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Inhaled Fluticasone Propionate on Hypothalamic-Pituitary-Adrenal Axis in Bronchial Asthma Patient

기관지 천식환자에서 Fluticasone Propionate 흡입제가 Hypothalamic-Pituitary-Adrenal Axis에 미치는 영향

  • Hwang, Jun-Kyu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Gachon Medical School, Gil Medical Center) ;
  • Lee, Ho-Meo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Gachon Medical School, Gil Medical Center) ;
  • No, Yang-Wo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Gachon Medical School, Gil Medical Center) ;
  • Park, Gye-You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Gachon Medical School, Gil Medical Center) ;
  • Park, Chong-Wu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Gachon Medical School, Gil Medical Center) ;
  • Park, Jae-Kyu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Gachon Medical School, Gil Medical Center) ;
  • Jeong, Seong-Hwa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Gachon Medical School, Gil Medical Center) ;
  • Nam, Gui-Hyu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Gachon Medical School, Gil Medical Center) ;
  • Kim, Hong-Kyu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Gachon Medical School, Gil Medical Center) ;
  • Park, Hye-You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Gachon Medical School, Gil Medical Center) ;
  • Kang, Moon-H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Gachon Medical School, Gil Medical Center)
  • 황준규 (가천의대부속 길병원 호흡기내과) ;
  • 이호명 (가천의대부속 길병원 호흡기내과) ;
  • 노양원 (가천의대부속 길병원 호흡기내과) ;
  • 박계영 (가천의대부속 길병원 호흡기내과) ;
  • 박정웅 (가천의대부속 길병원 호흡기내과) ;
  • 박재경 (가천의대부속 길병원 호흡기내과) ;
  • 정성환 (가천의대부속 길병원 호흡기내과) ;
  • 남귀현 (가천의대부속 길병원 호흡기내과) ;
  • 김홍규 (가천의대부속 길병원 내분비내과) ;
  • 박혜영 (가천의대부속 길병원 내분비내과) ;
  • 강문호 (가천의대부속 길병원 내분비내과)
  • Published : 2001.07.30

Abstract

Background : Inhaled glucocorticoids are the medical treatment of choice in asthma patients. Fluticasone propionate is one of the most effective inhaled corticosteroids and has been reported to have minimal effect on the hypothalamic-pituitary-adrenal axis at the recommended dose. However, reports of long-term trials characterizing their systemic safety with chronic use are rare.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long-term safety of inhaled fluticasone propionate to the hypothalamic-pituitary-adrenal axis. Method : This study was conducted on 21 patients to evaluate the adrenal response to rapid ACTH stimulation test after 6 months of treatment with fluticasone propionate from $200\;{\mu}g$ to $750\;{\mu}g$ daily. The serum cortisol levels was measured to assess its effect on the hypothalamic-pituitary-adrenal axis just prior to the injection, at 30 minutes and 60 minutes after an intramuscular injection of synthetic ACTH. Result : The mean dose of inhaled fluticasone propionate was $355\;{\mu}g$ per day(SD=$174\;{\mu}g$, range=$200\;{\mu}g$ to $750\;{\mu}g$). The mean serum cortisol levels of the patients was $11.0\;{\mu}g/d{\ell}$(SD=$6.4\;{\mu}g/d{\ell}$) prior to the injection, $20.0\;{\mu}g/d{\ell}$ (SD=$7.7\;{\mu}g/d{\ell}$) after 30 minutes, and $23.0\;{\mu}g/d{\ell}$(SD=$6.3\;{\mu}g/d{\ell}$) after 60 minutes. Sixteen patients of the 21 patients had a normal response(> $18\;{\mu}g/d{\ell}$), and 5 out of the 21 patients had serum cortisol levels below the normal range after the rapid ACTH stimulation test. Conclusion: Adrenal suppression occurred in 5 out of 21 patients with 6 months treatment with inhaled fluticasone propionate.

연구배경 : 천식의 치료에 있어서 코티코스테로이드의 사용은 중요하며 스테로이드 사용으로 인한 부작용 때문에 장기치료시 흡입성 코티코스테로이드가 최근 천식의 치료에 1 차 치료약으로 널리 쓰이게 되었는데 이중 fluticasone propionate는 가장 강력한 항 염증성 흡입성 코티코스테로이드 제재로 알려져 있으며 지금까지의 연구보고들은 fluticasone propionate가 시상하부-뇌하수체 부신 축 기능에 미치는 영향이 적다고 보고하였으나 3개월 이상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는 보고된 것이 미미하였다. 방 법 : 저자들은 본원 호흡기 내과로 내원하여 치료중인 천식환자들을 대상으로 본 연구에 동의한 23명의 기관지천식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그중 2명은 추적검사가 이루어지지 않아 제외시키고 나머지 21 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6개월 이상 fluticasone 흡입제를 사용 후 급속 ACTH 자극검사로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 축 기능에 대한 이상여부를 검사하였다. 결 과 : 전체 환자 21 명에서 혈중 기저 cortisol 수치는 $11.0{\pm}6.4\;{\mu}g/d{\ell}$(mean$\pm$SD)이었고 30분후 혈중치는 $20.0{\pm}7.7\;{\mu}g/d{\ell}$이었으며, 60분후 혈중치는 $23.0{\pm}6.3\;{\mu}g/d{\ell}$이었다. 검사를 시행한 21명의 환자 중 16명의 환자는 정상 반응을 나타내었으며 5명은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 축이 억제되는 소견을 보여주었다. 비정상 반응을 보인 5명의 혈중 기저 cortisol치는 $4.8{\pm}2.0\;{\mu}g/d{\ell}$(mean$\pm$SD)이었으며 30분 후의 cortisol치는 $12.2{\pm}2.8\;{\mu}g/d{\ell}$, 60분 후의 cortisol치는 $14.2{\pm}3.5\;{\mu}g/d{\ell}$이었다. 결 론 : 본 연구는 연구대상이 작아서 용량과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 축의 억제정도와의 관계를 정확히 증명할 수는 없었으나 6개월 이상 장기간 사용시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 축이 억제될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장기간의 치료를 요하는 대다수의 기관지 천식 환자에서 임상의들은 환자의 임상증상을 고려해서 흡입제 치료에 있어서 전체적인 투여량과 투약기간의 결정에 주의를 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