (tolerant) where $IC_{50}$ was > $100{\mu}g/ml$. Flutolanil was very safe on both shoots and roots of the tested cultivars ($IC_{50}\;>\;100{\mu}g/ml$). Treating cotton seeds with Flutolanil resulted in highly significant (P < 0.01) reductions in pathogenicity of 18 isolates and a significant reduction (P < 0.05) in pathogenicity of isolate $M_{29}.\;M_{1}$ was the only isolate, which was insensitive to the application of Flutolanil. In vivo toxicity to Flutolanil was not correlated with its in vitro toxicity. However, a highly significant correlation (r = 0.60, P < 0.01) was observed between pathogenicity of isolates and the in vivo toxicity of the fungicide.

Rhizoctonia solani에 의한 여름 시금치 잘록병의 방제를 위한 살균제 선발 (Fungicide Screening for Control of Summer Spinach Damping-off Caused by Rhizoctonia solani)

  • 김병섭;윤여순;윤철수;장현철;용영록;홍세진
    • 농약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35-40
    • /
    • 2005
  • Rhizoctonia solani AG-4에 의하여 발생하는 여름 시금치 잘록병은 매우 중요한 병이다. 이 병을 방제하기 위하여 13종(pencycuron, trifloxystrobin, pyraclostrobin, azoxystrobin, kresoxim-methyl, validamycin, fluazinam, Benlate-T, flutolanil, cyazofamid, hexaconazole, tebuconazole, prochloraz)의 살균제의 약효를 in vitro와 in vivo 검정을 통하여 평가하였다. In vitro 균사생장 억제 시험 결과 pencycuron, pyraclostrobin, validamycin, fluazinam, Benlate-T, hexaconazole, tebuconazole, flutolanil이 병원균의 생장을 크게 억제하였다. 그러나 trifloxystrobin, azoxystrobin, kresoxim-methyl, cyazofamid, prochloraz은 억제 정도가 낮게 나타났다. 살균제들을 관구처리한 유묘검정(2,000 mg/L)에서 pencycuron, pyraclostrobin, validamycin, fluazinam, Benlate-T, flutolanil은 97.8%, 84.4%, 93.3%, 95.6%, 91.1%, 86.7%의 생존율을 나타냈고, 2,000 mg/L의 농도로 종자처리하였을 때 pencycuron과 pyraclostrobin은 85.1% 이상의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서산, 태안 및 고흥 지역에서 마늘 흑색썩음병을 일으키는 Sclerotium cepivorum의 살균제 감수성 조사 (Sensitivity of Sclerotium cepivorum Causing Garlic White Rot Isolated from Taeahn, Seosan and Goheung Areas to Fungicides)

  • 김형조;최우봉;김흥태
    • 농약과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33-139
    • /
    • 2013
  • 주요 마늘 재배지인 서산, 태안, 고흥에서 2008년과 2009년에 채집한 병든 마늘로부터 단균핵 분리를 통하여 총 147개의 흑색썩음균핵병균 Sclerotium cepivorum 균주를 분리하여 살균제에 대한 감수성 정도를 조사하였다. 실험에는 현재 방제를 위하여 사용하고 있는 prochloraz, tebuconazole, flutolanil, iminoctadine, isoprothiolane 등 5종의 살균제를 선발하여 한천희석법으로 살균제에 대한 병원균의 감수성 정도를 조사하였다. Prochloraz, tebuconazole, flutolanil, iminoctadine, isoprothiolane에 대한 병원균의 평균 $EC_{50}$값을 연도별로 비교하여 보면, 2008년에는 각각 0.054, 0.012, 23.189, 0.901, $21.362{\mu}g\;mL^{-1}$이었으며, 2009년에는 0.030, 0.020, 10.367, 1.684, $33.406{\mu}g\;mL^{-1}$이었다. Flutolanil에 대한 평균 $EC_{50}$값은 2008년에 확보한 균주에 비하여 2009년에 확보한 균주 집단에서 현저히 감소하였다. 반면 iminoctadine과 isoprothiolane에 대해서는 2008년 균주 집단의 $EC_{50}$값보다 2009년 균주 집단의 $EC_{50}$값이 더 증가하였다. 병원균 분리 지역 간의 $EC_{50}$값을 비교하여 보면 고흥 지역에서 분리한 병원균 집단의 flutolanil과 isoprothiolane에 대한 $EC_{50}$값이 14.468과 $24.653{\mu}g\;mL^{-1}$로 서산과 태안에서 분리한 병원균 집단보다 낮았으며, prochloraz에 대해서는 태안 지역에서 분리한 균주의 집단이 $0.008{\mu}g\;mL^{-1}$로 가장 낮았다. 현재 마늘 흑색썩음균핵병방제를 위하여 사용하고 있는 5종의 살균제에 대해서 국내에서 분리한 S. cepivorum 균주 집단에는 저항성을 보이는 균주는 찾아 볼 수 없었다.

Rhizoctonia solani에 의한 인삼 모잘록병 방제용 종자처리 약제 선발 (Screening of Seed Treatment Fungicide for Control of Damping-off caused by Rhizoctonia solani on Panax ginseng)

  • 신정섭;이승환;조혜선;조대휘;김경주;홍태균;박철수;이성계;정희영
    • 농약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424-427
    • /
    • 2015
  • Rhizoctonia solani에 의해 발생하는 잘록병은 인삼 묘포에서 가장 중요한 병이다. 이 병을 방제하기 위해 사용된 folclofos-methyl은 약 20년간 사용되어 왔다. 이 약제는 6년생 수삼에서도 잔류가 되어 안전하고 병원균 방제에 효과적인 약제를 선발하기 위해 4종 (fludioxonil, flutolanil, pencycuron, thifluzamide)의 살균제의 약효를 검정하였다. 실내에서 시기별로 80% 이상의 생육억제 효과를 조사한 결과, fludioxonil 25일, thifluzamide, flutolanil 10일, pencycuron 1일로 조사되었으며, 포장시험에서 방제효과는 fludioxonil, thifluzamide, flutolanil, Pencycuron에 대해 각각 71%, 57%, 54%, 29%의 효과를 보였다. 가장 높은 효과를 보인 Fludioxonil의 경우 국내 및 해외에 등록되어 있으며, 잔류성 조사 결과 묘삼에서 0.44 mg/kg으로 조사되어 이후 5년간 재배 시 영향이 없을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Fludioxonil은 Tolclofos-methyl을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잔디에 Rhizoctonia 마름병을 유발하는 Rhizoctonia spp.의 침투성 살균제에 대한 반응 (Response of Systemic Fungicides of Rhizoctonia spp. Causing Rhizoctonia Blight on Turfgrass)

  • 장태현;이승준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2권4호
    • /
    • pp.387-394
    • /
    • 2013
  • Rhizoctonia spp. 에 의한 Rhizoctonia 마름병은 잔디에서 중요한 병이며, 골프장에서 잔디의 좋은 품질을 유지하기 위하여 살균제를 사용하고 있다. 본시험은 포장에서 분리한 R. solani AG-1 IB, R. cerealis 및 R. solani AG2-2에 대한 침투성 살균제인 flutolanil, pyraclostrobine, and hexaconazole에 대하여 실내에서 상대적인 균사생장을 효과적으로 50%억제하는 $EC_{50}$농도를 결정하는 시험을 수행하였다. 각각 살균제에 대한 감수성은 3종의 Rhizoctonia균주에 대하여 5 수준의 농도를 사용하였다. 3종류의 살균제에 대한 $EC_{50}$ 값은 R. solani AG-1 IB에서 가장 낮았다. 하지만, R. solani AG2-2에 대한 살균제 감수성은 pyraclostrobine 과 flutolanil에서 평균 $EC_{50}$ 값이 0.026 ${\mu}g\;a.i.\;ml^{-1}$ 와 0.044 ${\mu}g\;a.i.\;ml^{-1}$ 로 가장 높았다. R. cerealis은 hexaconazole에서 $EC_{50}$ 값이 0.022 ${\mu}g\;a.i.\;ml^{-1}$로 가장 감수성이 낮았다. 각각의 살균제의 $EC_{50}$값을 사용하여 두 농약을 혼용한 3종의 조합에서 3종의 병원균에 대한 균사 생장억제율은 R. solani AG2-2에서 가장 높았다. 본 연구결과는 포장에서 Rhizoctonia 마름병을 방제하기 위하여 실내에서 침투성 살균제에 대한 반응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도(水稻) 문고병방제용(紋枯病防除用) 수면부유제(水面浮遊劑)의 개발(開發) 가능성(可能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Development Feasibility of Water-Floating Fungicide Formulation for the Control of Sheath Blight(Caused by Rhizotonia solani) in Rice)

  • 오병열;김진화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1권3호
    • /
    • pp.226-233
    • /
    • 1988
  • 수도작(水稻作)에 있어 주요한 병해(病害)의 하나인 문고병(紋枯病)을 조기(早期)에 생력적(省力的)으로 방제할 수 있는 신농약제형(新農藥劑型)의 개발가능성을 검토(檢討)하기 위하여 pencycuron과 flutolanil을 유효성분으로 하고 식물성유지(植物性油脂)와 계면활성제(界面活性劑)를 각각 부유제(浮遊劑) 및 확전제(擴展劑)로 사용하여 4%의 수면부유제(水面浮遊劑) 시제품(試製品)을 제조(製造), 그의 이화학성(理化學性)과 생물효과를 조사(調査)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시제품(試製品)의 수면확전성(水面擴展性)은 $35cm^2/mg$ 이상으로 우수하였으며 담수중(湛水中) 유효성분의 분포(分布)는 pencycuron 시제품(試製品)이 수표면(水表面)에 존재한 반면 flutolanil은 담수중(湛水中)으로의 확산(擴散)이 용이하였다. 시제품(試製品)은 사용(使用)한 부제(副劑)의 종류(種類)에 관계없이 모두 주성분(主成分)의 경시분해(經時分解)가 완만하여 화학적(化學的)으로 안정(安定)하였다. 실험실하(實驗室下)에서 pencycuron 시제품(試製品)의 균핵발아저지력(菌核發芽沮止力)은 30일 이상 지속하였다. 친유성(親油性) 계면활성제(界面活性劑)를 사용하여 제조한 pencycuron 시제품(試製品)은 수도유묘이앙(水稻幼苗移秧) 1일(日) 전(前)에 유효성분으로 20g/10a을 수면살포(水面撒布)하였을 매 수화제(水和劑)와 동등한 방제효과가 있었다. 약제처리후(藥劑處理後) 5일 이내의 담수범람(湛水汎濫)은 방제효과를 현저히 저하시켰다.

  • PDF

마늘 흑색썩음균핵병에 대한 살균제의 작용 특성 (Control Activities of Fungicides Against Garlic White Rot Caused by Sclerotium cepivorum)

  • 김형조;김흥태;민이기
    • 농약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64-70
    • /
    • 2015
  • 마늘 흑색썩음균핵병(Sclerotium cepivorum)은 마늘 생산에 큰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토양병으로, 이를 방제하기 위하여 태양열 소독, 균핵발아 유도물질의 사용, 미생물을 이용한 생물적 방제, 살균제 처리 등 다양한 방법이 활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 살균제를 사용하는 방법을 가장 실용성이 높은 방법이다. 본 실험에서는 살균제의 작용기작이 다른 prochloraz (a.i. 25%, EC), tebuconazole (a.i. 25%, WP), flutolanil (a.i. 15%, EC), iminoctadine trisalbesilate (a.i. 40%, WP), isoprothiolane (a.i. 40%, EC) 5종의 살균제를 선정하여 병원균의 균사생장, 균핵발아, 균핵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으며, 마늘 인편 절단법을 사용하여 공시한 살균제의 병 방제효과를 조사하였다. 병원균의 균사생장에 대해서는 prochloraz와 tebuconazole의 효과가 우수하였는데, prochloraz는 $0.8{\mu}g\;mL^{-1}$을, 그리고 tebuconazole은 $100{\mu}g\;mL^{-1}$을 첨가한 PDA 배지에서 병원균이 전혀 생장을 하지 못하였다. 또한 prochloraz는 $10{\mu}g\;mL^{-1}$의 처리구에서, 그리고 tebuconazole은 $1.0{\mu}g\;mL^{-1}$의 처리구에서 발아가 완전히 억제되었다. Isoprothiolane은 균사생장과 균핵발아에 대한 억제효과는 크기 못했지만, $1.67{\mu}g\;mL^{-1}$의 처리구에서 균핵의 형성을 63.5% 억제하였다. 마늘 인편 절단법을 사용하여 병 방제 효과를 조사한 결과, $100{\mu}g\;mL^{-1}$의 처리구에서 prochloraz, tebuconazole, flutolanil 등이 70% 이상의 효과를 보였다.

인천광역시 유통 농산물의 최근 3년간의 잔류농약 실태 및 안전성 조사 (A Survey on the Pesticide Residues and Risk Assessment for Agricultural Products on the Markets in Incheon Area from 2010 to 2012)

  • 김혜영;이수연;김철기;최은정;이은주;조남규;이제만;김용희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61-69
    • /
    • 2013
  • 2010년부터 2012년까지 인천광역시에서 유통되고 있는 농산물 총 16,025 건에 대한 잔류농약검사를 실시한 결과 부적합률은 1.2%, 0.8%, 0.7%로 약간의 감소 추세를 보였다. 최근 3년간 부적합이 이력이 높은 농약은 endosulfan, chlorpyrifos, diazinon, lufenuron, chlorothalonil, flutolanil, procymidone, ethoprophos 순이었으며, 전체농산물 중 엽채류가 75% 이상을 차지하였고, 엽채류 중에서 취나물, 들깻잎, 쑥갓이 전체의 35%를 차지하였다. 지역별로는 경기, 인천, 충남, 전남에서 생산된 농산물에서 부적합 빈도가 높으나 지역별 출하 농산물의 검사건수 대비 부적합률은 모두 1% 내외로 큰 차이는 없었다. 특히 인천의 경우, 농산물의 부적합률이 매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부적합이 자주 발생하는 10 종의 농약 모두에서 1인1일 농약섭취량 대비 1일 추정섭취량은 무와 파를 제외하고 3% 미만으로 인체에 대한 위해성은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