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uticasone propionate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17초

단기간 Fluticasone Propionate 투여 용량에 따른 가저 코르티솔 농도의 변화 (Effect of Short Term Treatment with Different Dosage of Inhaled Flucatisone Propionate on Basal Cortisol Concentration)

  • 김현중;김형식;이홍;문성기;임석태;박지현;이흥범;이용철;이양근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4권5호
    • /
    • pp.1063-1071
    • /
    • 1997
  • 연구배경 : 스테로이드제제는 기관지 천식 및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치료에 매우 효과적으로 항염작용, 기관지내 과민반응 억제 및 기타 면역학적인 기전으로 작용한다. 그러나 부신피질 기능억제, 쿠싱 증후군, 골다공증 등의 전신적 부작용으로 인해 그 사용 범위가 제한되어 왔다. 1970년대 초반부터 고도의 국소적 작용을 갖는 흡입성 스테로이드제제가 천식 치료에 활발히 이용되고 있으나 이 약물 투여에 따른 기저 코티솔 농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아직도 논란이 많다. 이에 저자들은 최근에 개발된 강력한 흡입성 스테로이드제제인 fluticasone propionate의 시상하부-뇌하수체-부 신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기관지천식과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단기간 투여용량에 따른 fluticasone propionate의 기저 코티솔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방 법 : 1993년 7월부터 1997 년 3월까지 전북대학교 병원 내과에 입원치료한 기관지 천식과 만성 폐쇄성 폐질환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는 흡입성 fluticasone propionate 투여전 최소한 10일 동안 어떠한 종류의 스테로이드도 투여하지 않았고, 치료기간 12일 동안 하루에 $500{\mu}g$$1000{\mu}g$을 Metered Dose Inhahler(MDI) 방법으로 투여하였다. Fluticasone propionate의 투여전과 투여후 3일, 6일, 9일 및 12일째 오전 8시에 혈철 코티솔을 측정하였고, 이와 동시에 24시간 소변을 채취하여 요중 유리 코티솔 농도를측 정하였다. 결 과 : $500{\mu}g$/day 투여군에서는 투여하기 전의 혈철 및 24시간 요중 유리 코티솔 농도는 투여기간 및 투여 후와 비교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1000{\mu}g$/day 투여군에서는 혈철 코티솔 농도는 투여 9일 그리고 12일째 (p<0.05). 24시간 요중 유리 코티솔 농도는 투여 3일 그리고 12일째 유의있는 감소(p<0.05)를 보였으며, 전반적으로 투여전과 비교시 투여기간에 따른 혈청 및 24시간 요중 유리 코티솔 농도의 감소를 보였다. 결 론 : 이상의 결과로, 단기간 하루 $500{\mu}g$의 fluticasone propionate 투여는 내인성 코르티솔 생산에 영향을 주지 않지만, 하루 $1000{\mu}g$의 fluticasone propionate투여는 내인성 코리티솔 생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기관지 천식환자에서 Fluticasone Propionate 흡입제가 Hypothalamic-Pituitary-Adrenal Axis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nhaled Fluticasone Propionate on Hypothalamic-Pituitary-Adrenal Axis in Bronchial Asthma Patient)

  • 황준규;이호명;노양원;박계영;박정웅;박재경;정성환;남귀현;김홍규;박혜영;강문호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1권1호
    • /
    • pp.25-34
    • /
    • 2001
  • 연구배경 : 천식의 치료에 있어서 코티코스테로이드의 사용은 중요하며 스테로이드 사용으로 인한 부작용 때문에 장기치료시 흡입성 코티코스테로이드가 최근 천식의 치료에 1 차 치료약으로 널리 쓰이게 되었는데 이중 fluticasone propionate는 가장 강력한 항 염증성 흡입성 코티코스테로이드 제재로 알려져 있으며 지금까지의 연구보고들은 fluticasone propionate가 시상하부-뇌하수체 부신 축 기능에 미치는 영향이 적다고 보고하였으나 3개월 이상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는 보고된 것이 미미하였다. 방 법 : 저자들은 본원 호흡기 내과로 내원하여 치료중인 천식환자들을 대상으로 본 연구에 동의한 23명의 기관지천식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그중 2명은 추적검사가 이루어지지 않아 제외시키고 나머지 21 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6개월 이상 fluticasone 흡입제를 사용 후 급속 ACTH 자극검사로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 축 기능에 대한 이상여부를 검사하였다. 결 과 : 전체 환자 21 명에서 혈중 기저 cortisol 수치는 $11.0{\pm}6.4\;{\mu}g/d{\ell}$(mean$\pm$SD)이었고 30분후 혈중치는 $20.0{\pm}7.7\;{\mu}g/d{\ell}$이었으며, 60분후 혈중치는 $23.0{\pm}6.3\;{\mu}g/d{\ell}$이었다. 검사를 시행한 21명의 환자 중 16명의 환자는 정상 반응을 나타내었으며 5명은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 축이 억제되는 소견을 보여주었다. 비정상 반응을 보인 5명의 혈중 기저 cortisol치는 $4.8{\pm}2.0\;{\mu}g/d{\ell}$(mean$\pm$SD)이었으며 30분 후의 cortisol치는 $12.2{\pm}2.8\;{\mu}g/d{\ell}$, 60분 후의 cortisol치는 $14.2{\pm}3.5\;{\mu}g/d{\ell}$이었다. 결 론 : 본 연구는 연구대상이 작아서 용량과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 축의 억제정도와의 관계를 정확히 증명할 수는 없었으나 6개월 이상 장기간 사용시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 축이 억제될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장기간의 치료를 요하는 대다수의 기관지 천식 환자에서 임상의들은 환자의 임상증상을 고려해서 흡입제 치료에 있어서 전체적인 투여량과 투약기간의 결정에 주의를 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기관지 과민성이 동반된 중증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에 대한 Salmeterol/Fluticasone Propionate와 Tiotropium Bromide 병합 요법과 단독 요법 치료효과 비교 (Comparison for the Effects of Triple Therapy with Salmeterol/Fluticasone Propionate and Tiotropium Bromide versus Individual Components in Patients of Severe COPD Combined with Bronchial Hyperresponsiveness)

  • 손지연;김소리;박성주;이흥범;이용철;이양근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7권6호
    • /
    • pp.536-544
    • /
    • 2009
  • Background: A combination of salmeterol and fluticasone propionate (SFC) and tiotropium bromide (TIO) is commonly prescribed for COPD patients but there is little data on their effectiveness, particularly in COPD patients with bronchial hyperresponsiveness. This study compared the spirometric improvement based on the change in $FEV_1$, $FEV_1$/FVC, and IC as well as the clinical outcomes of the therapeutic strategies with SFC and TIO versus the individual components in patients with severe COPD and bronchial hyperresponsiveness. Methods: This study examined the spirometric data and clinical outcomes of 214 patients with COPD and hyperresponsiveness, who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therapeutic regimen (TIO only, SFC only, and a triple therapy regimen). Results: All regimen groups showed early improvement in the $FEV_1$ and IC (at 3- and 6 months after treatment). However, long-term beneficial effects were observed only in the SFC group (at 24 months after treatment). However, these beneficial effects decreased after a 36-month follow up. In all spirometric results, the 12-, 24-, and 36-months data showed a similar degree of improvement in the three groups. The triple therapy group showed higher St. George's Respiratory Questionnaire scores and lower acute exacerbations and hospitalization. Conclusion: SFC can be a more important component in the pharmacological treatment of severe COPD patients with hyperresponsiveness than TIO, particularly in the spirometric and clinical outcomes.

천식환자에서 Fluticasone propionate와 Beclomethasone dipropionate의 치료효과 비교 (Fluticasone Propionate and Beclomethasone Dipropionate in Asthmatic Patients)

  • 양동규;김영삼;안철민;고원기;장준;김성규;이원영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7권5호
    • /
    • pp.629-641
    • /
    • 1999
  • 연구배경: 스테로이드는 천식의 장기적인 치료에 사용하는 약물로 치료효과는 기도에 대한 항염증작용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fluticasone propionate(FP)는 치료효과가 크고 주로 폐에 국소적으로 작용하는 약물로서 beclomethasone dipropionate(BDP)에 비해 2배 정도의 역가를 가지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 연구를 통해 FP와 BDP의 치료효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 법: 50명의 천식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환자에게 무작위적으로 FP 혹은 BDP를 4주 동안 투여하였다. 처음 2주간의 Run-in period에는 $\beta_2$-기관지확장제반을 투여하였고 그 후 무작위적으로 FP 또는 BDP를 투여하였다. FP는 diskhaler를 이용하여 하루 2 회 $250{\mu}g$씩 총 $500{\mu}g$을 투여하였고, BDP는 reservoir dry-power device-RPD 를 이용하여 하루 2회 $400{\mu}g$씩 총 $800{\mu}g$을 투여하였다. Run-in period 및 치료 기간 종에 매일 아침과 저녁의 최고호기유량과 주간과 야간의 천식증상점수, 주간과 야간의 응급 & 기관지확장제 사용횟수 등을 측정하였다. $FEV_{1.0}$과 FVC는 치료시작전과 치료 후 2주 간격으로 3 회 측정하였다. 결 과: FP를 투여한 환자 중 3 명과 BDP를 투여한 환자 중 7명이 탈락되어, 총 40명의 천식환자를 대상으로 결과를 분석하였다. FP 및 BDP 투여 후에 아침과 저녁의 최고호기유량이 유의하게 증가하고, 최고호기유량의 일중변이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폐기능 검사 결과 $FEV_{1.0}$은 FP를 투여한 군에서 증가하고, FVC는 양 군에서 모두 증가하지 않았다. 주간 및 야간의 천식증상 점수가 호전되고, 응급 $\beta_2$-기관지확장제 사용횟수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그러나 두 군 사이의 치료효과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최고호기유량의 증가, 일중변이의 감소, 증상의 호전 및 응급 $\beta_2$-기관지확장제 사용횟수의 감소는 FP를 투여한 군에서 더 빨리 나타났다. 결 론: 천식환자에게 매일 FP $500{\mu}g$과 BDP $800{\mu}g$을 투여하였을 때, 두 군간의 치료효과는 유사하였다. 효과는 FP를 투여한 군에서 더 빨리 나타났고 부작용으로 치료를 중단한 경우는 없었다.

  • PDF

The role of inhaled and/or nasal corticosteroids on the bronchodilator response

  • Lee, Ju-Kyung;Suh, Dong-In;Koh, Young-Yull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3권11호
    • /
    • pp.951-956
    • /
    • 2010
  • Purpose: To compare the profiles of the bronchodilator response (BDR) among children with asthma and/or allergic rhinitis (AR) and to determine whether BDR in these children is reduced by treatment with inhaled and/or nasal corticosteroid. Methods: Sixty-eight children with asthma (mean age, 10.9 years), 45 children with comorbid asthma and AR (mean age, 10.5 years), and 44 children with AR alone (mean age, 10.2 years) were investigated. After a 2-week baseline period, all children were treated with inhaled fluticasone propionate (either 100 or $250{\mu}g$ b.i.d., tailored to asthma severity) or nasal fluticasone propionate (one spray b.i.d. in each nostril) or both, according to the condition. Before and 2 weeks after starting treatment, all children were evaluated with spirometry and bronchodilator testing. BDR was calculated as a percent change from the forced expiratory volume in 1 second ($FEV_1$) at baseline. Results: The mean BDR was 10.3% [95% confidence interval (CI) 8.3-12.4%] in children with asthma, 9.0% (95% CI 7.3-10.9%) in subjects with asthma and AR, and 5.0% (95% CI 4.1-5.9%) in children with AR alone ($P$<0.001). After treatment, the mean BDR was reduced to 5.2% (95% CI 4.2-6.3%) ($P$<0.001) in children with asthma and to 4.5% (95% CI 3.5-5.5%) ($P$<0.001) in children with asthma and AR. However, children with rhinitis showed no significant change in BDR after treatment, with the mean value being 4.7% (95% CI 3.7-5.8%) ($P$=0.597).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mply that an elevated BDR in children with AR cannot be attributed to nasal inflammation alone and highlights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upper and lower airways.

Determination of Corticosteroids in Moisturizers by LC-MS/MS

  • Park, Sumin;Choi, Gye Young;Lee, Seon-Ah;Kim, Hyun Jeong;Yum, Hye Yung;Paeng, Ki-Jung
    • Mass Spectrometry Letters
    • /
    • 제7권1호
    • /
    • pp.26-29
    • /
    • 2016
  •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three corticosteroids (clobetasol propionate, betamethasone dipropionate, fluticasone propionate) in moisturizers was performed by using liquid chromatography (LC) coupled with tandem mass spectrometry (MS/MS). Sample preparation was conducted by the liquid-liquid extraction (LLE). Moisturizers include emulsifying agent and it forms micelles. In order to improve the extraction efficiency of corticosteroids trapped in micelle, newly developed-optimized extraction conditions which can remove the matrix effect from moisturizers was applied with various pH conditions in LLE extraction stage of sample preparation. Thus, the addition of 10 μL of 1 M HCl into moisturizers sample before extraction could improve the extraction efficiency. For the quantitative analysis, SRM table that contained specific transition of all of target corticosteroids was created. The developed method was validated for linearity, accuracy, precision, limit of detection (LOD), limit of quantization (LOQ) and recovery. Over the 0.99 r2 value was obtained in calibration standard range. Effective accuracy and precision were also obtained. LODs were below 31 ng/mL and LOQs were estimated below 94 ng/mL for all corticosteroids tested.

The Efficacy of Immediate Diet for Reducing Local Adverse Events of Inhaled Corticosteroid: A Pilot Study

  • Lee, Myoung Kyu;Lee, Won Yeon;Yong, Suk Joong;Shin, Kye Chul;Kim, Chong Whan;Lee, Ji-Ho;Jung, Saehyun;Jung, Ye-Ryung;Kim, Hyun Sik;Yu, Tae-Sun;Kim, Sang-Ha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3권2호
    • /
    • pp.93-99
    • /
    • 2012
  • Background: Local adverse events associated with inhaled corticosteroid use, including dysphonia, pharyngitis and oral candidiasis, can affect adherence for treatment. 'Mouth rinsing method' has been used for reducing local adverse events, but it cannot ensure complete prevention. The goal of this pilot study was to identify whether the 'immediate diet method' can reduce local adverse events in a limited number of patients.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in a total of 98 patients, who had been prescribed a medium-dose fluticasone propionate for the first time, from January to October in 2010. One training nurse had performed the education on how to use the inhaler, including the mouth rinsing method. And with follow-ups at one month intervals, any patient who experienced such adverse events were educated on the immediate diet method, having a meal within 5 minutes after using an inhaler and they were checked on any incurrence of adverse events with one month intervals for 2 months. Results: The mean age of patients was 65.9 years old. The local adverse events had incurred from 18.4% of the study subjects. When performed the follow-up observation in 18 patients with local adverse events after education on the immediate diet method, 14 patients (77.8%) had shown symptomatic improvements. Three of 4 patients did not show any improvement, in spite of implementing the immediate diet method. The other 1 patient did not practice the immediate diet method properly. Conclusion: The immediate diet method may be useful in reducing the local adverse events, caused by the use of inhaled corticostero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