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ushing time

검색결과 139건 처리시간 0.032초

FAT 파일 시스템의 호환성을 유지하며 성능과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메타데이터 저널링 기법의 설계 (Temporary Metadata Journaling Scheme to Improve Performance and Stability of a FAT Compatible File System)

  • 현철승;최종무;이동희;노삼혁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36권3호
    • /
    • pp.191-198
    • /
    • 2009
  • FAT 호환 파일 시스템은 다양한 플랫폼에서 데이터가 호환 가능하기 때문에 메모리 카드나 임베디드 시스템에서 널리 사용된다. 최근 임베디드 시스템에서는 갑작스런 전원 정지 시 복수 기법뿐만아니라 다양한 응용의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더 나은 파일 시스템의 성능을 요구하고 있다. 이런 요구를 수용하기 위해서는 파일 시스템의 구조에 대해 변경이 필요해 진다. 파일 시스템의 구조에 대한 변경은 데이터의 호환성에 심각한 문제를 발생시키게 된다. 메타데이터 저널링(Metadata Journaling)은 데이터 호환성 문제를 최소화하면서 뛰어난 성능을 만족시킬 수 있는 기법이다. 이 기법을 FAT 호환 파일 시스템에 구현하여 벤치마크를 수행하였다. 벤치마크 결과는 작은 크기의 불규칙적인 메타데이터 쓰기를 저널 영역에 순차적으로 씀으로써 성능의 향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제안된 기법은 자연적으로 복구 기법을 제공함으로써 빠른 시간 내에 부팅이 가능하다. 그렇지만 일시적으로 FAT 호환 파일 시스템과 호환이 불가능한 지점이 존재한다. 이런 문제는 파일 시스템이 언마운트(un-mount)시점에 저널 영역에 쓰인 내용들을 원래의 위치로 복사함으로써 FAT 파일 시스템과 호환성을 유지시킬 수 있다.

다채널 세라믹 정밀여과 및 활성탄 흡착 혼성공정에 의한 고탁도 원수의 고도정수처리 (Advanced Water Treatment of High Turbidity Source by Hybrid Process of Multi-channels Ceramic Microfiltration and Activated Carbon Adsorption)

  • 박진용;이혁찬
    • 멤브레인
    • /
    • 제18권4호
    • /
    • pp.325-335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관형보다 단위시간당 투과량이 월등히 많은 다채널 세라믹 분리막을 사용하였으며, 고도정수처리 혼성공정은 모듈 내부와 다채널 정밀여과막 외부 사의의 공간에 입상활성탄(GAC)을 충전하여 구성하였다. 정수 원수 중의 자연산 유기물(NOM)과 미세 무기 입자를 대체하기 위해, 휴믹산(humic acid)과 카올린(kaolin) 모사용액을 사용하였다. 유기물질의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일정한 30mg/L의 카올린 농도에서 휴믹산(humic acid)의 농도를 $2{\sim}10\;mg/L$로 변화시켰다. 그 결과, 막오염의 저항($R_f$)과 투과선속(J)은 휴믹산의 농도에 따라 큰 영향을 받았다. 또한 역세척 주기(FT)의 영향을 살펴본 결과, 더 짧은 FT는 빈번한 역세척으로 막오염의 감소와 투과선속의 향상에 더 효과적이었다. 그러나 운전비용을 고려하면, 최적 FT조건은 8분이였다. 한편, 이 다채널 정밀여과막 및 GAC 혼성공정을 호소수에 적용한 결과, 평균 처리효율은 탁도 98.02%, $UV_{254}$ 흡괌도 75.64%, 총용존고형물(TDS) 7.18%, 화학적산소요구량 84.73%이었다.

토양증기추출(Soil Vapor Extraction)을 이용한 토양 내 Trichloroethylene (TCE)과 Toluene정화 실험 (Laboratory Tests for Trichloroethylene (TCE) and Toluene Remediation in Soil Using Soil Vapor Extraction)

  • 이민희;강현민
    • 자원환경지질
    • /
    • 제35권3호
    • /
    • pp.221-227
    • /
    • 2002
  • 토양증기추출(Soil Vapor Extraction)법을 이용하며 대표적 휘발성 NAPL(Non-aqueous phase liquid)인 TCE (trichloroethylene)와 toluene을 토양으로부터 제거하는 칼럼 실험을 실시하였다. 균질한 Ottawa sand와 실제 오염지역의 토앙들이 사용되었으며, 토양특성 및 증기추출 조건들이 정화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 직경 2.5cm, 길이 30cm인 유리 칼럼이 사용되었고, 붉은색으로 염색된 TCE 또는 toluene 4 gram이 주입되었다 주입 공기가 일정한 속도로 칼림 내에 주입될 수 있도록 공기 유량계를 설치하여 0.03 L/min의 일정한 속도로 공기가 주입되도록 하고, 퍼지 장치를 설치하여 주입 공기의 습윤도를 99% 이상으로 유지하였다. 칼럼으로부터 유출되는 가스는 자동 가스시료주입 밸브장치를 이용하여 가스크로마토그래피 칼럼 내로 주입되게 하여, FID 검출기로 유출 가스 농도를 분석하였다. Ottawa sand로 충진된 칼럼실험에서는 매질의 입자크기, 함수율, 토양 내 오염물 체류시간 등을 변화시켜 실험을 반복하였다. TCE로 오염된 세립질 Ottawa sand 칼럼실험에서 유출 공기의 최대 농도는 조립질 Ottawa sand 칼럼의 유출 농도보다 약 20% 정도 감소하였고, 오염지역의 실제토양 칼럼실험에서는 최대유출농도가 조립질 Ottawa sand칼럼의 농도보다 약 50% 감소하였으나, 20 liter 공기 주입 후부터는 모두 비슷한 농도감소 현상을 나타내었으며 초기 주입량의 90 % 이상이 제거되었다. 함수율증가에 따른 유출공기의 농도 감소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며, TCE 주입 후 7일 동안 방치하였다가 SVE를 실시한 칼럼 실험에서도 잔류하는 TCE의 양이 약간 증가하였지만 20liter 공기 추출 후에는 초기 주입량의 90% 가, 40 liter 공기 추출 후에는 98% 이상이 제거되었다. Toluene 으로 오염된 칼럼 실험에서도 TCE와 비슷한 제거 경향을 나타냈으며 200 liter 공기 추출 후에는 오염물 초기 주입량의 98% 이상이 제거되었다. 본 실험 결과로부터 증기추출법을 이용한 TCE, toluene 정화 효율성이 규명되었으며, 휘발성 NAPL로 오염된 실제 토양을 복원하기위한 SVE법의 적용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화학적 산화공정을 이용하여 소변의 색도 및 유기물 처리를 통한 재이용 기술 연구 (A Study on Removal of Organic Matter and Chromaticity from Urine Using Chemical Oxidization Process)

  • 신성훈;정종태;조용철
    • 한국수처리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109-115
    • /
    • 201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olve the water shortage problem by reclaiming urine from homes or public places and using it as cleaning water for toilets. The process used in this experiment is a chemical oxidation process combining ozone, hydrogen peroxide, and UV. We set the key substance that is to be removed as chromaticity and conducted the experiment to remove it. If the quantity or concentration of injected ozone, UV, and hydrogen peroxide is insufficient, then the chromaticity will initially increase due to low oxidizing power, and will later decrease. In addition, the efficiency of removing chromaticity appeared to be higher, depending on the quantity of ozone injected, for medium concentrated urine than highly concentrated urine. However, the absolute quantity of removed chromaticity was about 68% higher for highly concentrated urine, when 16 g/hr of ozone was injected. The higher the pH level, the reaction time and efficiency of removing chromaticity were higher, and in normal conditions, in reference to a pH of 8.55, there was a 6% difference in efficiency between a pH level of 5.05 and a pH level of 10.12. Finally, when processing urine through an ozone-only process, COD decreased steadily over time, but DOC did not decrease. This is because ozone reacts selectively with organic matter.

음향 기반 물 사용 활동 감지용 엣지 컴퓨팅 시스템 (The Edge Computing System for the Detection of Water Usage Activities with Sound Classification)

  • 현승호;지영준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47-156
    • /
    • 2023
  • Efforts to employ smart home sensors to monitor the indoor activities of elderly single residents have been made to assess the feasibility of a safe and healthy lifestyle. However, the bathroom remains an area of blind spot. In this study, we have developed and evaluated a new edge computer device that can automatically detect water usage activities in the bathroom and record the activity log on a cloud server. Three kinds of sound as flushing, showering, and washing using wash basin generated during water usage were recorded and cut into 1-second scenes. These sound clips were then converted into a 2-dimensional image using MEL-spectrogram. Sound data augmentation techniques were adopted to obtain better learning effect from smaller number of data sets. These techniques, some of which are applied in time domain and others in frequency domain, increased the number of training data set by 30 times. A deep learning model, called CRNN, combining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and Recurrent Neural Network was employed. The edge device was implemented using Raspberry Pi 4 and was equipped with a condenser microphone and amplifier to run the pre-trained model in real-time. The detected activities were recorded as text-based activity logs on a Firebase server. Performance was evaluated in two bathrooms for the three water usage activities, resulting in an accuracy of 96.1% and 88.2%, and F1 Score of 96.1% and 87.8%, respectively. Most of the classification errors were observed in the water sound from washing. In conclusion, this system demonstrates the potential for use in recording the activities as a lifelog of elderly single residents to a cloud server over the long-term.

Effects of laser-assisted hatching and exposure time to vitrification solution on mouse embryo development

  • Kim, Hye Jin;Park, Sung Baek;Yang, Jung Bo;Choi, Young Bae;Lee, Ki Hwan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44권4호
    • /
    • pp.193-200
    • /
    • 2017
  •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icacy of laser-assisted hatching (LAH) and various vitrification times for embryonic development and blastocyst cell numbers. Methods: First, 2-cell and 8-cell embryos were collected by flushing out the oviducts. In the control groups, they were vitrified for 8 or 10 minutes without LAH. The LAH groups underwent quarter laser zona thinning-assisted hatching before vitrification (4, 6, and 8 minutes or 4, 7, and 10 minutes, respectively). After incubation, double-immunofluorescence staining was performed. Results: The hatched blastocyst rate 72 hours after the 2-cell embryos were thawed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2LAH-ES8 group (33.3%) than in the other groups (p< 0.05). In the control-8 group ($22.1{\pm}4.6$), the cell number of the inner cell mass was higher than in the LAH groups (p< 0.05). The number of trophectoderm cells was higher in the 2LAH-ES6 group ($92.8{\pm}8.9$) than in the others (p< 0.05). The hatched blastocyst rate 48 hours after the 8-cell embryos were thawed was higher in the 8LAH-ES4 group (45.5%) than in the other groups, but not significantly. The inner cell mass cell number was highest in the 8LAH-ES7 group ($19.5{\pm}5.1$, p< 0.05). The number of trophectoderm cells was higher in the 8LAH-ES10 group ($73.2{\pm}12.1$) than in the other groups, but without statistical significance. Conclusion: When LAH was performed, 2-cell embryos with large blastomeres had a lower hatched blastocyst rate when the exposure to vitrification solution was shorter. Conversely, 8-cell embryos with small blastomere had a higher hatched blastocyst rate when the exposure to vitrification solution was shorter.

고무보 저층수 배출관의 유사 배제 성능 실험 연구 (Experimental Study for Flushing of Sediment Bypass Pipe underneath Rubber Weir)

  • 정석일;이승오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133-140
    • /
    • 2016
  • Most small weir installed in Korea is concrete solidated weir. Fixed weir causes stagnant flow, which leads to deposit sediment just upstream of weir. As time goes on, it would induce reduction of water storage capacity and invoke the serious water quality issues. Therefore, there has been a growing interest in movable weir. Especially, the flexible rubber weir is easy to install and possible to operate in extreme environments. However, even though this type can be flatable, it is also not free from sediment deposition problem. Thus, to enhance the ability of releasing deposition the bypass pipe was constructed underneath it. In this study the performance of its ability was examined with hydraulic model test. This bypass pipe was designed with 3 different dimensions to connect between each bottom of upstream and downstream of a weir, such as Type A, B, and C. The efficiency of drainage of deposition upstream was studied under two water of upstream and sediment heights. In addition, the ability of sediment emission through the bypass pipe after the pipe was blocked by debris like soil, vegetation et al. was examined by video monitoring. From this study, it was suggested a dimensionless equation which show the relationship of variable parameters and amount of emission sediment through bypass pipe. And it was found that the most significant factors on efficiency of releasing were elbow angle and discharge, and the ability of emission when the pipe was blocked was most highly influenced in tilting length.

거제만의 해수교환 (Tidal Exchange of Sea Water in Koje Bay)

  • 김종화;장선덕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01-108
    • /
    • 1985
  • 거제만의 물질수지와 굴양식장관리를 위한 해양환경개선 및 해양공학적 기초자료를 마련코저, 1984년 8월의 대조기 23시간 및 소조기 13시간 동안 거제만입구의 단면에서 연속측류와 측심 및 채수를 실시하였다. 거제만의 해수교환과 그 기구에 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거제만입구의 해수류출입현상은 만의 중앙부 및 육구단측이 만의 서부인 아지랑측보다 담수유출이 많은 우기에 유출이 우세하고 건기에는 상층에서 유출되나 저층에서는 유입이 우세하였다. 2. 해수교환율은 대조기 $26\%$, 소조기 $5{\sim}15\%$ 범위이다. tidal prism에 의한 체류시간은 대조기 약 48시간, 소조기 약 81시간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해수교환정도는 교환개념과 수문기상학적 요소 및 계절에 따라 변동된다. 3. 협수도에 접한 거제만은 지형과 조류의 영향으로 와류현상이 활발하다. 따라서, 거제만은 지형성 와류가 해수교환에 미치는 영향이 클 것으로 추정된다.

  • PDF

공기 중 SO2에 의한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의 성능 감소 (Decrease of PEMFC Performance by SO2 in Air)

  • 이호;송진훈;김기중;김세훈;안병기;임태원;박권필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8권3호
    • /
    • pp.311-315
    • /
    • 2010
  • 공기 오염에 의해 $SO_2$가 포함된 공기가 PEMFC cathode에 유입되어 전극 성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오염된 공기 접촉 후 저하된 성능회복을 위해 청정공기 유입, 순환전압측정법(cycle voltammetry, CV), 고전압 체류법(high voltage holding)을 사용하였다. 공기에 혼합된 $SO_2$농도 범위는 20 ppb~1.3 ppm이었다. 성능 감소 및 회복 측정은 일정전류에서 전압변화를 측정하는 방법, I-V 분극곡선 측정법, 임피던스측정법을 이용하였다. 20 ppb 농도로 $SO_2$를 200시간 주입 후 전지 전압은 주입 전보다 17 mV 감소하였다. 청정공기 주입, CV, 고전압체류방법에 의해 S가 Pt로부터 탈착되어 전지성능은 일부 회복되었다.

실제 대기의 광화학 반응 챔버로 사용되는 테플론 백의 오염도 평가 (Wall Contamination of Teflon Bags Used as a Photochemical Reaction Chamber of Ambient Air)

  • 이승복;배귀남;이영미;문길주
    • 한국입자에어로졸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49-161
    • /
    • 2013
  • Experiments on photochemical reactions of purified air alone in an indoor smog chamber were carried out after flushing Teflon bags with purified air for many hours in order to check the level of contamination on the chamber wall. Ozone concentrations were linearly increased from <4 ppb up to about 8 ppb with irradiation time for four hours. Outgassing of NOx from the chamber wall was found to be less than 1 ppb. New ultrafine particles were formed and grown up to about 70 nm during the photochemical reactions, and then total number and mass concentrations of particles were increased from <10 particles/$cm^3$ up to about 4,000 particles/$cm^3$ and $1.3{\mu}g/m^3$, respectively. The wall conditions of these Teflon bags flushed with purified air might not severly affect the chamber experimental results for photochemical reactions of polluted urban ambient air. The difference of gaseous species between two chambers was 2.4 ppb of ozone at most, indicating that the wall cleaning performance of two chambers was nearly similar.