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ute

검색결과 78건 처리시간 0.025초

학생들이 사용한 세 종류 NiTi file systems의 screw-in effect 비교 (Comparison of screw-in effect of three NiTi file systems used by undergraduates)

  • 오승희;박정길;허복;김현철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1권6호
    • /
    • pp.477-484
    • /
    • 2006
  • 학생들이 사용한 세 가지 NiTi file systems (ProFile$^{(R)}$, Hero Shaper$^{(R)}$, K3$^{TM}$)을 사용하여 성형한 모형 근관의 apical terminus width를 비교하여 flute angle 및 pitch 혹은 radial land가 screw-in effect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NiTi file의 사용 경험이 없는 부산대학교 치과대학 4학년 학생 50명이 세 종류의 NiTi file systems- Pro File$^{(R)}$ (Dentsply Maillefer, Ballaigues, Switzerland), K3$^{TM}$ (SybronEndo, Glendora, France), Hero Shaper$^{\circledR}$(Micromega, Besancon, France)-을 사용하여 각 system으로 하나의 근관씩, 모두 150 개의 레진 블락 근관모형 (Endo Training Bloc; Dentsply Maillefer, Ballaigues, Switzerland)을 16 : 1 감속 handpiece를 장착한 electric motor (Tecnika ATR, Pistola, Italy)를 사용하여 300 rpm의 속도에서 torque는 30 (Tecnikamotor setting value)으로 성형하였다. 스캐너로 근관 성형 전 후 이미지를 채득하여 중첩한 후 근단부의 최종 폭경을 측정하였다. 통계분석은 one-way ANOVA와 95% 신뢰도의 Scheffe's multiple range test로 사후 검증하였다. ProFile$^{(R)}$의 근관 성형 후 근단부의 폭이 Hero Shaper$^{(R)}$ and K3$^{TM}$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작았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근단부의 과도한 확대가 variable pitch와 helical angle를 가진active file에 비해 con-stant pitch와 helical angle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radial land를 가진passive file에서 적게 나타났다. 이 결과로 추정해 볼 때, variable pitch와 helical angle보다는 근본적으로 radial land가 screw-in effect의 예방에 더 큰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정될 수 있다 따라서 NiTi file의 사용 경험이 없는 초심자의 경우 근단부 폭경의 유지능력이 좋은 ProFile$^{(R)}$의 사용이 추천된다.

Adaptive movement가 twisted file의 내구성과 작업 시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daptive movement on durability and working time of twisted file)

  • 이상호;박소라;조경모;박세희;김진우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5권1호
    • /
    • pp.20-26
    • /
    • 2019
  • 목적: Wire를 꼬아서 제조한 twisted file (TF)이 개발된 이래, 최근에는 기존 twisted file의 내구성 및 절삭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구동방식의 변형을 준 TF-adaptive movement가 소개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TF-adaptive movement가 twisted file의 내구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J자 모양의 근관 형태를 가지는 레진 모형 근관에 twisted file을 이용하여 근관 형성 시 adaptive movement (TFA군)와 continuous rotation movement (TFC군)의 두 가지 구동 방식 하에서 파일의 내구성을 비교하고, 각각의 모형 근관을 형성하는데 소요된 시간을 측정하였다. TF 파일을 사용할 때마다 치과용 현미경으로 TF의 날풀림(unwind) 또는 변형 및 파절 여부를 관찰하여 그때까지 TF로 형성한 모형 근관의 수를 기록하고, 사진을 촬영하였다. 또한 twisted file의 첨단(D0)에서 날풀림이 발생한 지점까지의 직선 거리를 측정했다. 실험 결과는 0.05의 유의수준에서 Mann-Whitney U test로 분석했다. 결과: 파일의 파절은 두 실험군 모두에서 발생하지 않았으며, TFC군은 TFA군에 비하여 날풀림이 발생하기 전까지 형성한 모형 근관의 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적었으며, 모형 근관을 작업장까지 성형, 확대하는데 걸린 시간은 TFA군이 TFC군에 비해 유의하게 길었다. 날풀림이 발생한 지점의 위치는 TFC군과 TFA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결론: Twisted file을 adaptive movement mode로 사용하여 근관을 형성하면 날풀림이 발생하기 전까지 확대할 수 있는 근관의 수가 증가했으나, 작업장까지 근관을 형성하는데 필요한 시간이 유의하게 증가했다. Adaptive movement와 continuous rotary movement 간에 기구의 날풀림이 발생하는 위치에는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사물놀이 지도법 개발과 이를 통한 국악의 인식 변화 연구 (Investigation on the Perception Changes of the Korean Music through Developing A Teaching Method for Samul-nori)

  • 이가원;김영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114-122
    • /
    • 2012
  • 본 연구는 웃다리 사물놀이 교육 프로그램을 통하여 일반학생들의 전통음악에 대한 이해와 관심의 변화를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사물놀이 수업을 음악 정규 교육과정에 재구성하여 주 2회 총 10차시에 걸친 사물놀이 연주 활동을 통해 직접적이고 다양한 전통음악 학습활동이 이루어지도록 지도하였다. 학생들이 교육과정에 제시된 기본 장단의 이해와 더불어 사물악기를 직접 다뤄볼 수 있게 함으로써 학생들에게 보다 흥미있는 전통음악활동이 되도록 하였으며, 사전 사후의 설문지 조사를 통하여 학생들의 인식 변화를 조사하였다. 웃다리 사물놀이 학습활동의 적용 결과 국악에 대한 관심도가 높은 증가율을 보였으며, 사물놀이에 대한 인지도나 국악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에 변화가 있었다. 지금까지 단소를 중심으로 한 국악 실기 교육보다 사물놀이 수업방법에 대해 대체적으로 만족하고 있으며, 계속적인 사물놀이 교육을 원하며 사물놀이 수업이 국악에 대하여 관심도를 높이는데 매우 효과가 컸음이 확인 되었다. 사물놀이를 정규 음악 교육과정에 어떻게 재구성 재편성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더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하지만, 서양음악에 편중된 교육을 받았던 학생들에게 국악의 직접적인 연주 경험은 학생들이 우리 장단에 보다 쉽게 다가갈 수 있도록 도와주며, 이를 통하여 우리 전통음악, 전통악기에 대한 관심과흥미를 유발시키며, 더 나아가 전통음악을 계승하고, 새롭게 창조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데에 밑거름이 될 것이라 기대한다.

라이너지의 산화전분 코팅이 골판지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iner Component Coatings by Oxidized Starch on Properties of Corrugated Board)

  • 안병국;안원영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3-11
    • /
    • 1998
  • 산화전분을 골판지 구성원지인 표면라이너지와 이면라이너지에 각각 코팅하였으며 산화전분 코팅에 따른 골판지의 물성변화를 조사, 산화전분 코팅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산화전분의 코팅에 의해 골판지의 수직압축강도 뿐만아니라 파열강도도 동시에 개선될 수 있었다. 골판지의 파열강도는 구성 라이너지의 처리면에 관계없이 일정수준의 도공량에 도달할 때까지 크게 증가하다가 그 이상에서는 더 이상의 증가를 보이지 않았다. 표면라이너지에 처리한 골판지의 경우 도공하지 않은 골판지의 파열강도에 비해 도공량이 $2.32g/m^2$일 때 30.3%가 증가하였고 이면라이너지에 처리한 경우 도공량이 $4.84g/m^2$일 때 36.8%가 증가하였으며 표면라이너지와 이면라이너지 모두 처리한 경우 도공량이 $7.16g/m^2$일 때 39.9%가 증가하였다. 산화전분의 코팅은 골판지 원지의 섬유간 결합을 증가시키는데 기여하고 강직성을 개선시켜 골판지 수직압축강도의 개선을 가져왔다. 구성 라이너지의 처리면에 관계없이 골판지의 수직압축강도는 산화전분 도공에 의해 전반적으로 증가하였는데, 이면 라이너지에 처리한 경우 도공량이 $1.58g/m^2$일 때 11.3%가 증가하였고, 표면라이너지와 이면라이너지 모두 처리한 경우 도공량이 $2.99g/m^2$일 때 11.9%가 증가되어 소량의 산화전분 도공에 의해서도 수직압축강도가 크게 개선되었다.

  • PDF

엔진의 토크 조절 능력과 니켈-티타늄 파일의 삭제 성향이 근관 성형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IFFERENT FLUTE DESIGN AND TORQUE-CONTROLLED MOTOR ON THE SHAPING ABILITY OF SIMULATED RESIN ROOT CANALS)

  • 노형미;허복;김현철;박정길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0권6호
    • /
    • pp.486-492
    • /
    • 2005
  • 이 연구의 목적은 니켈-니타늄 파일의 삭제 성향과 엔진의 토크 조절 능력이 근관 성형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다 레진 모형 40개를 사용하였으며, Hero Shaper(R)와 Endo-Mate2을 이용한 HE군, Hero Shaper(R)와 Tecnika(R)를 이용한 HT군, Profile(R)과 Endo-Mate2(R)를 이용한 PE군, Profile(R)과 Tecnika(R)를 이용한 PT군으로 구분하여 근관성형 하였다. 각 군별 근관 성형 시간을 기록하였다. 근단공으로부터의 수직 이동 거리 1, 3 그리고 5mm 위치에서의 근관 삭제량, 중심이 동률을 산출하여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1. 근관 성형 시간은 HT군이 가장 빨랐다 (p<0.05). 2. 삭제량은 1mm지점에서 HE군이 PT군보다 컸고 (p<0.05), 3mm지점에서는 PT군이 다른 군들보다 작았다 (p<0.05). 5mm에서는 PE군이 PT군보다 컸다 (p<0.05). 3. 중심 이동률은 1mm 지점에서 HE군이 다른 군들보다 컸으며 (p<0.05), 5mm에서는 HT군이 PE군과 PT군보다 컸다 (p<0.05). 따라서 토크 조절이 되는 엔진을 사용하는 것이 근관의 변위를 적게 유발하고 과도한 삭제 량을 예방 할 수 있으며 근관 성형시간도 단축 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이며 따라서 양호한 근관 성형 결과에 영향을 준다고 볼 수 있다.

두 가지 다른 행정의 니켈 티타늄 파일의 성형 성상: 표면 성상, 상아질 삭편과 도말층에 대한 예비적 비교 연구 (Shaping characteristics of two different motions nickel titanium file: a preliminary comparative study of surface profile and dentin chip)

  • 박소라;박세희;조경모;김진우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0권2호
    • /
    • pp.121-130
    • /
    • 2014
  • 목적: Reciprocating 파일인 WaveOne과 continuous rotary 파일인 ProTaper와 ProFile로 근관 형성시 상아질 벽의 표면성상과 상아질 삭편 크기와 도말층 제거 효과를 비교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60개 단근치를 ProFile, ProTaper, WaveOne으로 성형 후 근관이 보이도록 grinding 하였다. 근관 성형 동안 상아질 삭편을 모아 건조하였다. Scanning electron microscope으로 상아질 삭편 크기와 근관 표면의 불규칙성과 도말층을 관찰하였다. 결과: 표면 함요부의 범위는 ProFile, ProTaper 그리고 WaveOne에서 $150{\mu}m$, $70{\mu}m$, 그리고 $80{\mu}m$의 범위 내에서 관찰되었다. 상아질 삭편의 크기는 ProFile, ProTaper 그리고 WaveOne에서 $7{\mu}m$, $6.5{\mu}m$, 그리고$4{\mu}m$의 범위 내에서 관찰되었다. 도말층은 WaveOne의 중간 1/3과 근단 1/3에서 유의하게 더 많이 관찰되었다. 결론: WaveOne은 중간 1/3과 치근단 1/3의 도말층 제거 효과를 제외하고, ProFile과 ProTaper와 근관 표면 성상과 상아질 삭편에서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사료된다.

『송남잡지(松南雜識)』에 기록된 '영산(靈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Youngsan(靈山)' recorded in 『Songnamjabji(松南雜識)』)

  • 조석연
    • 공연문화연구
    • /
    • 제40호
    • /
    • pp.269-305
    • /
    • 2020
  • 일반적으로 영산은 판소리 단가(허두가)를 가리키는 용어로 알려져 있으나 『송남잡지(松南雜識)』의 기록은 다르다. 조재삼은 『송남잡지』에 '영산'에 관련된 내용 따로 두어 설명하고 있다. <신광수의 시>, <백호 임제의 시>, <김명원의 시> 세 종류 시(詩)를 예시가 그것이다. 첫째, <신광수의 시>에 등장하는 '우조 영산'은 춘면곡에 앞서 부른 노래이다. 신광수가 <제원창선>(1750)을 쓴 시기는 유진한의 『만화집(晩華集)』(1754)이 발표된 시기로 판소리가 널리 알려지지 않은 상황에서 '우조 영산'을 판소리 단가로 볼 수는 없다. 둘째, <백호 임제의 시>와 연결된 '영산 도두음'은 피리와 도드리장단이 사용되었다. 이러한 흔적으로 보아 기악곡인 영산회상과 연결된다. 영산은 불교적인 것에서 비롯되었으며, 불교용어를 가진 영산회상은 민간 뿐 아니라 궁중에서도 계속 사용되었다. 셋째, <김명원의 시> '월하정인'을 영산 항목에 등장 시키며 '타령'이라 칭하였다. 당시 타령의 용어 쓰임새가 판소리와 정가 모두를 가리키고 있었다. 이후 신재효의 <광대가>등 19세기 자료 대부분 '영산'의 용어는 판소리 단가와 같이 본격적인 판소리를 하기 앞서 목을 풀기 위한 용도로 기록되었다. 『송남잡지』에서 기록된 초창기의 영산은 불교적인 성격을 지닌 용어로 영산 회상, 가사와 같은 도드리장단이 중심이 되는 독립된 음악 양식이었으며, 『송남잡지』가 쓰여진 1855년 당시 영산은 타령이라는 용어로 변모하면서 창부음악과 가객음악 모두를 포함하여 지칭하는 말로 영산과 타령 두 용어가 혼재하였다. 그리고 판소리가 성행하면서 '타령'이라는 용어는 판소리를, '영산'은 판소리 단가를 가리키는 용어로 불리게 된 것이다. 따라서 모든 기록의 영산을 판소리 단가로 해석해서는 안 된다. 이와 같은 상황은 종교 및 사회적 변화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다. 숭유억불정책은 불교적인 영산이라는 용어를 배척하였고 불교가 탄압받던 조선중기에는 영산과 타령이 혼재하거나 영산 대신 타령이 사용되다가, 조선 후기 불교가 재성장되면서 판소리의 등장과 함께 또 다른 의미인 단가의 뜻으로 영산이라는 용어가 새롭게 재정착된 것으로 보여진다. 19세기 이르러 판소리가 등장하며 영산이 단가로 사용한 이유는 바로 이러한 사회적. 종교적인 변화양상에 따른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난중일기≫에서 본 이순신의 꿈과 인격의 몇 가지 측면: 분석심리학적 입장에서 (Dreams of Admiral Yi Sun-sin (1545-1598) in Nanjung Ilgi (Diary in War Time) and Some Aspects of His Personality: From Jungian Viewpoint)

  • 이부영
    • 심성연구
    • /
    • 제37권2호
    • /
    • pp.99-148
    • /
    • 2022
  • 이순신 ≪난중일기≫를 중심으로 이순신의 인격의 몇 가지 의식적 측면을 살펴보고 이순신의 꿈을 분석심리학적으로 해석함으로써 무의식의 목적의미를 추론하고자 하였다. 그의 인간성은 알려진 바와 같이 충, 효를 철저하게 실천했고 나라를 위해 헌신한 영웅의 상과 일치한다. ≪난중일기≫에는 그의 강직함과 함께 매우 인간적인 감성, 오해와 정치적 박해를 겪어야하는 말할 수 없는 고통, 절망과 고독, 육친을 잃은 통곡이 숨김없이 묘사되고 있다. 일기쓰기와 이순신의 '아니마'의 또 다른 표현인 달밤의 시, 피리와 거문고 소리, 그리고 또한 불가해한 꿈을 보고 점을 쳐서 미래를 알아봄으로써 그는 그의 고독을 스스로 치유했다. 미래의 영웅을 키우고 이끌어준 어머니의 위대한 역할과 융이 말하는 모성콤플렉스와의 관계를 살펴보았고, 이순신이 평생 괴로워한 '흉인', 원균이 이순신의 '그림자'로서 이순신이 의식화해야 했던 무의식의 열등한 인격이었다고 추정했다. 이순신의 죽음을 둘러싼 추측은 근거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난중일기≫에 기술된 이순신의 꿈 중 꿈의 내용이 조금이라도 기술된 꿈 32개와 이순신의 조카 이분(李芬)이 남긴 ≪이충무공행록≫에 수록된 꿈 3개, 총 35개를 살피고 특히 원형적 꿈을 분석심리학적 입장에서 해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로 받은 인상은 꿈이 이순신에게 '신격에 의해 선택된 사람'이라는 사실을 되풀이 알려주고 있다는 사실이다. 이순신은 이를 바로 그대로 받아들이지 않았다. 그러한 태도 때문에 오히려 자아의 팽창에 빠지지 않았다. 동시성 현상이라고 할 수 있는 꿈과 이에 대한 이순신의 태도를 소개했다. 건강을 해치거나 편견에 빠질 위험을 경고하는 꿈도 있었고 '아니마'상, '자기'의 상징, 창조적 변환의 상징도 꿈에 나타났다. 그리고 무엇보다 그가 왕권을 행사할 수 있는 자격을 갖춘 사람임을 시사하는 꿈이 있었다. 그는 이를 몰랐거나 알았더라도 그런 생각에 관심이 없었을 것이다. 왜냐하면 그는 현세적 왕보다 더 위대한 호국신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이순신은 항상 천명(天命)을 살폈다. 그리고 천명은 그를 영웅의 길로 인도하면서 영웅신화에 불가결한 고행의 시련을 주었다. 박해자와 위로하는 자가 함께 그의 길을 인도했다. 그의 어머니, 원균, 선조, 그리고 영의정, 유성용까지 모두 이순신 영웅신화를 구체화하는데 기여했다. 이순신은 죽고 신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